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린킨 파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린킨 파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린킨파크 에서 넘어옴)

린킨 파크
Linkin Park


基本 情報
장르 뉴 메탈
얼터너티브 록
얼터너티브 메탈
랩 록
活動 時期 1996年 ~ 現在
레이블 워너브라더스 레코드
머신 샵 레코드
關聯 活動 데드 바이 선라이즈
포트 마이너
제이 지
웹사이트 公式 사이트
構成員
롭 버든
브래드 델슨
마이크 시노다
데이비드 "피닉스" 파렐
조지프 한
移轉 構成員
체스터 베닝턴
마크 웨이크필드
카일 크리스테너

린킨 파크 (Linkin Park)는 美國 캘리포니아州 로스앤젤레스 아구라 힐스 出身의 록 밴드이다. 1996年 結成 以後, 메이저 데뷔 音盤인 《 Hybrid Theory 》로 2005年 RIAA 다이아몬드 認證 및 여러 海外 뮤직 차트에서 플래티넘을 記錄하면서 全 世界的으로 有名한 록 밴드로 成功하였다. 이어 2番째 正規 音盤인 《 Meteora 》 또한 2003年 빌보드 200 차트에서 上位圈을 維持하였고, 全 世界 國家에서 音盤과 투어로 인해 商業的으로 큰 成功을 거두었다. 또한 2003年 MTV2에서 選定한 뮤직 비디오 世代 밴드에서 6位로 記錄되었으며 오아시스 콜드플레이 에 이어 3番째로 最高의 뉴 밀레니엄 밴드로 랭크되었다. Modern Rock Tracks 차트에서 'Numb' 曲이 12週 1位, 102週 2位, Numb 曲을 비롯하여 都合 75個 曲이 1位를 하였다.

뉴 메탈 과 랩 메탈 장르가 짙었던 "Hybrid Theory"와 "Meteora"로 大衆에게 相當한 認知度를 높인 린킨 파크는 2007年에 3番째 正規 音盤 "Minutes to Midnight"을 發表하면서 旣存의 뉴메탈 路線을 脫皮해 새로운 장르를 試圖하였다. "Minutes to Midnight"은 2007年 빌보드 차트에서 모든 앨범들 中 3番째로 높은 데뷔 成跡을 記錄했다. 以後로는 繼續해서 매 앨범마다 다양한 장르의 曲들을 發表하며 새로운 試圖를 해나가는 中이다. 2010年에 發表한 正規 4輯 "A Thousand Suns"에서는 신스를 主로 한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果敢하게 導入했으며, 2012年에 發表한 正規 5輯 "Living Things"에서는 旣存의 1~4집에서 試圖되었던 모든 音樂的 장르를 總結合했다는 評價를 받고 있다. 2015年 6月까지 2014年 6輯 "The Hunting Party" 투어를 했었으며 2017年 7輯 앨범을 發賣한다.

여러 아티스트들과 合作한 音盤을 發賣하기도 했는데, 2004年에 랩퍼 제이-知와 作業한 매쉬업 "Collision Course EP", 그리고 多數가 參與한 "Reanimation" 等의 앨범이 있다. 總 6000萬 張 以上의 販賣高를 記錄하였으며, 그래미賞을 2番 受賞할 程度로 全 世界的으로 널리 알려진 록밴드이다. 2003年 첫 來韓을 했다. 'Faint' 曲이 2003年 大韓民國 最高의 록으로 選定되었다. 2007年 11月 30日에 또 다시 訪韓하여 公演을 열었으며 2011年 9月 8日 "A Thousand Suns" 월드 투어의 一環으로 3番째 來韓公演을 가졌다.

全 世界에서 가장 人氣 있는 록 밴드 中 하나로 가장 많은 페이스북 팬들을 保有하고 있다. 公式 팬클럽으로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 가 있다.

2017年 7月 20日 리드 보컬 체스터 베닝턴 이 自殺한 以後 無期限 空白 狀態에 빠졌으며, 아직 새 보컬리스트를 迎入해 繼續 할 計劃을 세우지 않아 밴드의 將來가 不透明해졌다. [1]

受賞 經歷 [ 編輯 ]

1)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2004 아메리칸뮤직 代替音樂部門 人氣 歌手賞
  • 2007 가장 좋아하는 얼터너티브 록 아티스트上
  • 2007 가장 좋아하는 팝/록 밴드, Duo, or 그룹賞
  • 2008 가장 좋아하는 얼터너티브 아티스트上(Favorite Pop/Rock Band, Duo, or Group 2008 Favorite Alternative Rock Artist)
  • 2012 第40回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얼터너티브 록 아티스트上

