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그디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소그디아나 에서 넘어옴)

小그디아
紀元前 6世紀 ~ 書記 11世紀
소그디아의 강역.
小그디아의 疆域.
수도 사마르칸트 , 부하라 , 後盞트 , 케시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人文
共通語 소그드어
데모님 소그드人
經濟
通話 死産 帝國 通貨와 中國 帝國 通話를 竝行해서 使用. [1] [2]
宗敎
宗敎 조로아스터교 , 摩尼敎 , 佛敎 , 이슬람敎 , 景敎

小그디아 ( 아제르바이잔語 : s?gdi? ) 또는 소그디아나 는 古代 이란족 系列의 遊牧民族 스키타이人 들을 부르는 單語인 소그드人 들이 사는 나라 라는 뜻이다. 오늘날의 中央아시아 의 一部 地域을 包含한다. 소그디아나는 다리우스 1歲 베히스툰 鼻紋 에서 18番째로 登場하며, 아케메네스 帝國 의 株를 일컫기도 했다. 아베스타 에서는 소그디아나가 아후라 마즈다 가 創造한 都市 中 2番째로 좋은 地域이라고 評價한다. [3] 조로아스터교 의 經典 벤디다드 에서는 아리아나 베야 다음으로 이 地域을 言及하고 있으며, 이는 古代부터 이 地域이 重要했음을 暗示한다. [4] [5] 소그디아나는 아케메네스 帝國의 樹立自認 키루스 2歲 가 進出했으며 以後 紀元前 328年 마케도니아 王國의 알렉산드로스 大王 이 이 地域을 倂合했다. 以後에도 셀레우코스 帝國 , 그리스-박트리아 王國 , 쿠샨 帝國 , 에프탈 , 死産 帝國 이 存在했다. 紀元前 4世紀 카라수크 文化의 스키타이는 匈奴에 影響을 주었고 2世紀부터 튀르크族人 匈奴와 훈族들이 스키타이와 함께 이 地域에서 遊牧 生活을 하였다. 6世紀부터는 中央아시아에서 發興한 튀르크人들이 突厥帝國을 建國하면서 소그드人과 突厥人들이 區分되지 않았으며 소그디아나는 튀르크化되었다.

소그드 國家들은 政治的으로 完全히 統合되지는 못했지만 어느 程度 統合된 狀態에서 사마르칸트 를 中心으로 形成되었다. 소그디아나의 南쪽은 그리스 박트리아 였고, 西쪽은 화레즘 이었으며, 北西쪽에는 康居 人들이 居住하고 있었다. 이 地域은 아무다리야江 시르다리야江 사이의 地域으로, 제라프샨江 이 흐르는 肥沃한 地域이었다. [6] 近世 時期에 소그드 都市들은 이식쿨湖 에서 수야브 一帶까지 뻗어있었다. 東部 이란語의 一種인 소그드어 는 더 以上 使用하지 않고 있지만, 이 言語의 直系 方言인 야그奴婢어 타지키스탄 야그奴婢인 들이 如前히 使用하고 있었다. 突厥帝國이 建國되어서도 소그드語는 中央아시아에서 公用語로 使用되었고, 突厥 第1帝國 이 議會에서 記錄을 남기기 위해 使用하기도 했다.

소그드 商人들과 政治가 들은 東로마 帝國 에서도 活動했다. 그들은 緋緞길 의 交易에서 있어서 重要한 中間 媒介者 役割을 했다. 이들은 初期에 조로아스터교 , 摩尼敎 , 佛敎 를 믿었지만 以後 西아시아 에서 流入된 네스토리우스派 基督敎와 이슬람敎 도 믿었다. 999年 四萬 帝國 이 滅亡하고 同時에 소그드어 가 衰退하면서 이슬람敎 가 流行하였다.

이름 [ 編輯 ]

소그디아나(Sogdiana)는 '소그드'(Sogd)의 '땅'(ia)이라는 意味로, 中央아시아의 아무다리야江 시르다리야江 上流의 中間을 東西로 흐르는 第라흐샨 講義 옛 이름이다. 소그디아나는 中國과 西아시아, 유럽을 잇는 東西의 對象 貿易路, 卽 실크로드의 要衝地였을 뿐만 亞니라南으로는 印度 , 北으로는 草原의 世界를 잇는 交通上의 要地로서 國際的인 商業의 中心地로 繁榮하였다. [7]

中國 記錄에는 속과(粟戈) [8] , 속특(粟特) [9] , 솔리(?利) 또는 속리(速利)라고 記錄되어 있다. 솔리는 中世 페르시아語人 술리크(Sulik)의 對應이다.

歷史 [ 編輯 ]

紀元前 10世紀 頃 中央아시아의 主要 오아시스를 따라 農耕이 廣範圍하게 盛行하면서 박트리아, 호라즘, 소그디아나 等地에서 單一防禦體制를 갖춘 性癖을 가진 大規模 都市들이 形成되었다. 紀元前 6世紀 頃에는 古代 박트리아와 함께 아케메네스 兆 페르시아의 屬國으로 編入되었다가 紀元前 4世紀頃에는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大王 에게 征服되었다.

紀元前 133年에서 129年 사이에는 大月氏 의 勢力下에 들었다가, 月池 中에 이른바 '쿠샨 世代'가 擡頭하면서 다시 쿠샨의 領域에 屬하게 되었다. 쿠샨 王朝가 崩壞된 뒤에는 死産 兆 페르시아에 朝貢을 바치기도 하였다. 한때 5世紀 몽골 草原에서 發興하여 알타이 山脈을 넘어 온 에프탈에 强占되었다가 6世紀 中盤 다시금 死産 兆 페르시아와 튀르크(突厥)의 聯合軍에 依해 567年 에프탈이 滅亡하고, 以後 西突厥 의 支配를 받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西쪽으로 移動하였다.

