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실리데스 (Basilides, Βασιλε?δη?: fl. AD 117 - 138)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1] 의 初期 나스티시즘 (靈智主義, Gnosticism) 敎父들 中의 한 名이었다. 바실리데스는 AD 117 - 138年 동안 가르침을 폈다. [* 1] 바실리데스가 누구의 弟子였는가에 對해서는 여러 가지 說이 있다:

이 中에서 바실리데스가 글라우키아스 의 弟子라는 說은 現代의 學者들은 받아들이지 않는 見解이다. [5] 마네스 와의 論爭(Acts of the Disputation with Manes)》에서는 바실리데스가 얼마 동안은 페르시아 人들을 가르쳤다고 말하고 있다. [6]

바실리데스는 《解析(Exegetica)》이라는 題目의 基督敎 福音 에 對한 24卷 以上의 冊을 著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7] 이에 따라 바실리데스가 가장 初期의 基督敎 福音 註解家들 中의 한 名이었던 것으로 判斷되고 있다. 그러나 바실리데스의 이 著作들은 現在는 모두 傳해지지 않는다. 그의 著作의 一部 短篇들만이 傳해지고 있을 뿐이다. 바실리데스와 그의 見解에 對해서는 主로 그의 反對者들人 基督敎 敎父 들이 그의 見解를 論駁하기 爲해 必要上 提供하는 資料들을 통해서만 알 수 있으며, 現在까지 傳해진 그의 著作의 一部 短篇들은 이러한 그의 反對者들을 통해 알려진 內容을 補充하는 役割 程度만 하는 狀態이다.

바실리데스의 팔로어들(followers: 弟子들과 支持者들)인 바실리데스主義者들 (Basilidians)은 바실리데스(fl. AD 117 - 138)의 事後(死後) 最小 200年間 持續되었다. 에피파니우스 (St. Epiphanius of Salamis: c. 315 - 403)는 4世紀 末에 바실리데스의 그노시스 (Basilidian Gnosis) 卽 바실리데스의 神秘 가르침(Mystery teachings of Basilides)李 이집트에서 持續되고 있다고 認定하였다. 그러나 바실리데스 學派 (Basilidian school)는 2世紀 後半의 酒類 나스티시즘 에 融合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妥當한 것으로 보인다. [8]

源泉 資料 [ 編輯 ]

基督敎 敎父들의 著作들 [ 編輯 ]

歷史家들은 바실리데스와 그의 가르침들에 對해 主로 그를 誹謗하고 헐뜯는 사람들(detractors)의 著作을 통해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들 바실리데스의 反對者들의 說明이 얼마나 信賴할만한가 하는 것은 決定이 不可能한 事項이다. 바실리데스의 가르침에 對한 가장 오래된 反駁 또는 論駁이 담긴 冊은 아그리파 카스토르 (Agrippa Castor)에 依한 것이다. 하지만 이 冊은 現存하지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바실리데스의 가르침에 對해서 알고자 할 때 依存하게 되는 資料들은 다음과 같은 바실리데스(fl. AD 117 - 138) 死後의 基督敎 敎父 들의 說明들이다.

  • 에우세비우스 (Eusebius of Caesarea: c.263 - c.339)의 《 敎會史 (Ecclesiastical History)》, 4卷, 7張: 4世紀 頃에 著述되었다.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St. Clement of Alexandria: c.150 - c.215)의 《 스트로마打 (Stromata)》, 1卷, 21張; 2卷, 6, 8, 20張; 4卷, 11, 12, 25; 5卷, 1張 等: 208 - 210年 사이에 著述되었다. 그리고 所謂《테오道토스(Theodotus)로부터의 引用(Excerpta ex Theodoto)》이라고 하는 글도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著述한 것이라는 見解가 있다.
  • 히폴리토스 (St. Hippolytus of Rome: c.170 - c.236)의 《 모든 異端的 敎說의 論破 (Refutation of all Heresies = Philosophumena)》, 7卷: 225年 頃에 著述되었다.
  • 슈道-테르툴리아누스(Pseudo-Tertullian)의 《 모든 異端的 敎說에 對한 反駁 (Against All Heresies)》: 테르툴리아누스 (Tertullian: c.160 - c. 220)의 《 異端的 敎說에 對한 處方 (De Praescriptionibus = De praescriptione hereticorum = The Prescription Against Heresies)》의 附錄에 該當하는 작은 논서이다. 實際로는 테르툴리아누스 가 아닌 다른 著者가 著述한 논서로 아마도 빅토리누스(Victorinus of Pettau)가 그 著者가 아닌가 한다. 240年 頃에 著述되었으며 히폴리토스 의 現存하지 않는 著書인 《컴펜디엄(Compendium: 컴필레이션, 輯錄)》을 基礎로 作成되었다.
  • 에피파니우스 (St. Epiphanius of Salamis: c.310-320 - 403)의 《 罷拿리온 (Panarion = 異端的 敎說에 對한 反駁 = Adversus Haereses = Against Heresies)》, 1卷, 24節
  • 테오道레트 (Theodoret of Cyrus: c.393 - c.457)의 《異端 敎說 집론(Haereticarum fabularum compendium = Compendium of Heretical Accounts)》, 1卷, 4張