2) 그래미 어워드

  • 2001 第44回 그래미 어워드 最優秀 하드록上
  • 2002 最優秀 하드록 퍼포먼스賞 (Crawling)
  • 2006 第48回 그래미 어워드 最優秀 랩 性 콜레步레이션賞 (Numb/Encore With Jay-Z)

3) MTV 유럽 뮤직 어워드

  • 2002 最優秀 하드록上
  • 2002 最優秀 록 밴드賞
  • 2004 People's Choice - 最優秀 록 밴드賞 (Numb)
  • 2004 Viewer's Choice 어워드上 (Breaking The Habit)
  • 2007 MTV 유럽 뮤직 어워드 올해의 밴드賞
  • 2009 最優秀 월드 스테이지 퍼포먼스賞
  • 2010 MTV 유럽 뮤직 어워즈 베스트 라이브上
  • 2011 MTV 유럽 뮤직 어워즈 베스트 록上
  • 2012 MTV 유럽 뮤직 어워즈 베스트 록上
  • 2013 最優秀 월드 스테이지 퍼포먼스賞
  • 2014 MTV 유럽 뮤직 어워즈 베스트 록上

4) MTV 아시아 뮤직 어워드

  • 2002 가장 좋아하는 록 아티스트上
  • 2003 가장 좋아하는 얼터너티브 록 아티스트上
  • 2004 가장 좋아하는 록 아티스트上
  • 2006 아시안 엑셀런스 어워즈 最優秀 라이브 公演팀上
  • 2008 MTV 아시아 어워드가 選擇한 最高의 아티스트上

5)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 2001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 (Papercut)
  • 2002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 (In The End)
  • 2003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 (Somewhere I Belong)
  • 2003 가장 좋아하는 비디오商 (Pts.Of.Athrty)
  • 2004 가장 좋아하는 비디오商(Breaking the Habit)
  • 2008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Bleed It Out)
  • 2008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Shadow of the Day)

6) 그 밖의 어워드

  • 2003 Kerrang 어워드 最優秀 록上 (Faint)
  • 2011 UN 總會 글로벌 리더쉽 어워드上 (Global Leadership Award)
  • 2012 Spike 비디오 게임 어워드上 (Castle Of Glass)
  • 2013 에코 어워드 最優秀 얼터너티브 록 아티스트上
  • 2013 最優秀 록 밴드 비디오商 (Lost In The Echo)

經歷 [ 編輯 ]

初期 (1996-1999) [ 編輯 ]

린킨 파크는 元來 高等學校 時節 가까운 親舊 사이였던 마이크 시노다 브래드 델슨 롭 버든 과 함께 結成하였다. 高等學校 卒業 後, 音樂的으로 좀 더 眞摯하게 關心을 가지고 始作하기로 決心하였다. 以後 새로운 멤버로 조지프 한 (조 한), 데이비드 "피닉스" 파렐 그리고 마크 웨이크필드를 迎入하며 '제로(Xero)'라는 밴드를 構成했다. 비록 限定된 環境이었지만, 1996年 마이크 시노다의 房에서 臨時로 스튜디오 삼아 錄音 및 曲을 썼다. 밴드가 成長할 동안 여러 次例 挫折을 겪었는데, 頻繁히 音盤社와의 契約 失敗 經驗을 했고 이어 經驗 不足과 作業 途中 웨이크필드와 葛藤을 빚었다. 그 때 보컬리스트인 웨이크필드가 다른 밴드를 알아보기 위해 脫退했다. 파렐 또한 自身이 所屬되어있는 테이스티 스낵스와 다른 밴드의 公演으로 인해 떠나게 되었다.

그 以後, 웨이크필드를 代替할 보컬을 찾기 위해 努力했고, 제프 블루(Jeff Blue)의 도움으로 1999年 3月 , ' 스크리밍 怪物'로 불리는 애리조나주 出身 보컬리스트 체스터 베닝턴 을 迎入했다. 베닝턴은 元來 '그레이 데이즈(Grey Daze)'의 보컬이었는데 밴드가 解體되면서 제로 보컬 志願者가 되었고, 志願者 中에서 特有의 唱法으로 合流하게 되었다. 이 때, 제로에서 '하이브리드 氏어리 (Hybrid Theory)'로 이름을 바꿨다. 밴드의 이름을 바꾸고 마이크와 체스터는 서로 交流하며 새로운 音樂的 要素를 實驗하면서 밴드를 살리고자 努力한다. 以後 같은 이름을 가진 밴드가 밴드 이름을 바꾸라며 脅迫하자 다시 한番 밴드 이름을 바꾸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린킨 파크(Linkin Park) 이다. 린킨 파크라는 이름은 밴드가 過去 자주 公演했던 산타 모니카의 링컨 파크에서 따와 綴字를 조금 바꾼 것이다. 밴드의 努力에도 音盤社들과의 契約은 進展을 보이지 않았고, 많은 主要 音盤社들에게 契約 拒絶을 當하자 린킨 파크는 다시 한番 제프 블루에게 도움을 要請했다. 以後 제프 블루의 도움으로 1999年 , 워너브라더스 레코드 와의 契約에 成功했고, 이듬해에 워너브라더스 레코드 에서 밴드의 데뷔 音盤으로 큰 成功을 거두게 되는 Hybrid Theory 를 發賣한다.

