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古事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古事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古事記 ( 日本語 : 古事記, こじき )는 日本에서 가장 오래된 歷史冊이다. 그 序文에 따르면 와도 (和銅) 5年( 712年 )에 겐메이 天皇 의 부름을 받아 五胡노아소미 야스마로 (太朝臣安麻呂)가 바친 것으로 되어 있다. 고지키라는 題目은 飮毒이며, 訓讀으로는 候樓코토後尾 ( 日本語 : 古事記, ふることふみ )라고도 읽지만 一般的으로 飮毒으로 불린다.

槪要 [ 編輯 ]

原本은 現存하지 않고, 筆寫本 形態로 몇 가지 사본(성립 連帶는 이 寫本의 序文에 記錄된 날짜에 따른 것)李 傳하고 있다. 內容은 日本에서 神대(神代)라 불리는 神話 時代의 아메쓰値(天地)의 創造에서 始作해 스이코 天皇 의 時代에 이르는 여러 가지 事件(神話나 傳說 等을 包含)과 함께, 古代 日本의 수많은 노래들을 收錄하고 있다. 덧붙여 「다카마노하라(高天原)」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 點도 《古事記》의 特徵이다.

日本 에서 가장 오래된 神話와 傳說을 記錄한 歷史書로 알려져 《 日本書紀 》와 함께 苦戰 으로 重視되나, 一般的으로 日本에서 가장 오래된 歷史書는 더 後代를 記述한 冊인 日本書紀로 看做된다. 《日本書紀》처럼 律令國家의 정사(正史)로서 黃名으로 編纂된 冊은 아니지만, 序文에 "提起(帝紀)를 撰錄하여 九思(舊辭)를 兎核하고, 거짓을 깎아내고 事實을 가려 後世에 傳해주려 한다(撰錄帝紀 討?舊辭 削僞定實 欲流後葉)"는 덴무 天皇 의 發言이 실려있는 것에서 미루어 《日本書紀》와 같은 黃名으로 編纂된 司書로 看做하기도 한다. 當時 天皇 을 諸神(祭神)과 連結시켜 天皇이 가진 權力의 '正當性'과 '正統性'을 主張하려 했다고 볼 수도 있다.

內容 [ 編輯 ]

成立 經緯를 記錄한 序文에서는 덴무 天皇 의 名으로 히다노 아레(稗田阿?)가 「誦習(誦習)」하고 있던 「제황日系(帝皇日?)」(天皇 系譜)과 「蒜臺灸社」(先代舊?)(오래된 戰勝)을 오오노 야스마로가 글로 적어서 編纂한 것으로 되어 있다. 一般的으로 「誦習」은 「暗誦」으로 解釋되지만, 오기와라 아사오(荻原?男)는 쇼街쿠칸 에서 펴낸 『日本古典文學全集(日本古典文學全集)』 第1 《古事記》에서 「옛 記錄을 보면서 古語로 句節을 떼어 反復해서 朗讀하는 뜻으로 解釋하여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冊 題目인 《古事記(古事記)》는 元來는 單純히 '오래된 冊'이라는 뜻의 普通名詞로 正式 이름은 아니며, 그 題目을 야스마로가 붙였는지 後代에 누군가가 붙인 것인지는 確實하지 않다.

《古事記》는 上, 中, 下의 세 卷으로 나뉘는데, 天皇家의 系譜와 神話·傳說 等을 中心으로 한 이야기로 構成되어 있으며, 商圈은 神들의 이야기, 中 · 下卷은 各 臺(代)의 系譜와 天皇 · 黃者들을 中心으로 엮어져 있다(중권은 招待부터 15代 天皇까지, 下卷은 16代부터 33代 天皇까지). 內容은 크게 「提起」(天皇 記錄) 部分과 「九思」(戰勝) 部分으로 分類할 수 있다. 「提起」는 招待 天皇에서 第33代 스이코 天皇까지의 이름, 皇后 · 皇子 · 皇女의 이름 및 그 子孫의 氏族과 이밖에 皇宮의 이름 · 治世 햇數 · 崩御한 해의 干支 · 壽命 · 陵墓의 所在地 및 그 治世의 主된 事件 等을 적었는데, 이것은 當時 야마토 朝廷의 가타리베( 日本語 : 語部, かたりべ ) 等이 暗誦했다가 天皇의 某가리( 日本語 : 殯, もがり ), 卽, 殯所에서의 提議 等에서 口述하던 慣習을 6世紀 中盤에 이르러 文字로 記錄한 것이다. 「九思」는 宮廷 內의 이야기, 皇室이나 國家의 起源에 關한 이야기를 集計한 것으로 「提起」와 같은 時期에 쓰여진 것이다. 이 「提起」나 「九思」는 6世紀 前半 乃至 中葉 무렵까지의 時期에 야마토 朝廷의 오키美(大王) 집안을 中心으로 하는 貴族이나 豪族이 創作한 口碑傳承으로서 '天皇'(오키美)이라는 存在가 야마토 (日本)을 支配하게 된 經緯를 說明하는 것으로, 妊娠의 亂 을 넘기고 神聖化된 王權의 由來를 이야기하면서, 天皇의 支配下人 國家體制를 正當化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點에서 日本 民族의 眞正한 歷史的 傳承은 아니다. 한便, 널리 民衆들에게도 受容하게 할 必要도 있었던 點에서, 民衆을 意識한 商圈 部分이 本來의 《古事記》가 아니냐고 보는 說도 있다.

