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포로스 王朝 治下의 東로마 帝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니키포로스 王朝 에서 넘어옴)

로마 帝國
Βασιλε?α ?ωμα?ων

802年 ~ 813年
미하일 1세의 퇴위 이후 813년 동로마 제국
미하일 1歲 의 退位 以後 813年 東로마 帝國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
政治
政治體制 專制君主制
初代 皇帝
마지막 皇帝
니케포로스 1歲
미카일 1歲 랑가베
歷史
 ? 니케포로스 1歲 卽位 802年
 ? 美카일 1歲 退位 813年
人文
公用語 中世 그리스어
宗敎
國校 東方 基督敎

니케포로스 王朝 治下의 東로마 帝國 802年 , 니케포로스 1歲 가 女帝 이리니 를 廢位시키고 卽位한 때부터 813年 , 미하일 1歲 랑가베 가 退位할 때까지를 가리킨다.

이 時代에 東로마 帝國 은 資源을 枯渴시켜 버리는 두 個의 國境 戰線에서 거의 持續的으로 戰爭을 벌였고, 그의 前任者들과 마찬가지로 니케포로스 1世도 北쪽의 不可르人들에 對抗하여 戰爭을 버리던 中 불가르의 크룸 에 依해 戰死하였다. 더욱이 800年 敎皇 레오 3歲 에 依해 카롤루스 帝國 의 大帝 샤를마뉴 가 卽位하면서 비잔티움의 影響力은 西쪽에서 繼續 매우 弱化되었다.

니케포로스 1歲 [ 編輯 ]

니케포로스 1世는 宮廷 쿠테타로 女帝 이리니 를 流配시키고 家臣들의 推戴로 皇帝로 卽位한 後 一連의 財政 改革에 着手하여 修道院과 敎會를 壓迫하며 帝國의 財政을 擴充시키려 努力했다. 皇帝는 東로마 帝國의 大部分의 선대 皇帝과 마찬가지로 세 戰線에서 戰爭을 벌였다. 아바스 王朝 의 칼리프 하룬 알라시드 의 朝貢을 拒絶하여 戰爭을 벌였다. 그러나 帝國軍이 敗하여 莫大한 賠償金을 물어주어야 했다. 그리스에서는 不可르族 에게 쫓겨온 슬라브족 의 侵入을 겪었다.슬라브족의 侵入을 契機로 니키포로스는 大規模 移住民 事業을 벌여 帝國 全域에서 그리스어인을 펠로폰네소스半島 로 强制 이주시키고 슬라브족을 基督敎로 改宗시켜 地域 安定을 寄與했다. 베네치아, 달마티아 海岸을 놓고는 西方의 프랑크 王國의 皇帝인 샤를마뉴 와 다투었다. 또한 當時 不可르族 크룸 이 登場하여 不可르族을 統合하여 帝國의 領土를 侵犯하였다. 이에 皇帝는 불가르의 首都 플라스카 를 掠奪했다. 그러나 戰爭은 끝이 보이지 않았고, 皇帝는 不可르族의 對한 大遠征을 떠났다. 皇帝는 殘忍함을 보이며 草創期에는 不可르族을 窮地에 몰아넣었고 크룸은 强化를 要請했으나 皇帝는 拒絶하였다. 하지만 皇帝는 811年 플리스카 戰鬪에서 불가르의 大攻勢로 大敗를 겪고 不可르人에 對한 對抗戰에서 戰死하였다.

스타우라키오스 [ 編輯 ]

니케포로스 1歲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이며 共同 皇帝인 스타우라키오스가 帝位를 이었다. 그러나 그는 플라스카 戰鬪에서 脊椎가 끊어지는 中傷으로 皇帝의 職務를 遂行할 수 없었고, 結局 그의 妹兄 美카일에게 讓位했다.

미카일 1歲 랑가베 [ 編輯 ]

니케포로스 1世가 始作한 課稅政策을 撤回하고 西方 皇帝인 샤를마뉴 와 協商을 벌여 베네치아 를 包含해 아드리아 해의 다른 都市들을 넘겨받는 代價로 샤를마뉴를 또 다른 皇帝로 認定했다. 812年 不可르族의 크룸이 軍隊를 이끌고 데벨투스 를 占領하고 그 住民들을 불가리아로 이주시킨 뒤 强化를 提案했다. 頑固한 스투디움의 테오도루스 의 反對로 거절당했고 그 뒤 크룸이 다시 쳐들어와 812年 11月 메셈브리아 詩를 占領했다. 이듬해 美카일은 大軍을 糾合해 不可르族과 戰鬪를 위해 前進했다. 마침내 大規模 戰鬪를 벌였는데 갑자기 東로마 帝國의 將軍인 레온 의 軍隊가 戰線을 버리고 逃亡쳤다. 이 때문에 戰勢는 逆轉되고 帝國軍은 戰鬪에서 지고 말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로 도망쳐온 美카일은 退位하여 修道士가 되어 修道院의 들어갔다. 後任 皇帝로는 戰鬪에서 도망쳤다가 首都에 온 將軍 레온 5歲 가 決定되었다.

기타 [ 編輯 ]

前任
理事우리아 王朝
(717 - 802)
로마 帝國 의 王朝
802年 - 813年
後任
아모리아 王朝
(813 -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