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明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明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北魚 에서 넘어옴)

明太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早期語江
목: 大口目
과: 大口科
속: 明太속
種: 明太
學名
Theragra chalcogramma
[ 出處 必要 ]
保全狀態


準威脅(NT): 近未來에 威脅에 處할 수 있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 出處 必要 ]

明太 (明太, 英語 : Alaska pollock, walleye pollock )는 大口科 에 딸린 물고기이다. 東海 , 日本 北部, 오호츠크해 , 베링海 等의 北太平洋 海域에 分布한다. 韓國에서는 朝鮮時代 咸鏡北道 明川(明川)의 태(太)氏姓을 가진 사람이 물고기를 잡아 觀察使에게 飯饌으로 내놓았는데, 그 물고기의 이름을 몰라 明太라고 지어주었다고 한다. 어린 個體는 노가리 라 부른다. [1] 半乾燥한 明太는 코다리 , 하얗게 말린 明太는 百態 (白太)라고 한다. 또한 乾燥 過程에 따라 이름이 바뀌는데 얼어붙었으면 凍太라고 불린다. 明太는 東海 에서 27萬 以上 잡힐만큼 1940年에 韓國에서 가장 흔한 물고기였다. 그러나, 明太의 새끼인 노가리 濫獲과 地球 溫暖化 로 大韓民國은 現在 明太의 大部分을 輸入에 依存하고 있다. [2]

어원 [ 編輯 ]

朝鮮時代 咸鏡北道 明川(明川)에서 사는 태(太)氏姓을 가진 사람이 물고기를 잡아 觀察使에게 飯饌으로 내놓았는데, 觀察使가 太氏性을 가진 사람에게 물고기의 이름을 물어보았으나 그도 모른다고 하자 觀察使는 明川의 첫글字인 명자와 太氏性을 가진 사람의 成人 太子를 따서 그 물고기의 이름을 明太(明太)라고 지었다고 傳한다.

朝鮮 時代에는 明太를 明太라 부르지 않고, 무태, 武泰語로도 불렸다. 明太가 明나라 太祖 와 音이 비슷해서 금기시되기도 했다. 1530年 編纂된 < 新增東國輿地勝覽 >에는 武泰어(無泰魚)로 收錄되었으며, 明太는 ‘明川 사는 胎씨 漁夫’ 이야기 前에도 武泰語로 나타난다. [3] 朝鮮 後期의 文臣이자 學者인 홍양호 (1724∼1802年)가 쓴 <이계집>에도 明太를 武泰어(無泰魚)로 表記한다. <이계집>에 "靑魚 等은 그물로 잡고, 武泰어는 낚시로 잡으며(無泰魚以釣)"라 하였다. [3] 民間에서는 明太라는 말을 繼續 使用했지만, 明나라 의 눈치를 본 朝鮮 王朝의 官吏들은 明太라 하지 않고 武泰어라 불렀다.

形態 [ 編輯 ]

등지느러미는 3個, 뒷지느러미는 2個로 體高는 多少 낮고 몸은 側偏되어 있다. 눈은 크며 머리의 등쪽 가장자리와 接한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쪽으로 突出되어 있으며, 아랫턱의 앞끝에는 1個의 痕跡的인 鬚髥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比較的 길어서 第1등지느러미 基底의 뒤끝을 지나며, 꼬리지느러미는 垂直型이다.

體色 [ 編輯 ]

몸 등쪽은 軟한 褐色 或은 靑色 바탕에 幅이 좁은 波狀 무늬의 暗褐色 세로띠가 3줄假量 머리 뒤쪽에서 꼬리까지 길게 뻗어 있으며 배쪽은 희다. 가슴지느러미는 검다.

生態 [ 編輯 ]

主로 大陸棚과 大陸斜面에 棲息한다. 散亂은 1~5℃에서 이루어지며, 産卵期는 12~4月이다. 먹이는 主로 작은 甲殼類(凹角類, 젓새우類, 단각類 等)와 작은 魚類(때로는 明太 稚魚와 알도 먹음) 等을 먹는다. 주낙이나 그물을 利用해 잡고 年中 大部分의 時期에 捕獲이 이루어진다.

大邱와의 區別 [ 編輯 ]

大邱 는 위턱이 앞쪽으로 突出되어 있는 反面에 明太는 아랫턱이 앞쪽으로 突出되어 있어 잘 區別된다.

古文獻 [ 編輯 ]

임하일機 에는 明太, 新增東國輿地勝覽 에는 武泰어(無泰魚)라고 記錄되어 있다. 蘭湖漁牧志 에는 明太魚라 하며, 生것을 明太, 말린 것을 北魚라 한다고 적혀있다.

飮食 [ 編輯 ]

黃太
明卵

明太는 모든 部位가 料理에 使用되는 生鮮이다. 生太찌개, 生態매운湯, 황태구이, 黃太찜, 北魚국, 北魚무침, 술按酒로 좋은 노가리 等으로 다양하게 조리된다. 蛋白質이 豐富하며, 알과 창자는 各各 明卵젓, 창란젓으로 利用된다.

  • 生態(날 明太) - 生太찌개, 生態매운湯
  • 코다리(半乾燥 明太) - 코다리 조림
  • 코다리(半乾燥 明太) - 코다리 강정
  • 黃太(말린 明太)
  • 北魚(바짝 말린 明太) - 北魚국 , 北魚찜
  • 動態(얼린 明太) - 凍太찌개, 凍太煎
  • 노가리(말린 明太치어)
  • 明卵(明太 알) - 明卵젓
  • 창란(明太 창자) - 창란젓
  • 明太순대
  • 名葉菜 - 明太살을 얇게 저미고 양념을 해서 말린 다음 잘게 찢은 것

韓國 사람들은 朝鮮時代부터 明太를 즐겨먹고 있다.

寫眞 [ 編輯 ]

滅種 危機 [ 編輯 ]

韓國 東海에서 27萬톤 以上이 잡히던 흔한 물고기 明太의 漁獲量이 大幅 減少했다. 海洋水産部 의 統計資料에 依하면 1981年에는 14萬톤의 漁獲量을 記錄했지만 2010年代에 들어서는 年平均 2톤假量의 漁獲量을 記錄했다. [4]

各州 [ 編輯 ]

  • 2008 遠洋産業 統計年報 176쪽 (韓國遠洋産業協會)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