懊惱 야스마로는 히다노 아레가 '誦習'하는 資料를 바탕으로 漢字의 訓讀 飮毒 表記를 섞고 알기 어려운 말에는 州(註)를 달았다. 本文은 變體 漢文을 主로 하고 日本의 古語나 固有 名詞처럼 漢文으로 代用하기 어려운 것은 한 字 한 音 表記로 하고 있으며, 歌謠는 모두 한 字 한 音 表記로 本文의 한 字 한 音 表記 部分을 包含해 古代 日本의 特殊한 가나 使用法의 硏究 對象이 되고 있다. 또 한 字 한 音 表記 가운데는 一部 神(神)의 이름 等의 오른쪽에 上(上), 거(去)처럼, 中國의 文書에서 볼 수 있는 漢語의 成條인 四聲 中 상성이나 巨星 같은 文字를 配置하고 있다.

《古事記》는 이야기가 中心이 되면서도 많은 노래가 收錄되어 있는데, 相當數는 民謠나 俗謠로서 이야기에 맞추어 揷入되었을 可能性이 높다. 有名한 것은 스사노오노 美코토 (須佐之男命)가 區市나다 히메 (櫛名田比?)와 結婚했을 때 지어 불렀다는, 와카 의 始初로 여겨지는

八雲たつ 八雲八重垣 妻ごみに 八重垣作る その八重垣を
뭉게뭉게 피어오른 이즈모의 구름 여러 겹으로 담을 두르네. 사랑하는 아내를 머물게 하기 위해 여러 겹 울타리 만드네. 훌륭한 울타리餘.

等이 있다.

飼料上으로 序文에 記錄된 成立 過程이나 當時 皇室의 關與에 對해서는 確實하지 않거나(서문에서 밝힌 天皇의 指示로 完成했다는 《古事記》 成立을 뒷받침하는 史料는 全혀 없다) 或은 實際 事實과 矛盾되는 點이 많다는 見解가 있고, 《 日本書紀 》나 《 속일본기 》 같은 다른 公式 史書의 記錄에도 《古事記》의 言及이 없는 等, 《古事記》라는 司書의 存在를 直接的으로 證明해주는 物證도 없다는 點에서 《古事記》를 緯書로 看做하는 泄道 主唱되고 있다(후술). 《古事記》의 가장 오래된 寫本은 南北朝 時代 의 것으로 그 以前의 모습을 얼마나 간직하고 있는지 與否에 對해 疑問을 품는 이른바 '改撰說'도 있으나, 여기에는 考古學的인 反論이 있다.

《古事記》는 國家 統治의 基本을 確立할 意圖에서 作成된 것으로 사서 로서의 一面도 있으나, 또한 神話 · 傳說 · 歌謠 等 文學性이 豐富한 內容을 가진 日本 文學史의 最初를 裝飾한 뛰어난 作品이라 [1] 하겠으며, 日本 신토 의 '經典'의 하나로서(《고사기》에 收錄된 神들은, 現在 日本의 많은 神社에서 祭神으로 모셔지고 있다) 信徒를 비롯한 日本의 宗敎 文化 · 精神 文化에 오늘날까지 많은 影響을 주고 있다. 特히 商圈에 나와있는 神話 部分은 韓國의 神話와 類似한 部分이 많아, 韓國의 神話 硏究에 도움이 되고 있다.

現存하는 《古事記》 寫本은 主로 誤나카토미櫓 社다요(大中臣定世)에 依해 筆寫된 것을 조본(祖本)으로 하는 「이세본(伊勢本)」 系統과 무로마치 時代 後期에 우라베 가네나가(卜部兼永)가 筆寫한 것을 조본으로 하는 「우라베本(卜部本)」 系統으로 나뉘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이세본」 系統으로 겐토쿠 2年/ 五眼 (應安) 4年( 1371年 )부터 이듬해 분추 元年/五眼 5年( 1372年 )에 걸쳐 新후쿠지(?福寺)의 僧侶였던 겐油(賢瑜)가 筆寫한 新후쿠지本(?福寺本) 《古事記》 3妾이 現在 日本의 國寶로 指定되어 있다. 이것이 「이세본」의 조본이며, 跋文에는 賞 ? 下卷만 사다요가 筆寫하고, 中卷은 후지와라노 미치마社(藤原通雅)가 筆師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밖에 高카 元年/ 에이토쿠 元年( 1381年 )에 筆寫된 道科本(道果本) 商圈 前半部, 오에이 31年( 1424年 )에 筆寫된 도상본(道祥本) 商圈, 오에이 33年( 1426年 )에 筆寫된 春遊本(春瑜本)이 있는데, 이 세 筆寫本은 모두 新후쿠지本과 가까워서 똑같이 「이세본」 系統으로 分類된다. 이밖의 寫本은 모두 「우라베本」 系統이다.

古事記가 近世期 國學者들이 만든 歷史書라는 위小說도 있다. 크게 古事記의 序文만 魏書라는 說과 本文도 魏書라는 說이 있다. 古代 日本語의 漢字 表記法과 言語學的 側面에서 魏書說은 否定되고 있다.

古事記의 神들 [ 編輯 ]

  •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
  • 다카미무스히노카미
  • 加味무스히노카미
  • 우마시아시카비히코지노카미
  • 아메노토코타치노카미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