Hybrid Theory (2000-2002) [ 編輯 ]

2000年 10月 24日 , 린킨 파크는 첫 스튜디오 앨범인 Hybrid Theory 를 發賣하였다. 돈 길모어(Don Gilmore)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發賣 後 많은 音樂 팬들에게서 훌륭한 音盤으로 評價받았는데, 音盤 發賣 해에 2000萬 張 以上의 販賣高를 記錄했으며 2001年 의 最高의 販賣 音盤으로 記錄되었다. 또한 " Crawling ", " One Step Closer " 等 싱글은 얼터너티브 록 關聯 라디오 放送에서 演奏될 때마다 그 人氣가 높아져 갔다. 追加的으로 音盤에서 싱글로 發賣된 曲들은 映畫 〈드라큘라〉, 〈리틀 니키〉,〈발렌타인〉의 揷入曲으로 收錄되었다. 受賞 實績도 華麗했는데, 그래미賞 에서 最高의 新人 音樂家, 最高의 록 音盤, 最高의 하드 록 公演 ("Crawling")上 候補로 選定되었으며, MTV 뮤직비디오 施賞式에서는 " In the End "가 最高의 록 뮤직비디오, 最高의 監督賞을 受賞했고 그래미賞에서는 最高의 하드 록 公演 部門에서 受賞하였다. 이처럼 "Hybrid Theory"는 큰 成功을 거두며 主流 音樂界에 린킨 파크의 이름을 알리는데 큰 貢獻을 했다.

이 때, 린킨 파크는 오즈페스트 , 패밀리 발루스 투어, KROQ 얼모스트 어쿠스틱 크리스마스 等 巨大한 規模의 音樂 투어와 콘서트 에서 많은 招待를 받았다. 또한 밴드는 사이프레스 힐, 아데마, 스눕 독 같은 著名한 아티스트와 함께 하는 프로젝트 레볼루션 라는 慈善 투어를 도는 等, 320回 以上 公演을 선보였다. 투어 途中에는 前 베이시스트 데이브 파렐이 再合流하기도 했다. 많은 公演과 經驗을 쌓은 린킨 파크는 2001年 11月 , 그들의 첫 番째 다큐멘터리 DVD Frat Party at the Pankake Festival 을 내놓았다. 그 後 월드 투어를 始作한다.

2002年 7月 30日 의 보컬 조나단 데이비스 , 아론 루이스 等 많은 아티스트들이 參與한 리믹스 音盤인 " Reanimation "을 發賣했다. "Reanimation"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2位에 올라 눈길을 끌었고, 發賣 첫 週 約 27萬張의 販賣量을 記錄했다. 一部에서는 音盤 販賣 收益을 노린 워너브라더스 레코드 의 手法이라는 批判이 일기도 하였으나, 갓 데뷔한 밴드의 音樂的 實驗으로 보는 見解가 더 많았다.

Meteora (2002-2004) [ 編輯 ]

"Hybrid Theory", "Reanimation"로 自身의 이름을 確實히 알린 린킨 파크는 美國에서 투어를 進行하는 동안에도 틈틈이 다음 앨범을 위한 作曲 活動을 進行했다. 스케줄이 한창일 때 作業을 始作했는데, 休息 時間도 아껴 가며 투어 버스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作業을 繼續했다. 2002年 12月 , 公式的으로 새 音盤을 製作 中이라는 것을 發表하며, 自身들이 그리스 메테오라 巖石 地帶 꼭대기에 있는 수많은 修道院을 보고 靈感을 받았면서 새 앨범의 타이틀이 " Meteora "임을 밝혔다. 이 앨범은 以前 音盤이 追求했던 뉴 메탈 랩 록 을 基盤으로 하여, 大體로 1輯 Hybrid Theory 와 비슷한 느낌이다. 하지만 日本 의 樂器 샤쿠하치等 여러 다른 樂器들을 섞어서 사운드를 構成하는 等, 一部 曲들에서는 實驗性도 엿볼 수 있었다.

"Meteora"는 2003年 3月 25日 , 全 世界 發賣 後 곧바로 英國, 美國에서 1位,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位를 차지하였다. 發賣 첫 週에 80萬張 以上의 販賣高를 거두었고 이때, 빌보드 차트 에 最多 販賣 音盤에 記錄되기도 했다. 이어 " Somewhere I Belong ", " Breaking the Habit ", " Faint ", " Numb "等을 싱글 音盤으로 發賣하여 뮤직비디오로 世間의 많은 關心을 받게 된다. 2003年 10月에 "Meteora"는 約 300萬張의 販賣高를 突破했다.

