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個의 世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홉 個의 世界 ( 古代 노르드어 : Niu Heimar 니우 헤이마르 , 英語 : nine homeworlds )가 世界樹 위그드라실 에 붙어 있다고 노르드 神話 에서는 說明한다. 그러나 原典인 《 고 에다 》에서 그 言及이 매우 曖昧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9世界의 構成은 主張하는 사람마다 제各各 다르다. 共通된 要素는 太初에 불의 世界 무스펠스헤임 과 얼음의 世界 니플헤임 이 있었으며, 그 中間의 긴눙가가프 에서 神들이 생겨났고 神들이 人間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文獻上 出戰 [ 編輯 ]

고 에다 [ 編輯 ]

巫女의 豫言 〉 第2節
노르드어:
Niu man ek heima,
niu iviðjur,
mjotvið mæran
fyr mold neðan. [1]
英語 重役:
아홉 個의 世界를 나는 記憶하나니
아홉 名의 女子 巨人[各 世界의 擬人化],
偉大한 묘트비드르 [가 그들을 結合한다],
땅이 存在하기도 前부터.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 第43節
노르드어:
?Fra iotna rv?nom
oc allra goða
ec kann segia satt,
þviat hvern hefi ec
heim vm komit:
nio kom ec heima ,
fyr niflhel neðan,
hinig deyia or helio halir.“
英語 重役:
“勿論 나는 眞實로
요트나르 와 神들의
모든 祕密을 말할 수 있으니,
理由인즉 나는 모든 世上을,
各 世上 中에서도 가장 먼 곳들도,
모두 다녀 보았기 때문으로,
아래로는 亡者들이 사는 니플헬 까지
아홉 世上을 다녀왔노라.”

新 에다 [ 編輯 ]

巫女의 豫言 〉 第2節
노르드어:
Hel kastaði hann i Niflheim ok gaf henni vald yfir niu heimum .
英語 重役:
[ 오딘 이] 니플헤임 에 집어던지고 아홉 世界 에 뻗치는 權能을 그女에게 주었다.

神話 原典인 에다에는 아홉 個의 世界에 關한 言及이 以上 딱 세 番 나온다.

神話 解釋 [ 編輯 ]

에다 여기저기를 뒤져보면서 나오는 地名들을 모두 털어보면 다음 여섯 個의 世界의 存在를 이끌어낼 수 있다.

  1. 人間들이 사는 곳 美드가르드 (中間界).
  2. 아스 들이 사는 곳 아스가르드
  3. 들의 故鄕 바나헤임
  4. 要툰 (巨人)들의 故鄕 요툰헤임 / 우트가르드
  5. 알파 (妖精들)의 故鄕 알프헤임/료살프헤임
  6. 나이르(屍體들)의 故鄕 헬헤임

드베르그 가 사는 곳은 商術되지 않았는데, 各 部分에 따라 이들이 어디에 사는지 제各各이기 때문이다. 〈 알비스가 말하기를 〉 第14節에 보면 드베르그는 알파와 區分되는 存在다. 또한 드베르그가 사는 스바르트알파헤임 이 따로 言及되면서 알파와 드베르그는 사는 곳마저 다르다고 分明히 한다. 하여 "검은 알프"라는 뜻의 스바르트알프 는 드베르그를 가리키는 同義語로 생각되고 있다. [2] 또 〈 詩語法 〉 第46章에서는 블로크 라는 드베르그의 故鄕이 스바르트알파헤임이라고 한다. 한便, 〈巫女의 豫言〉 第37章에서는 드베르그의 故鄕이 니다벨리르 라고 한다. 드베르그의 흐레이드마르 가 드베르그의 王이라고 하는데, 〈詩語法〉 第39章에서는 로키 안드바里 를 붙잡은 곳이 스바르트알프헤임이라고 한다. [3] 니다벨리르와 스바르트알프헤임이 同一한 곳이라고 친다면 일곱 番째 世界는 드베르그의 世界가 된다. [4]

7. 드베르그 (난쟁이)의 故鄕 니다벨리르 / 스바르트알파헤임

以上 일곱 個의 世界는 各各 神話에 登場하는 일곱 種族들의 故鄕이다. 나머지 두 世界가 어딘지는 알 수 없는데, 太初에 긴눙가가프 를 사이에 두고 存在한 極限과 極熱의 두 世界도 이름에 "故鄕"을 意味하는 "헤임"李 들어가는 故로 이 둘까지 쳐서 머릿數 아홉을 맞출 수 있다. [5] [6]

8. 안개의 故鄕 니플헤임
9. 末世 의 故鄕 무스펠스헤임

不確實性 [ 編輯 ]

詳述한 아홉 世界가 위그드라실 에 連結된 9世界의 目錄으로 大槪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神話를 꼼꼼히 따져가며 읽다 보면 위의 아홉 世界 사이의 關係나 아홉 世界를 除外한 다른 場所와의 關係가 여러가지로 앞뒤가 안 맞거나 혼란스러운 部分이 많다. 代表的인 것이 바로 니플헤임 - 니플헬 - 헬헤임 의 問題이다. 亡者를 다스리는 女神인 은 니플헤임에 산다고 한다. [7] 오딘 이 헬을 니플헤임에 집어던진 뒤 헬은 그곳에 높은 壁과 단단한 城門으로 둘러싸인 王國을 세웠다.

이런 理由로 亡者들이 사는 곳이라는 헬헤임은 니플헤임과 同一視되게 된다. 或者는 헬헤임 中에서도 惡人들이 苦痛받는 밑바닥이 니플헬 (바프스루드니르가 다녀왔다고 오딘에게 자랑한 곳)이며, 니플헤임은 얼음과 안개가 支配하는 太古의 空間이라고 區分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이 오늘날의 사람들만 헷갈리는 게 아니라 神話가 口傳되던 當代부터 이미 混用되고 있었음을 나타내는 筆寫本들이 몇 點 남아 있다. [8] 新 에다 》에 보면 아스가르드의 防壁을 지은 石工( 스바딜파리 의 主人)李 토르 의 망치에 골통이 깨져서 죽는데, 主要 筆寫本 네 點 中 두 點은 토르가 “그를 니플헤임으로 보냈다”고 하고, 다른 두 點은 “니플헬로 보냈다”고 한다. [9]

各州 [ 編輯 ]

  1. http://etext.old.no/Bugge/voluspa/voluspa1.html
  2. Orchard (1997) , "Black Elves".
  3. Faulkes 1995 , 100쪽
  4. Davidson (1988) , 172쪽.
  5. Enoksen, Lars Magnar (2008). Norrøne guder og myter
  6. Simek, Rudolf (1993).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
  7. Davidson (1964) , 32쪽.
  8. Orchard (1997) , "Niflheim".
  9. Lindow (2001) , 241쪽.

參考 文獻 [ 編輯 ]

  • Crossley-Holland, Kevin (1980). Norse Myths: Gods of the Vikings . Penguin Books.  
  • Ellis, Hilda R. (1964).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 Penguin Books.  
  • Ellis, Hilda R. (1988).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  
  • Lindow, John (2001). Handbook of Norse Mythology . ABC-CLIO. ISBN   1-57607-217-7 .  
  •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 Cassell . ISBN   0-304-34520-2 .  
  • Zoega, Geir T. (1910).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