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리고 장님 治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르티매오를 고치시는 예수 그리스도, 요한 하인리히 스퇴퍼(Johann Heinrich Stover), 1861

세 個의 共觀福音書 는 모두 예수 그리스도 水難 前에 일어난 예리고 (共同飜譯), 여리고 (改新敎), 예리코 (가톨릭)에서의 장님 治療 事件을 言及하고 있다.

마르코의 福音書 는 그 장님의 이름을 바르티매오 (共同飜譯, 가톨릭), 바디매오 (改新敎) 等으로 記錄하고 있고, 마태오의 福音書 루가의 福音書 는 같은 이야기를 다른 버전으로 傳하고 있다.

이야기의 展開 [ 編輯 ]

예수와 弟子들이 예리고에 들렸다가 길을 떠날 때 바르티매오는 많은 사람이 潛潛하라고 꾸짖을 때에도 "다윗의 子孫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라 부르짖는것을 멈추지 않았다. 예수는 그를 부르라 한 뒤 무엇을 하여 주기를 願하는지 묻는데, 바르티매오는 볼 수 있게 해주기를 願한다고 答한다. 예수는 그의 믿음이 그를 救援했다고 말하고, 그는 곧 보게 되어 예수를 따르게 된다. [1]

가장 이른 버전인 마가복음 10:46-52에서는 바르티매오(티매奧義 아들이라는 뜻)라는 이름의 눈먼 거지가 登場하는데, 예수 그리스도의 治癒를 받은 이들中에 이처럼 이름이 알려진 사람은 매우 적다. 羽類핀(Uryupin)의 神學者 올렉 몰렌코(Oleg Molenko)는 이처럼 治癒받은 사람들 中에 이름이 登場하는 者들은 後代의 敎會에서 오랫동안 奉事한 者들이고, 登場하지 않는 者들은 그렇지 않은 者들이라고 主張한다. 그 例示로, 요한福音 5:2-15에 登場하는 못 옆의 38年間 障礙를 가진 사내는 이름이 登場하지 않는데, 예수가 그를 고친 뒤 더 심해지지 않게 다시는 罪를 犯하지 말라(5:14)고 하는데, 以後에 罪를 짓는 쪽으로 기울어진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와는 다르게 바르티매오는 예수를 卽刻的으로 따랐기 때문에 福音史家 馬哥가 그의 이름을 本文에 記錄했다고 主張한다. 바르티매오는 또한 우리에게 "다윗의 子孫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라 하는 예수 祈禱 의 가르침을 준다. 이 祈禱를 통해 그는 靈的 視野를 얻었고, 그 證據로 視角을 回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東方正敎會 의 主張이다. [2]

이 이야기는 神學的 方法으로도 解釋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리스도에게 믿음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리 질러 예수를 부르던 그 盲人은 겉옷을 내버리고 나아오는데, 이는 所有物을 뒤에 두고 예수께 나아와야한다는 것을 象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盲人이 使用하는 表現인 "다윗의 子孫"은 오직 마가복음에서만 登場하는 表現인데, 예수가 메시아라는 事實을 認定하는 表現이다. [3]

마태복음 20:29-34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은 두 名의 盲人이 나오는데, 길 가에 앉아있던 그들을 예수가 '불쌍히 여기고' 그들의 눈을 보이게 해준다. 같은 이야기의 다른 버전이 보다 앞部分인 마태복음 9:27-31에서도 登場한다. 이 狀況에서 예수는 그들에게 고쳐질 것이란 믿음이 있는지 물은 뒤 그들이 그렇다고 對答하자, 그들의 믿음대로 될 것이라고 말하며 눈을 만져 밝혀준다. 예수 그리스도는 아무에게도 이 일을 알리지 말라고 警告하나, 그들은 나가 이 일을 퍼뜨린다.