音盤이 成功함에 따라 린킨 파크는 머드베인, 블라인드슬라이드, 엑스地빗 等 여러 아티스트와 함께 프로젝트 레볼루션 을 다시 始作하였다. 또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데프톤즈 와 함께 메탈리카 에 依해 2003年 섬머 세니타리움에 招待받아 함께 日程을 消化했다. 이어 텍사스 에서의 公演 實況을 CD 및 DVD로 담은 첫 番째 DVD 音盤인 Live in Texas 를 發賣했다. 以後 린킨 파크는 다시 메탈리카의 招待를 받아 後바스탱크 , P.O.D. , 스토리 오브 디 이어 와 함께 메탈리카 월드 투어에 參與하게 된다.

"Meteora"는 밴드에게 여러 가지의 賞을 안겼는데, MTV 에서 最高의 록 뮤직비디오(" Somewhere I Belong ")와 팬들이 選定한 뮤직비디오(" Breaking the Habit ") 賞을 받았고, 2004年 라디오 뮤직 施賞式에서는 올해의 아티스트 및 올해의 曲(" Numb ") 部門을 受賞했다. 비록 《Meteora》는 《Hybrid Theory》만큼의 큰 成功은 거두지 못했지만, 美國에선 2003年 한 해 동안 많이 팔린 音盤 3位를 記錄하는 成果를 올렸다.

사이드 프로젝트 (2004-2006) [ 編輯 ]

MTV 아시아 에이드에 參席한 체스터 베닝턴

"Meteora" 發賣 以後, 밴드는 다음 音盤 作業을 몇 年間 미루었다. 그 동안 여러 투어 및 많은 사이드 프로젝트로 活動을 하게 되었다. 마이크 시노다가 디페쉬 모드 와 함께 作業하는 동안 체스터 베닝턴은 림프 비즈킷 DJ 梨雪 의 프로젝트 그룹인 "State of the Art"에 參與하고 自身의 프로젝트 밴드인 데드 바이 선라이즈 에서 活動하였다. 2004年 밴드는 제이-址 에게서 리믹스 앨범을 提案받았고, 그 結果 2004年 11月 Collision Course 라는 리믹스 앨범을 發賣하였다. Collision Course의 曲들은 제이-知와 린킨 파크 各自의 히트曲이 한데 모여 하나의 曲으로 構成되는 方式을 取했다. 이를 契機로 이 앨범의 收錄曲들로 제이-知와 몇次例의 合同 公演을 갖기도 했다. 2006年에는 이 앨범의 "Numb/Encore"로 그래미賞 의 랩/音樂 콜라보레이션 部分을 受賞했다. 授賞式에서는 제이 知와 함께 " Numb/Encore ""로 合同 公演을 가졌는데, 제이지의 랩 中間에 폴 매카트니 가 登場하여 체스터와 함께 Yesterday 를 부르기도 했다. 이 場面은 一部 保守的인 評論家를 除外하고는 現場의 觀衆들을 비롯해 많은 極讚을 받았다. 以後 2006年에 日本 에서 메탈리카 가 參與한 서머 소닉 에 參與하면서 밴드는 一般的인 투어를 다시 進行하였다.

한便, 2004年 11月 마이크는 사이드 프로젝트로서 포트 마이너 를 새로 結成해 여러 아티스트의 도움을 받아 데뷔 音盤 The Rising Tied 를 發賣하였다. 以前에 함께 作業한 것을 因緣으로 제이지가 앨범의 프로듀싱을 맡았다. 이 앨범은 旣存의 린킨 파크의 音樂과 다르게 힙합 曲 爲主로 되어 있어 마이크의 랩핑을 들을 수 있다.

Minutes to Midnight (2006-2008) [ 編輯 ]

2007年 프라하 에서의 公演

2006年 린킨 파크는 다시금 새로운 音盤 作業을 始作했고. 音盤의 프로듀서로 릭 루빈 (Rick Rubin)李 새롭게 參與했다. 音盤 作業은 遲延되어 애當初 計劃했었던 2006年 發賣가 霧散되어 2007年 으로 앨범 發賣가 延期되었다. 2006年 8月, 체스터는 言論을 통해 約 30個~50個 程度의 曲이 完成 段階에 있으며, 以前에 自身들이 追求했던 뉴 메탈 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르를 試圖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워너브라더스 는 音盤의 題目이 " Minutes to Midnight "이며, 2007年 5月 15日로 앨범 發賣日을 確定 發表하였다. 音盤의 題目은 最後의 날 時計 를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하며, 앨범 收錄曲의 歌詞에서도 그 內容을 엿볼 수 있다. 밴드는 約 14個月 동안 作業하면서 그들은 17個의 曲을 完成했고, 그 中 5個를 걸러내었다고 한다.