歷史的으로 紀元前부터 西쪽으로는 페르시아나 알렉산드로스 大王, 東쪽으로 大月氏, 쿠샨, 에프탈, 西突厥 等의 支配를 받으며 소그디아나 地域에서는 東西의 다양한 文化가 共存하였고, 東西 交流의 中心地로 發展하였다.

소그디아나의 中心都市로 가장 發達했던 곳은 사마르칸트인데, 사마르칸트를 비롯하여 여러 都市로 이루어진 聯盟國家體制를 構築하고 있었다. 數當代 中國에서는 이 地域의 사람들을 統稱하여 小巫構成 (昭武九姓)이라고 불렀다. 小巫構成의 中心國家는 사마르칸트를 基盤으로 하는 强國(康國)이었다. 이 小巫構成의 出現 以前부터 소그디아나 地域에 살고 있던 先住民과 西쪽으로 옮겨온 月支國 사람들을 統稱하여 소그드人 이라 부르기도 한다.

小巫構成은 에프탈의 뒤를 이어 소그디아나는 突厥과는 相生 關係를 形成하면서 東西 交易의 主要 勢力으로 成長하였다. 소그드人들은 中國에 와서 交易에 從事하였고, 中國 記錄에서는 이들을 '護喪'(胡商) [10] 이라고 불렀다.

7世紀 中盤 아랍의 侵攻을 받고 8世紀 中盤에 이르러서는 압바스 王朝에 依해 完全히 服屬, 이슬람化되었다. [11]

소그드 美術 [ 編輯 ]

3世紀∼4世紀의 古代 호라즘王(王)의 都市遺跡(都市遺跡)이나 카시갈 地方을 中心으로 7世紀∼10世紀에 소그드人의 美術活動이 일어났다.

소그드人의 美意識이나 美的 感覺은 이란 高原 (高原)의 사산조(朝)의 影響을 濃厚하게 받고 있는 듯하다. 그들은 이란 高原의 페르시아人(人)과 같은 屍體 處理를 行하며 그 助長(鳥葬)이나 風葬(風葬) 形式에서 힌트를 얻어 專門的으로 飼育(飼育)韓 개에게 屍體를 먹이고 남은 뼈를 壯骨機(藏骨器, 오스아리)에 넣어 埋藏하고 있었다.

이소(泥塑)로 正四角形의 箱子 模樣을 만들어 外面에 주걱(spatula)으로 閣門(刻文)과 人文(印文)의 裝飾文樣을 베푼 管(棺)에 植物門(植物紋)을 넣은 뚜껑이 붙는데, 稚拙(稚拙)하지만 힘찬 造形이 보이며, 다른 以上土偶(泥象土偶)와 더불어 土着 소그드人의 美意識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피얀地겐트 出土의 壁畫나 建築細部 等을 보면 宮廷美術의 代表 遺品처럼 보이며, 採火(彩畵)의 技法이나 또 先靑色(鮮靑色)의 來피스 라즐里(청壁色의 돌로 아프가니스탄山)의 使用에 依한 效果, 또는 갑주(甲胄)의 形式, 王后의 保管 等에 사산조(朝) 페르시아 美術의 影響을 받고 있다.

더욱이 消失(燒失)된 建物의 壁面에 使用했던 高浮彫(高浮彫) 裝飾에 演奏文(連珠紋), 騎馬狩獵門(騎馬狩獵紋)이 있으며 사산조(朝) 美術과 같은 傾向이 있음을 確認할 수가 있다. 壁面의 채話法(彩畵法)李 後日의 페르시아 細密畫(細密畵, miniature)와 類似하여 러시아 學者의 一部에서는 소그드 繪畫가 細密畫의 起源이라고 主張하고 있을 程度이다.

寫眞 [ 編輯 ]

各州 [ 編輯 ]

  1. “Soghdian Kai Yuans (lectured at the Dutch 1994-ONS meeting)” . 《T.D. Yih and J. de Kreek (hosted on the Chinese Coinage Website).》. 1994 . 2018年 6月 8日에 確認함 .  
  2. “Samarqand's Cast Coinage of the Early 7th?Mid-8th Centuries AD: Assessment based on Chinese sources and numismatic evidence.” . 《Andrew Reinhard (Pocket Change ? The blog of the American Numismatic Society ).》. 2016年 8月 12日. 2018年 6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9日에 確認함 .  
  3. Mark J. Dresden (1981), "Introductory Note," in Guitty Azarpay,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3, ISBN   0-520-03765-0 .
  4. “Avesta: Vendidad (English): Fargard 1” . Avesta.org. 2016年 10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1月 4日에 確認함 .  
  5. Mark J. Dresden (2003), "Sogdi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Ehsan Yarshater,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16, ISBN   0-521-24699-7 .
  6.   Chisholm, Hugh, 編輯. (1911). 〈 Sogdiana 〉. 《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 11板. 케임브리지 大學校 出版部.  
  7. 민병훈 '中央아시아의 소그드 文化' 《東西文明의 十字로 우즈베키스탄의 古代 文化》 國立中央博物館, 2009, 234~236
  8. 《後漢書》鉏逆轉
  9. 《魏書》 鉏逆轉
  10. 號(胡)는 한臺에는 匈奴인과 같은 中國 王朝의 北方에 位置한 遊牧民들을 指稱하는 말이었으나, 數當代에 이르면 全的으로 中央아시아의 소그드人을 指稱하는 用語로 굳어졌다.
  11. 장준희 '우즈베키스탄의 文化史' 《東西文明의 十字로 우즈베키스탄의 古代 文化》國立中央博物館, 2009, 201~205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소그드 美術"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