누가복음 18:35-43은 이 이야기를 다르게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는 이름이 登場하지 않는 盲人을 예수 그리스도가 여리고를 떠날 때 마주친 것이 아니라, 여리고로 들어가던 中에 마주친 것으로 記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이야기는 삭개오 의 이야기 앞에 나온다. [4]

다윗의 子孫 [ 編輯 ]

버논 K. 로빈스(Vernon K. Robbins)는 바르티매오의 治癒가 마가복음에 登場하는 마지막 治癒라는 것을 强調하고, 예수가 예루살렘에서 韓 다윗의 子孫의 行動으로 인해 人者의 죽음과 受難을 겪게 될 것이라고 以前에 가르친 內容과 聯關짓는다. [5] [6] 이 盲人의 治癒 이야기와 예수의 弟子들이 '盲人'처럼 예수의 그리스도됨을 完全히 理解하지 못한 채 예수를 따라 그가 苦痛받아 죽어서 마가복음 15: 39에 나오는 것처럼 異邦人들 가운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게 되는 場所인 예루살렘으로 들어간 것을 聯關짓는 것이다. [7]

폴라 프레드릭센(Paula Fredriksen)은 " 다윗의 子孫 "과 같은 標題가 예수의 十字架刑 復活 以後에 붙여진 것이라고 믿는데, 마태와 마가가 言及한 이 治癒事件에서 "다윗의 子孫"이라 宣布한 것은 "예수가 예루살렘 으로 떠나기 直前에, 그의 苦難을 豫告"韓 것이라고 主張한다. [8] "다윗의 子孫"은 메시아 에게 붙여지는 이름 [9] [10] 이므로, 魔가 에 依하면 바르티매오의 외침은 그리스도 를 是認한 첫 番째 公開的 事件이며, 非公開的으로는 마가복음 8:27-30의 베드로의 告白 以後 두 番째 事件이다.

바르티매오 [ 編輯 ]

바르티매오라는 이름은 (1) 이것이 性이 아니라 이름이고, (2) 셈語와 헬라語가 異常하게 混合된 것이며, (3) "티매奧義 아들"을 飜譯한 것이라는 點에서 보기 드문 이름이다. 一部 學者들은 이러한 點들이 이 人物의 實存에 對한 剛한 證據가 된다고 主張한다. [11] 그러나 다른 學者들은 이 이야기가 플라톤의 宇宙論과 神學에 對한 著作인 티마이오스 를 比喩的으로 表現한 것으로 본다. 플라톤은 이 著作에서 視角을 知識의 根本으로 보았다. [1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마가복음 10:46-52
  2. Father Oleg Molenko, theologian, sermon "How can a blind person recover his sight through the name of Christ? (Russian: Как прозреть слепому силой имени Христа?)" , YouTube , minutes 18-20, Finland, September, 2017.
  3. Stephen Ahearne-Kroll, The Psalms of Lament in Mark's Passion: Jesus' Davidic Suffe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ages 138-140
  4. Luke Timothy Johnson, The Gospel of Luke (Liturgical Press, 1991) page 283.
  5. Jesus the Teacher: A Socio-Rhetorical Interpretation of Mark by Vernon K. Robbins 2009, ISBN   978-0-8006-2595-5 . 41-43.
  6. Vernon K. Robbins, “The Healing of the Blind Bartimaeus (10:46-52) in the Marcan Theology” Archived 2015年 9月 24日 - 웨이백 머신 ,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92 (1973), 224-243
  7. Vernon K. Robbins, "The Reversed Contextualization of Psalm 22 in the Markan Crucifixion: A Socio-Rhetorical Analysis" [1] Archived 2018年 12月 21日 - 웨이백 머신 (1992)
  8. Fredriksen, From Jesus to Christ , p. 181.
  9. "Reflections: The blind Bartimaeus: Mark 10:46-52," October 24, 2009, The Manila Bulletin , The Manila Bulletin website 保管됨 2009-10-26 - 웨이백 머신 , citing 365 Days with the Lord, (St. Paul's, Makati City, Philippines) from St. Paul's website (dead link) [ 깨진 링크 ] , accessed October 28, 2009.
  10. Barrie Wetherill, "Jesus cures blind Bartimaeus," from The Life of Jesus Christ , found at easy English Bible study Archived 2017年 2月 22日 - 웨이백 머신 . Accessed October 28, 2009.
  11. Vincent Taylor.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1966 St. Martin's Press Inc. p 448.
  12. Mary Ann Tolbert, Sowing the Gospel: Mark's World in Literary-Historical Perspective 1996, Fortress Press. p189.

더 알아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