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尙州 흥암서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尙州 흥암서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흥암서원
(興巖書院)
대한민국 慶尙北道 記念物
種目 記念物 第61號
( 1985年 10月 15日 指定)
時代 朝鮮時代
상주 흥암서원은(는) 지구 안에 위치해 있다
상주 흥암서원
尙州 흥암서원
尙州 흥암서원(地球)
住所 慶尙北道 尙州市 연원동 769
座標 北緯 36° 25′ 04″ 東京 128° 08′ 13″  /  北緯 36.4178671° 東京 128.1369184°  / 36.4178671; 128.1369184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흥암서원 (興巖書院)은 慶尙北道 尙州市 연원동에 있는 서원 이다.

1702年 문정공 송준길 (文正公 宋浚吉)을 모시기 위해 지어졌고, 1705年 賜額을 받았다.

槪要 [ 編輯 ]

동춘당 宋浚吉을 기리기 위해 세운 書院이다.

송준길(1606∼1672)은 朝鮮 後期 文臣이며 뛰어난 學問과 바른 行實로 推薦을 받아 官職에 올랐다. 金長生의 가르침을 받은 性理學者로서 特히 禮學에 밝았다.

흥암서원은 肅宗 28年(1702)에 세웠으며 肅宗 42年(1716)에 임금으로부터 이름을 받아 賜額書院이 되었다.

境內 建物로는 興岩寺, 진수당, 집依在, 의인재, 어필비각 等이 있다.

位牌가 있는 흥암社는 앞面 3칸·옆面 3칸 規模로, 지붕은 옆面에서 볼 때 사람 人(人)字 模樣과 비슷한 맞배지붕이다. 講堂 구실을 하던 진수당은 앞面 5칸·옆面 3칸 規模이며, 지붕은 옆面에서 볼 때 여덟 팔(八)字 模樣인 八作지붕으로 꾸몄다. 집依在와 의인재는 學生들의 寄宿舍로 使用하던 곳이다. 어필비각 안에는 肅宗이 지어준 ‘흥암서원’이라 새긴 비가 있다.

興宣大院君의 書院撤廢令에도 閉鎖되지 않고 남은 47個 書院 中 하나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