3輯 "Minutes to Midnight"은 첫 週에 60萬張 以上의 販賣高를 記錄하였고 빌보드 차트 에서도 上位圈을 記錄하였다. 첫 番째 싱글 音盤은 正式 앨범 發賣 以前에 線 發賣된 " What I've Done "으로 2007年 4月 2日 에 發賣되었다. 發賣 後 많은 팬들에게 好評을 받았고 곧 빌보드 차트 모던 록 트랙 , 메인스트림 록 트랙 에서 上位圈에 記錄되었다. 이어서 2007年 부터 2008年 初까지 發賣한 " Bleed It Out ", " Shadow of the Day ", " Given Up ", "Leave out all the Rest" 等도 成功을 거두었다. 그리고 또한 버스타 라임즈 의 曲 "We Made It"에 피쳐링을 進行하기도 했다. 2007年 全 世界에서 3番째로 앨범이 많이 팔렸다.

音盤 發賣 以後, 린킨 파크는 全 世界 곳곳에서 투어를 進行하였다. 2007年 7月 7日, 日本 도쿄 에서 열린 라이브 어스 公演으로 始作해 다운로드 페스티벌 等에 參與하고 2007年 여름엔 프로젝트 레볼루션 을 開催해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테이킹 백 선데이 等과 함께 展開하였으며 2007年 11月 30日 에는 韓國에 訪問해 올림픽公園 體操競技場 에서 2番째 來韓 公演을 가졌다. 以後 유럽 투어와 2008年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를 마지막으로 3輯 活動을 마무리하였다.

A Thousand Suns (2008~2011) [ 編輯 ]

핀란드 에서 열린 2009年 소니스페어 페스티벌에서 演奏 中인 베이시스트 데이브 "피닉스" 파렐 .

체스터 베닝턴은 이미 린킨 파크가 "Minutes to Midnight" 다음의 音盤을 計劃 中이며 롤링 스톤紙와의 인터뷰에선 이미 몇 個의 曲을 만들고 있고 大部分 다음 音盤에 실리고 2個의 트랙은 팀벌랜드 의 音盤인 《 Shock Value 2 》에 收錄 될 豫定이라고 밝혔다. 마이크 시노다는 또한 이미 린킨 파크는 몇 個의 데모 曲을 錄音 했으며 다음 音盤은 2009年 末 쯤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 시노다는 또한 2008年 6月 29日 MK 보울에서의 프로젝트 레볼루션 公演 映像이 收錄되어 있는 라이브 音盤 Road To Revolution: Live At Milton Keynes 2008年 11月 25日 에 發賣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체스터 베닝턴은 다음 音盤이 컨셉 音盤 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08年 12月 에는 디지디자인 社의 프로그램인 프로툴스 프로 8 製品의 미리보기의 一環으로 마이크 시노다와 롭 버든이 "Lockjaw"라는 曲을 만들어 後에 팬클럽을 통해 無料로 配布하였다.

2009年 4月 , 마이크 시노다는 自身의 블로그를 通해 린킨 파크가 한스 치머 와 함께 映畫 트랜스포머: 敗者의 逆襲 의 OST에 參與한다고 밝혔다. 이어 5月 7日 , 曲 題目이 " New Divide "이며 18日에 公開한다고 밝힌 뒤, 6月 12日 에는 조지프 限이 監督을 맡은 뮤직 비디오를 公開하였고 6月 22日 에는 캘리포니아 웨스트우드 빌라地에서 열린 트랜스포머: 敗者의 逆襲 試寫會에서 라이브 公演을 선보였다.

2009年 5月, 린킨 파크는 現在 正規 4輯 作業 中이며 2010年에 發賣된다고 알렸다. 이어 音盤에 對해 장르에 拘礙받지 않고 作業 中이라고 밝혔다. 이어 2009年 7月, 유럽에서 열린 소니스페어 페스티벌에 參與하였고 8月에는 에피센터 뮤직 페스티벌에도 參與하였다.

2010年 2月, 린킨 파크는 아이티 地震 慈善募金 運動 一環으로 뮤직 抛 릴리에프 에 所屬된 아티스트들이 參與한 컴필레이션 音盤 Download to Donate for Haiti 를 發賣하였다. 2月 10日 에는 自身들의 收錄曲인 " Not Alone "의 뮤직비디오를 홈페이지를 통해 公開하였다.