바실리데스의 著作들 [ 編輯 ]

바실리데스의 거의 모든 著作들이 現存하지 않는다. 다만 그의 著作들 中 세 가지의 이름들과 一部 短篇들만이 現在까지 傳해지고 있을 뿐이다.

其他 著作들 [ 編輯 ]

다음과 같은 一部 短篇들이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Clement of Alexandria)의 著作을 통해 알려져 있다:

  • 本來부터 存在하는 여덟 엔티티들(The Octet of Subsistent Entities = 本來부터 存在하는 엔티티들의 옥텟) (短篇 A)
  • 世上의 唯一無二性(The Uniqueness of the World) (短篇 B)
  • 天命(天命)을 받은 사람에게는 自然히 믿음과 德이 있게 된다(Election Naturally Entails Faith and Virtue = 臺도(大道)를 깨치면 自然히 믿음과 德이 있게 된다) (短篇 C)
  • 德의 狀態(The State of Virtue) (短篇 D)
  • 天命(天命)을 받은 사람은 世上을 超越한다(The Elect Transcend the World = 臺도(大道)를 깨친 사람은 世上을 超越한다) (短篇 E)
  • 輪廻(Reincarnation) (短篇 F)
  • 人間의 苦痛과 千名(天命)의 善함(Human Suffering and the Goodness of Providence = 人間의 苦痛과 神의 攝理의 善함) (短篇 G)
  • 容恕받을 수 있는 罪들(Forgivable Sins) (短篇 H)

마네스 와의 論爭(Acts of the Disputation with Manes)》: 이 冊은 3世紀 後半 또는 末에 著述된 것으로 摩尼敎 (摩尼?, Manichaeism)가 바실리데스의 가르침 으로부터 由來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遺物 [ 編輯 ]

交椅 [ 編輯 ]

創造(Creation) [ 編輯 ]

바실리데스의 體系 에 對한 情報는 主로 이레나이우스 (Irenaeus: AD 2世紀 - c.202)의 《異敎徒에 反對하여(Adversus Haereses)》와 히폴리토스 (Hippolytus: c. 170 - c. 236)의 《필로小巫메나(Philosophumena) = 모든 異端的 敎說의 論破(Refutation of all Heresies)》에 나타나는 說明들에 依存한다. 그런데 이들의 說明이 서로 間에 아주 달라서 相當히 많은 部分에서 서로 矛盾된다. 히폴리토스 에 따르면 바실리데스는 明白히 汎神論 進化主義子 (pantheistic evolutionist)였다. 反面 이레나이우스 에 따르면 바실리데스는 二元論者 (dualist)였고 拔出론자 (emanationist = 流出론자)였다.

필립 샤프 (Philip Schaff: 1819-1893, 스위스 프로테스탄트 神學者 및 敎會史 硏究家)와 같은 敎會史 硏究家들은 다음과 같은 見解를 가지고 있다: " 이레나이우스 는 元來의 바실리데스注意 가 아니라 後代에 墮落된 形態의 바실리데스注意 를 描寫하였다. 反面,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바실리데스의 體系 에 對한 知識을 바실리데스가 著述한 《解析(Exegetica)》에서 直接 가져온 것임에 틀림 없다. 히폴리토스 는 自身의 著書 《필로小巫메나(Philosophumena) = 모든 異端的 敎說의 論破(Refutation of all Heresies)》에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보다 더 仔細하게 바실리데스의 體系 에 對해 說明하는데 히폴리토스 또한 十中八九 이 內容을 바실리데스가 著述한 《解析(Exegetica)》에서 直接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 두 交付의 說明이 바실리데스가 直接 가르쳤던 形態의 敎義를 보여준다." [13]

믿음과 千名(Faith and Election) [ 編輯 ]

바실리데스는 믿음(faith)이란 單純히 "(物質 世上에는) 存在하지 않기 때문에 (物質的) 感覺 組織에 刺戟을 일으키지 않는 事物들에 對해 靈魂(soul)李 同意하는 것" [* 2] 일 뿐이라고 하였다. 바실리데스는 또한 믿음은 "人間의 本然의 性品(nature)"에 屬한 問題이지 分別力에 依한 選擇(responsible choice)의 問題가 아니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人間은 "知的 理解(intellective apprehension)를 통한 證明 없이도 (참된) 敎義들을 發見하곤 한다"고 보았다 [14] . 바실리데스는 또한 사람들이 (오랫동안 自身의 믿음 또는 信念을 지니고 追求한다면, 그 오랜 期間 동안에) 自身의 믿음에 걸맞게 蓄積된 어떤 形態의 尊嚴性 또는 威嚴을 지니게 된다고 보았다 [15] [* 3] .

