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정성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정성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往昔 에서 넘어옴)

정성군
定城君
高麗의 太子
在位 ? ~ 1394年
戴冠式 정성군(定城君)
前任 공양왕 (恭讓王)
父王 공양왕 (恭讓王)
이름
往昔 (王奭)
異稱 王서 (王瑞)
別號 未詳
廟號 未詳
시호 未詳
身上情報
出生日 生年 未詳 (生年未詳)
出生地 未詳
死亡日 1394年
死亡地 未詳
王朝 高麗 (高麗)
家門 開城 (開城)
父親 공양왕 (恭讓王)
母親 순비 盧氏 (順妃 盧氏)
配偶者 仁川 李氏 (仁川 李氏)
子女 未詳
宗敎 佛敎 (佛敎)
墓所 未詳

정성군 (定城君, 生年 未詳 ~ 1394年 )은 高麗 第34代 王 공양왕 (恭讓王)의 王世子 이며, 母后는 府院君 盧眞意 딸 순비 盧氏 이다. 이름은 往昔(王奭), 初名(初名)은 서(瑞)이다. 明나라 에서는 공양왕 廢位 後 그를 王位繼承者로 보았다. [1] [2]

정성군(定城君)에 封해졌고 1388年 父王 공양왕 이 卽位函에 王世子로 冊封되었다. 往昔 이 世子에 冊封되자 諫官(諫官)李 西燕(書筵)을 열고 세자사부를 모실 것을 建議하자 恭讓王은 諫官들의 建議를 받아들여 照準(趙浚), 서균형 (徐鈞衡), 이지 (李至)를 師傅(師傅)를 삼고 李曙 (李舒), 김자수 (金子粹), 우성범 (禹成範), 강회계 (姜淮季), 조용(趙庸)으로 詩學 (侍學)을 삼았다.

그러나 1392年 ( 공양왕 4年) 공양왕 이 强制選위하면서 世子에서 廢位당하고 江原道 三陟 으로 流配 되었다. 다른 설에는 京畿道 高陽 으로 流配되었다고도 한다.

夫人은 政堂文學을 지낸 이원굉 (李元紘)의 딸로, 1391年 에 結婚하였다 [3] .

生涯 [ 編輯 ]

이름은 席(奭) 初名은 서(瑞) 공양왕 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비 盧氏 (純妃 盧氏)이다.

1389年 ( 공양왕 1)에 世子로 冊封되었다. 1391年 全政黨文學(前政堂文學) 이원굉(李元紘)의 딸을 맞이하여 세自費로 삼았다. 그 해 겨울 明나라 서울에 가서 하정(賀正)할 때 市中 심덕부(沈德符)와 설장수(?長壽) 密直副使 閔開(閔開) 等이 시종하였는데 하정표展(賀正表箋)의 主計(奏啓)에 모두 世子라는 稱號를 使用하지 않고 長男 정성군 席으로 表記하였다. 그런데 明나라 皇帝가 매우 사랑하여 공(公) 後(侯) 밑에 序次(序次)하도록 待遇해 주었으며 內戰에서 다섯 次例에 걸쳐서 饗宴을 베풀어주고 黃金 2梃(錠) 白金(白金) 10梃 犬團 100疋을 하사하였다. 다음해에 歸國하였다.

家計 [ 編輯 ]

정성군가 登場하는 作品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前任
공양왕
高麗의 王室 首長
1394年
後任
정강군

各州 [ 編輯 ]

  1. 大明會通에 李成桂 가 4王(郵, 窓, 요, 席)을 죽이고 王位에 올랐다고 記錄되어 있었다.
  2. 김문식, 〈朝鮮時代 國家典禮書의 編纂 樣相〉,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第21輯》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87페이지
  3. 韓國民族文化大百科 〈정성군〉項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