이어 2010年 4月 26日 , 自身들이 製作에 參與한 아이팟 터치 아이폰 , 아이패드 用 게임인 8-Bit Rebellion! 을 發賣하였다. 게임을 製作하며 新曲 "Blackbirds"를 公開하였으며 이어 여러 가지 컨텐츠를 追加하겠다고 밝혔다. [2] [3]

6月 6日 에는 새로운 音盤의 發賣가 臨迫했음을 알림과 함께 2010年 첫 番째 투어 日程을 發表하였다. 10月 20日 獨逸 베를린 을 始作으로 유럽 地域 5個의 公演을 確定지었고, [4] 6日 後에는, 트랙 題目 및 歌詞 修正, 믹싱, 音盤 表紙 選定 作業 等 마무리 作業에 다다랐음을 알렸다. [5]

6月 14日 에는, 마이크 시노다 가 自身의 트위터 計定을 통해 "메시지"라는 린킨 파크 公式홈페이지로 링크된 메시지를 揭示하였다. 첫 番째로 2陣法 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를 公開하였고 두 番째는 마이크 시노다의 自筆로 記錄된 이미지를 公開下하였다. 이어 팬들이 수수께끼를 풀었고 첫 番째 메시지 解答은 音盤의 題目으로 보이는 "A Thousand Suns"가, 두 番째 메시지의 解答은 音盤의 첫 싱글 題目으로 보이는 "The Catalyst"와 發賣日로 보이는 8月 2日 이 記載되어 있었다. [6]

7月 1日 , 오스트레일리아의 뮤직 네트워크 誌는 린킨 파크의 다음 音盤이 9月 中에 發賣될 것이라고 報道하였다. [7] 7月 8日 , 마이크 시노다 는 自身의 블로그를 通해 A Thousand Suns 의 發賣를 알리면서 첫 番째 싱글로 "The Catalyst"가 發賣될 것이라고 알렸다. [8] 이어 7月 9日 부터 7月 25日 동안에는 自身들의 마이스페이스를 通해 "Linkin Park, Featuring You"라는 이름의 리믹스 大會를 開催하였다. "The Catalyst"의 파트를 公開하고 팬들이 直接 自身의 목소리나 樂器 等을 加味하는 리믹스로서 린킨 파크가 直接 選定하여 다음 音盤에 收錄된다고 알렸다. [9] 7月 17日 에는 音盤의 자켓이 公開되었으며 [10] 7月 30日 에는 리믹스 大會의 優勝者를 發表하였고 [11] 또한 《 메달 오브 아너 》의 사운드트랙으로 揷入된다고도 알렸다. [12]

8月 2日 , 音盤의 첫 番째 싱글인 " The Catalyst "가 發賣되었으며 9月 14日 4番째 正規 音盤 " A Thousand Suns "가 發賣되었다. 이어 두 番째 싱글로 " Waiting for the End "를 發賣하였다.

린킨 파크는 소셜네트워크 사이트에서 가장 影響力있는 아티스트 차트인 빌보드 소셜 50 차트에서 8位를 記錄했다. [13] 이어 빌보드 年末차트 톱 아티스트 部門에서는 92位를 記錄하였고, [14] 發賣한 A Thousand Suns 가 빌보드 年末 音盤 차트 톱 200에서 53位를 記錄하였다. [15] 또한 2010年 年末 록 차트에선 7位를 記錄했고 첫 番째 싱글인 "The Catalyst"는 록 송 年末차트에서 40位를 記錄하였다. [16]

2011年 1月 11日에는, " Download to Donate for Haiti "의 업데이트 버전인 "Download to Donate for Haiti V2.0"을 公開하였다. "The Catalyst" 리믹스 콘테스트 "Linkin Park featuring YOU"에서 受賞한 키튼 하시모토의 리믹스를 비롯한 여러 曲이 追加로 收錄되었다. [17] 그리고 이어 3月 21日 , A Thosand Suns 의 세 番째 싱글로 " Burning in the Skies "가 發賣된다고 알렸다. 또한 린킨 파크는 3月 3日 , 全美투어를 마쳤다. 그리고 6月 3日 A Thousand Suns 의 네 番째 싱글로 " Iridescent "를 發賣했는데, 이 曲은 트랜스포머: Dark of the moon 의 OST로 使用되었다.