바실리데스(Basilides)는 믿음(faith)이 人間의 本然의 性品에 屬한 問題(matter of nature)라고 보았기 때문에, (믿음을 持續하여 그 結果로) 天命(天命)을 받아야 한다는 것(election = 神의 選擇을 받는 것 = 召命을 받는 것)을 剛하게 主張하였다. 이러한 主張에 따라 바실리데스는 人類들 中 一部의 사람들을 나머지 사람들과 區分하였는데, 이 사람들만이 高級한 깨달음(higher enlightenment)을 받을 資格이 있는 것으로 神의 判決(Divine decree)에 依해 定해진다고 하였다. 바실리데스가 "天命을 받는 것(election)은 그 本來의 性格上 物質 世上을 超越한 일(supermundane = 超世間의 일 = 超世間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天命을 받는 것은 物質 世上에 屬하지 않는 일(世上 밖의 일)이다"라고 말했던 것은 이러한 意味에 依據했던 것임에 틀림 없다 [16] [* 4] .

輪廻(Metempsychosis) [ 編輯 ]

바실리데스는 前生에서 지은 罪로 인해 現生에서 罰을 받는다는 생각을 導入하였다. 그리고 天命을 받은 靈魂(elect soul)은 영광스럽게 殉敎를 겪으며 反面 그렇지 않은 靈魂은 適切한 罰을 받음으로써 淨化된다고 하였다. 바실리데스主義者들은 3代 또는 4代에까지 罪값을 치르게 한다는 하나님의 말씀은 이러한 輪廻(metempsychosis)의 敎義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17] . 오리겐 (Origen: c.185 - c.254)은 바실리데스가 로마書 7:9을 다음과 같은 意味로 解釋하였다고 말하였다:

使徒 바울 은 '나는 前에 律法 없이 살았었다(I lived without a law once)'고 말했다. 이 말은 내가 이 肉體로 들어오기 前에는 法則(law), 卽, 새와 같은 짐승(beast)의 法則 아래에 있지 않는 形態의 체 속에서 살았었다는 말이다 [18] .

그러나, 萬若 前生에 지은 罪 없이 苦痛을 겪는 사람이 있다면 그 苦痛은 "[敵對하는] 파워가 計劃한" 것이 아니며 이 狀況은 아무런 罪도 짓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아기(babe)가 苦痛을 겪는 것과 같다고 바실리데스主義者들은 말하였다. 아기(infant)가 苦痛을 받는 것은 아기에게 이로움을 주기 위한 것인데, 逆境을 通해 成長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였다.

地獄(Hell) [ 編輯 ]

오리겐 (Origen: c.185 - c.254)에 따르면, 바실리데스는 사람이 죽었을 때 받는 唯一한 벌은 이 世上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19] . 그리고 오리겐 은 惡한 行爲를 하면 죽어서 地獄에 간다고 怯을 주어 善한 行爲를 하게 만드는 '有益한 두려움(salutary fear)'李 바실리데스의 이 가르침 때문에 사라져버리는 結果가 惹起되었다고 不滿을 提起하였다 [19] .

殉敎(Martyrdom) [ 編輯 ]

바실리데스는 輪廻 (metempsychosis)라는 運命論的인 世界觀(fatalistic view)을 가졌기 때문에, 그는 基督敎 殉敎者들 (Christian martyrs)李 基督敎人이기 때문에 罰을 받는 것이 아니라 過去에 저지른 罪로 인해 罰을 받는 것이라고 믿었다 [20] . 이 때문에 오리겐 (Origen: c.185 - c.254)은 바실리데스(fl. AD 117-138)가 殉敎者들을 貶下하였다고 말하였다 [21] .

