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膳物 (金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膳物 (金融)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膳物 (先物, 英語 : futures contract, futures )은 派生商品 의 한 種類로서 品質, 數量, 規格 等이 標準化되어 있는 商品 또는 金融資産을 미리 決定된 價格으로 未來 一定時點에 印度·引受할 것을 約定한 去來를 말한다. 卽, '物件을 사고 팔겠다는 契約을 미리 하는 것'이고 '將來 일정한 時點에 미리 定한 價格으로 賣買할 것을 現在 時點에서 約定'하는 去來이다. 이러한 標準化된 商品, 資産은 定해진 市場을 통해서만 去來된다. 先物去來와 同一하게 未來의 商品, 資産을 現在에 去來하는 先導去來와의 差異는 去來되는 商品 또는 資産 等이 標準化가 되어있는지와, 그것을 去來하는 特定市場이 存在하는지의 與否에 따라 區分된다.

關聯用語 [ 編輯 ]

基礎資産
滿期日에 가서 引渡되는 資産을 말한다. 이 基礎資産이 穀物, 原乳와 같은 實物商品이면 ‘商品膳物’이라고 하며, 外貨, 債券과 같은 金融資産이면 ‘金融膳物’이라고 한다.
滿期日
先物契約에 依해 現物의 印度가 約束된 날을 말한다. 滿期가 가까운 膳物은 ‘近月物’, 滿期가 많이 남은 膳物을 ‘원月物’이라고 한다.
決濟方法
滿期日에 現物을 引受도하는 '實物引受渡方式'(physical delivery settlement)과 先物價格과 膳物滿期日의 現物價格 差異만을 精算하는 '現金決濟方式'(cash settlement)으로 區分된다.

價格決定 [ 編輯 ]

先物價格의 價格決定에 있어서 未來現物價格의 期待값과의 關係에 對해서는 期待假說이 成立하는 것으로 본다. 卽, 不確實性이 없는 均衡狀態에서는 先物市場의 需要供給에 依해 形成된 先物價格이 未來現物價格의 期待값E{S t }가 一致하게 되어 다음이 成立한다.

.

그러나 實際 去來市場에서는 去來者들의 去來同期에 依한 포지션에 따라 F t > E[S t ] 또는 F t < E[S t ]인 狀態가 나타나는데, 前者의 境遇처럼 現在先物價格이 未來現物價格의 期待값보다 큰 境遇를 콘탱고(contango)라고 하며, 未來現物價格의 期待값보다 낮은 境遇를 白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고 한다.

保有費用模型 [ 編輯 ]

實際 去來되는 先物價格을 測定하는 方法은 現物資産을 購入하여 先物契約의 滿期까지 保有하는 데 所要되는 費用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槪念을 保有費用模型이라고 하며, 膳物價格(F t )과 現在의 現物價格(S 0 )과의 關係式으로 나타낼 수 있다. 保有費用을 C 라고하면 다음과 같다.

이 式을 現物-膳物패리티(spot-futures parity)라고 하며, 여기서 金額單位로 標示된 保有費用 C를 資本費用 의 觀點에서 %로 標示하면 다음과 같이 表現할 수도 있다.

또는 連續複利 假定時

參照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