Living Things (2012~2013) [ 編輯 ]

  • 2012年 初 린킨 파크는 4輯 活動 途中에도 틈틈이 새 앨범 作業을 進行해 왔고, 公式 홈페이지나 멤버 個人 블로그를 통해 팬들에게 새 앨범의 進行狀況을 밝히기도 했다.
  • 2012年 4月 16日 5輯 선 發賣 싱글로 " Burn It Down "을 發表하였다.
  • 2012年 5月 25日 에는 " Burn It Down "의 뮤직비디오를 公開했다.
  • 2012年 6月 5日 에는 유튜브 에서 "Lies Greed Misery"를 公開하였다.
  • 2012年 6月 16日 앨범 前 曲이 유튜브, 아이튠즈 等을 통해 流出되는 일이 벌어졌다. 마이크 시노다는 自身의 個人 블로그를 통해 앨범 流出을 神經쓰지 말고 正式 發賣된 앨범을 購入하여 줄 것을 當付하였다.
  • 2012年 ~ 2013年 월드 투어를 進行 中이다.
  • 2013年 9月 스티브 아오키와 共同 作業한 曲을 公開하고 이어 5輯 리믹스 앨범을 10月 29日 發賣한다고 밝혔다.
  • 2013年 10月 8日 워너 뮤직 코리아가 10月 12日부터 A Light That Never Comes가 音源으로 디지털 發賣한다고 밝혔다.
  • 2013年 10月 10日 워너 뮤직 코리아가 RECHARGED 앨범 豫約販賣가 10月 11日 부터 始作된다고 밝혔다.
  • 2013年 10月 17日 A Light That Never Comes Official Music Video가 유투브 에 公開되었다.
  • 2013年 11月 18日 LPU Underground 13 앨범이 發賣되었다.

The Hunting Party (2013~2016) [ 編輯 ]

2014年 6月 17日 6番째 正規 音盤 The Hunting Party 發賣. 월드 투어를 進行했다.

One More Light (2016~) [ 編輯 ]

2017年 5月 19日 7番째 正規 音盤 One More Light 를 發賣했다.

現地 時間 7月 20日, 체스터 베닝턴이 死亡했다. 死因은 自殺.

正規/非正規 앨범 [ 編輯 ]

  • One Step Closer (2000年 1月 15日)
  • Crawling (2001年 5月 1日)
  • Papercut (2001年 6月18日)
  • Hybrid Theory (2000年 10月 24日)
  • In The End (2001年 11月 20日)
  • It's Goin' Down (The X-Ecutioners의 피처링으로 參加, 마이크 시노다 , 조지프 한 ) (2002年 1月 29日)
  • Hybrid Theory (Repackage) (2002年 3月 7日)
  • Pts.OF.Athrty (2002年 7月 15日)
  • Reanimation (2002年 7月 30日)
  • Somewhere I Belong (Single) (2003年 3月 17日)
  • Meteora (2003年 3月 26日)
  • Faint (Single) (2003年 6月 9日)
  • Numb (2003年 9月 8日)
  • Live In Texas (2003年 11月 18日)
  • From The Inside (2004年 1月 12日)
  • Lying From You (2004年 3月 16日)
  • Breaking The Habit (2004年 6月 14日)
  • Meteora (2004 Asia Tour LTD Edition) (2004年 7月 15日)
  • Collision Course (2004年 11月 30日)
  • Numb/Encore (2004年 12月 13日)
  • What I've Done (2007年 4月 2日)
  • What I`ve done (Single) (2007年 5月 7日)
  • Minutes to Midnight (2007年 5月 14日)
  • Bleed It Out (2007年 8月 14日)
  • Shadow Of The Day (2007年 10月 30日)
  • Minutes To Midnight (S.E.Asia Tour Edition) (2007年 11月 20日)
  • Given Up (2008年 3月 3日)
  • Leave Out All The Rest (트와일라잇 OST 收錄曲) (2008年 7月 15日)
  • We Made It (Busta Rhymes의 피처링으로 參加) (2008年 6月 30日)
  • Road To Revolution: Live At Milton Keynes (2008年 12月 30日)
  • New Divide (트랜스포머: 敗者의 逆襲) (2009年 5月 29日)
  • 8-Bit Rebellion! (게임 收錄曲) (2010年 4月 26日)
  • The Catalyst (Single) (2010年 8月 3日)
  • A Thousand Suns (2010年 9月 14日)
  • A Thousand Suns + (2011 월드투어 라이브 앨범) (2011年 4月 1日)
  • Iridescent (From Transformers 3 - Dark Of The Moon) (2011年 5月 31日)
  • Not Alone (2011年 10月 21日)
  • Burn It Down (2012年 4月 18日)
  • Living Things (2012年 6月 26日)
  • Living Things : Acapellas And Instrumentals (2012年 9月 19日)
  • Living Things + (2012 월드투어 라이브 앨범) (2013年 3月 12日)
  • A Light That Never Comes (2013年 10月 8日)
  • RECHARGED (2013年 10月 29日)
  • A Light That Never Comes (Remixes) (2014年 2月 24日)
  • Guilty All The Same (2014年 3月 7日)
  • Until It`s Gone (게임 트랜스포머: 라이즈 오브 더 다크 스파크 主題曲) (2014年 5月 12日)
  • Wastelands (2014年 6月 1日)
  • Rebellion (2014年 6月 3日)
  • Final Masquerade (2014年 6月 8日)
  • The Hunting Party (2014年 6月 17日)
  • Heavy (2017年 2月 16日)
  • One More Light (2017年 5月 19日)
  • One More Light Live (2017年 12月 15日)