理性을 壓倒하는 感情들(Passions) [ 編輯 ]

바실리데스主義者 들은 理性을 壓倒하는 感情(passions) [* 5] 을 附加物(Appendages)이라고 부르곤 하였다. 이 말은 理性을 壓倒하는 感情들이란 혼란스런 狀況에 빠진 理性的인 靈魂(rational soul)에게 달라붙는(append) [* 6] 어떤 스피릿들(spirits = 마음 = 氣分)이라는 것을 뜻하였다. 그런 後에는, 이들 理性을 壓倒하는 感情들은 그것들이 달라붙어 있는 사람의 行爲들을 模倣하여 反復한다고 바실리데스主義者들은 말하였다. 그리고 理性을 壓倒하는 感情들은 非理性的인 動物들의 衝動들(impulses of the irrational animals)을 몸에 지니게 할 뿐만 아니라 植物들의 運動들과 性質들(beauties)도 지니게 한다고 하였다. 이들 附加物들은 金剛石과 같은 (鑛物로부터 由來한) 搖之不動의 習慣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22] .

이 獨特한 理論의 正確한 起源을 決定하는 것은 不可能하다. 하지만 이 理論은 輪廻 (metempsychosis)의 敎義와 關聯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플라톤 티마이오스 (Timaeus)에 이 理論을 뒷받침하는 內容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3]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는 復讐의 靈魂들(plurality of souls) [* 7] 이 한 몸에 들러붙는다면 그 몸은 마치 트로이 木馬 와 같게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參考 文獻 [ 編輯 ]

  • 본 文書에는 現在 퍼블릭 도메인 에 屬한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1914 "BASILIDES AND THE BASILIDIANS"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 Buonaiuti, 《Lo Gnosticismo》 (Rome, 1907)
  • Duchesne, 《Hist. ancienne de l'Eglise》 (3d ed., Paris, 1907), I, xi, s.v. 《La Gnose et le Marcionisme》
  • Bareille in 《Dict. de theol. Cath.》, s. vv. 《Abrasax, Basilide》
  • Leclercq, 《Dict. d'arch. Chret.》, s.v. 《Abrasax》
  • Bardenhewer, 《Gesch. der altkirch. Lit.》 (Freiburg, 1902), I
  • King, 《 The Gnostics and Their Remains 》 (2d ed., London, 1887)
  • Mead, 《 Fragments of a Faith Forgotten 》 (London and Benares, 1900)
  • Hort in 《Dict. Christ. Biog.》, I, 268-281
  • Mansel, 《Gnostic Heresies》
  • De Groot, 《Basilides als erster Zeuge fur das N. T.》 (Leipzig, 1868)
  • Urlhorn, 《Das Basilidianische System》 (Gottingen, 1855)

各州 [ 編輯 ]