사이드 프로젝트 [ 編輯 ]

포트 마이너 [ 編輯 ]

포트 마이너 마이크 시노다 의 힙합 사이드 프로젝트이다. 첫 番째 音盤으로는 2005年 에 發賣된 《 The Rising Tied 》이며 主要曲들이 큰 成功을 거두었다. 2006年 以後로 活動을 中斷하였다. 조 한 은 언젠가 할 거라는 말은 나돌지만 正確한 事項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데드 바이 선라이즈 [ 編輯 ]

데드 바이 선라이즈 체스터 베닝턴 의 솔로 프로젝트 밴드이다.

앨범 Out Of Ashes 를 내놓았다. 그레이 데이즈, 린킨 파크와는 다르다. 主로 린킨 파크의 旣存 앨범에선 다루지 못했던 主로 社會의 어두운면을 바탕으로 音樂을 製作했고 2009~2010年 活動하였다. 체스터 베닝턴 은 서로 스케줄 때문에 데드 바이 선라이즈 活動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收錄曲으로 Fire, Condemned, Crawl Back In, Inside Of Me, In The Darkness, Morning After, To Late, Into You, Let Down, End Of The World 等이 있다.

構成員 [ 編輯 ]

現在 멤버 [ 編輯 ]

以前 멤버 [ 編輯 ]

  • 마크 웨이크필드 (Mark Wakefield) - 리드 보컬 (1996 ? 1998)
  • 카일 크리스티너 (Kyle Christener) ? 베이스 (1998 ? 2000), 세션 멤버
  • 체스터 베닝턴 (Chester Bennington) - 리드 보컬 (1999 ? 2017)

臨時 멤버 [ 編輯 ]

  • 스캇 코지올 (Scott Koziol) ? 베이스 (1999 ? 2001) 《 Hybrid Theory 》 錄音 參與

프로젝트 레볼루션 [ 編輯 ]

린킨 파크가 2004年 부터 , 힙합 아티스트들과 함께 여는 美國 內 투어이다. 2007年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테이킹 백 선데이 等의 여러 밴드가 參加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Linkin Park's Chester Bennington Committed Suicide: Report” . 《Billboard》. 2017年 7月 20日 . 2017年 7月 21日에 確認함 .  
  2. “Mike Shinoda Blog - 8-Bit Rebellion on the way” . mikeshinoda.com. 2010年 3月 28日. 2010年 7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7月 1日에 確認함 .  
  3. “Linkin Park: 8-Bit Rebellion Page” . linkinpark.com. 2010年 3月 28日. 2010年 1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7月 1日에 確認함 .  
  4. “First 2010 Linkin Park Tour Dates” . linkinpark.com. 2010年 6月 6日. 2010年 6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6月 6日에 確認함 .  
  5. “Quick Post” . mikeshinoda.com. 2010年 6月 16日. 2015年 10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7月 1日에 確認함 .  
  6. “Message 3 Uploaded - The Catalyst /// August 2” . lpassociation.com. 2010年 6月 30日.  
  7. “Exclusive: Linkin Park to release new album in September” . The Music Network. 2010年 7月 1日. 2010年 7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7月 1日에 確認함 .  
  8. Mike Shinoda (2010年 7月 8日). “NEW ALBUM, “A THOUSAND SUNS,” OUT SEPTEMBER 14” . mikeshinoda.com. 2012年 4月 1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1月 2日에 確認함 .  
  9. Linkin Park (2010年 7月 9日). “LINKIN PARK, FEATURING YOU” . LinkinPark.com. 2010年 7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7月 29日에 確認함 .  
  10. Mike Shinoda (2010年 7月 17日). “THE CATALYST-Single Art” . mikeshinoda.com. 2010年 8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8月 3日에 確認함 .  
  11. Mike Shinoda (2010年 7月 30日). “Linkin Park Featuring You Winner Announced” . mikeshinoda.com. 2011年 12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1月 2日에 確認함 .  
  12. Linkin Park. “Medal of Honor / Linkin Park - "The Catalyst" Trailer (HD)” . 유튜브 . 2010年 8月 3日에 確認함 .  
  13. Current Billboard Social 50
  14. Billboard Best of 2010 Top Artists
  15. Billboard Top 200 Year End
  16. Billboard 2010 Year-End Top Rock Songs
  17. " The Catalyst," featuring Keaton Hashimoto, added to Download to Donate” . 2011年 9月 3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11月 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