內容主
  1. 異端的인 宗派들 이 " 가톨릭 敎會 보다 더 後代에 成立되었다"는 것을 證明하기 위하여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Clement of Alexandria: c.150 - c.215)는 《스트로마打(Stromata)》, vii. 17에서 예수 크라이스트 께서 아우구스투스 (Augustus: 在位 27 BC - 14 AD)와 티베리우스 (Tiberius: 在位 AD 14 - 37)의 在位 時期에 가르침을 펴셨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使徒들 바울 (Paul)의 가르침은 적어도 네로 (Nero: 在位 AD 54-68)의 때에서는 끝났다고 말하였다. 反面 "異端的 宗派들의 創始者들은 皇帝 하드리아누스 (Hadrian: 在位 AD 117 - 138) 時代 쯤에 나타났으며 안토니누스 피우스 (Elder Antoninus: 在位 AD 138-161)의 時代까지 繼續 活動하였다"고 말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는 그 例로 바실리데스(Basilides: fl. AD 117 - 138)와 발렌티누스 (Valentinus: AD c.100 - c.160/180)와 (文獻이 正確하다는 前提 下에) 마르키온 (Marcion: AD c. 85 - 160)을 들고 있다. 그러나 카르포크라테스 (Carpocrates: fl. AD 2世紀)에 對한 그의 言及이 몇 줄되지 않는 것은 이레나이우스 (Irenaeus: AD 2世紀 - c.202)의 著書들 속에 들어 있는 이들 나스티시즘 敎派들에 對한 잘못된 推論보다 더 나은 證據를 가지고 있었던가 하는 것에는 疑問의 餘地가 있음을 示唆한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c.150 - c.215)는 아그리파 카스토르 (Agrippa Castor)가 바실리데스(Basilides: fl. AD 117 - 138)에 對해 加했던 論駁에 對해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비록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는 이들 두 名의 著者들이 同時代에 屬한다는 것을 의미했다고 假定하는 境遇가 때때로 있지만, 實際로 이들이 同時代人들이었는지는 明確하지 않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하드리아누스 (Hadrian: 在位 AD 117 - 138)의 在位 17年, 卽 AD 133年의 (아르메니아 敎會의) 年代記에는 다음과 같은 註釋이 있다: "異端 創始者(heresiarch)인 바실리데스(Basilides)는 이 時期에 出現하였다". 모든 證言들 中에서 가장 初期의 것은 殉敎者 저스틴 (Justin Martyr: AD 100-165)의 證言이다. 하지만 이 證言은 가장 模糊한 證言이기도 하다. 바실리데스를 包含한 다른 對 二段 創始者들이 이 時期까지는 死亡하였을 것이라는 推論을 殉敎者 저스틴 의 著書 《 트뤼포에 反對하는 對話 (Dialogue against Trypho: AD c.135)》의 한 句節을 土臺로 어느 程度 할 수 있다.
  2. 英語 原文: "an assent of the soul to any of the things which do not excite sensation, because they are not present"
  3. 英語 原文: Basilides also appears to have accumulated forms of dignity in accordance with ones' faith.
  4. 英語 原文: In this sense it must have been that he called "the election a stranger to the world, as being by nature supermundane".
  5. 舊버전의 네이버 英語 辭典의 feeling 項目 에 들어 있었던 感情에 關聯된 유어醫들에 對한 說明은 다음과 같다:
    • feeling 主觀的인 感覺이나 感情을 나타내는 가장 一般的인 말: I can’t trust my own feelings. 내 自身의 感情을 믿을 수가 없다.
    • emotion 노여움·사랑·미움 等을 强하게 나타내는 感情: weep with emotion 感情에 복받쳐 울다
    • sentiment 理性的인 思考에 立脚한 感情: What are your sentiments in this matter? 이 件에 對한 當身의 느낌은 어떻소?
    • passion 理性的인 判斷을 壓倒하는 强烈한 感情: Revenge became his ruling passion. 復讐心이 그의 支配的인 感情이 되었다.
    • fervor 뜨거운, 불타는 듯한 (永續的인) 感情
    • enthusiasm 어떤 注意·行動·提案 等에 對한 情熱: arouse strong enthusiasm in a person 남의 마음에 剛한 熱情을 換氣시키다
  6. Or "attached," or "adherent," various kinds of close external contact being expressed by προσηρτημ?να, cf. M. Aur. xii. 3, with Gataker's note, and also Tertullian's 《ceteris appendicibus, sensibus et affectibus》, 《Adv. Marc.》, i. 25, cited by Gieseler.
  7. 클레멘스는 스피릿들(spirits)을 마음 또는 氣分(feelings)이라고 解釋하지 않고 靈魂들(souls), 精靈들 또는 鬼神들이라고 解釋하고 있다.
出處
  1. Iren. p. 100 Mass.; followed by Eus. 《H. E.》iv. 7; Epiph. 《Haer.》 xxiv. 1, p. 68 c; cf. xxiii. 1, p. 62 B ; Theod. 《Haer. Fab.》 i. 2.
  2. 에우세비우스 (Eusebius of Caesarea), 《 敎會史 (Ecclesiastical History)》, 4卷, 7張
  3.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7卷 17張
  4. William Charles King, 《The Gnostics and Their Remains》, p. 72: "Basilides and his true son and disciple Isidorus, assert that Matthew (the Evangelist) revealed to them certain secret doctrines which had been specially communicated to himself by Christ."
  5. Birger A. Pearson,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 "Heretics"》 Basilides the Gnostic
  6. 아르켈라우스(Archelaus), 《마네스와의 論爭(Acts of the Disputation with Manes)》 4張
  7. Eusebius of Caesarea, 《Ecclesiastical History》 Book iv. Chapter vii.
  8. Mead, G.R.S. (1900). 〈The Basilidian Gnosis〉. 《Fragments of Faith Forgotten》 . 253 f쪽.  
  9. Origen, 《Homilies on Luke》, 1.1.
  10. 히에로니무스 (St. Jerome), 《Comentary on the Gospel of Matthew》, Prologue
  11. 암브로시우스 (Ambrose), 《Expositio, Euangelii》, Lucae i.2.
  12. Cf. Hilgenfeld, 《Clem. Rec. u. Hom.》, 123 ff.
  13.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cond Series》, 178쪽, 主席 7.
  14.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2卷 3張
  15.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5卷 1張
  16.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4卷 26張
  17. 《Exc. Theod.》 976.
  18. 《Com. in Rom.》, iv. 549, Ru.
  19. 《Com. in Matt.》, l.c.
  20.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4卷 12張
  21. 《Com. in Matt.》, iii. 856 Ru.
  22.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St. Clement of Alexandria), 《스트로마打(Stromata)》, 2卷 20張
  23. 티마이오스 》, 42, 90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