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둘째 便紙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둘째 便紙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둘째 便紙 新約聖經 中 한 卷으로, 바울로 書信 中 하나이며 디모테오 亦是 共同著者로 認定된다. 天主敎 聖經에서는 코린土 信者들에게 보낸 둘째 書簡 , 標準새飜譯과 한글改譯版에서는 고린도후서 로 飜譯했다. 現在 그리스 에 位置한 코린토스 敎會와 아하이아현 의 信者들에게 電送된 便紙이다.

構成 [ 編輯 ]

使徒 바울로가 이 書信의 著者라는 것에는 大部分의 學者들이 同意하나, 이 書信이 本來 하나의 便紙인지 아니면 여러 便紙를 엮은 것인지에 對해서는 論議가 이루어지고 있다. [1]

新約聖經에는 코린토스(고린토) 敎會에 보낸 便紙들 中 두個만 실려있지만, 最小限 네 個 以上의 便紙가 敎會에 傳達되었고 한 張 以上의 答狀이 바울로에게 傳達되었음을 나타내는 證據들이 本文에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1. 첫째 便紙 5:9("내가 여러분에게 쓴 便紙에서 淫亂한 사람들과 사귀지 말라고 했지만", 共同飜譯 聖書 )에서 以前에 보낸 便紙의 內容을 參照하고 있다. 이 便紙는 警告 便紙(warning letter) 또는 移轉 便紙(previous letter)라고 불린다.
  2.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첫째 便紙
  3. 둘째 便紙 2:3-4와 7:8에서는 嚴重한 便紙 (severe letter) 또는 눈물의 便紙라고 불리는 便紙를 參照하고 있다. 첫째 便紙에서는 이 便紙를 言及하고 있지 않으니, 마음을 아프게 한 便紙는 첫째와 둘째 便紙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推定된다.
  4.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둘째 便紙

첫째 便紙 7張 1節에서는 첫째 便紙가 以前에 고린토 敎會에서 바울로에게 電送한 質問에 對한 答辯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以前까지는 부드러운 語調로 적히던 둘찌니 便紙가 10-13章에서 따끔하게 責望하는 語調로 急히 轉換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嚴重한 便紙의 一部가 어떤 經路로 本文에 添加되었을 것으로 推測한다. [2] 그러나 이 內容은 둘째 便紙 本來의 것이라고 主張하는 사람들과, [3] 10-13의 內容이 酷毒한 便紙가 아닌 後의 다른 便紙들로부터 添加된 것이라고 主張하는 사람들 亦是 存在한다. [4]

8-9章에서 글의 主題가 以前과 달리 갑작스레 바뀌는 것을 보고, 몇몇 學者들은 8-9張이, 甚至於는 8張과 9張의 內容 亦是 各各 다른 便紙의 內容이었을 것이라고 主張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學者들은 이러한 主張에 反對한다. [5]

一部 學者들은 警告 便紙의 內容을 1-9章에서 찾는데, [6] 6:14-7:1에 그 內容이 保存되어 있다는 式의 主張이다. [2] 그러나 이와 같은 主張은 말 그대로 一部에 不過하다. [7]

救助 [ 編輯 ]

一般的으로 다음의 네 部分으로 나뉜다.

  • 1:1?11 ? 問安人事
  • 1:12 ? 7:16 ? 使徒權을 保護하며 고린도 敎會에 對한 사랑을 表現
  • 8:1 ? 9:15 ? 예루살렘 敎會의 가난한 聖徒들을 위한 獻金을 모을 것을 券面
  • 10:1 ? 13:10 ? 바울로의 使徒權에 對한 辯護
  • 13:11?13 ? 축도

內容 [ 編輯 ]

  • 1張 : 人事, 患難과 하느님의 慰勞, 고린토 敎會 房門 延期 (2章으로 이어짐.)
  • 2張 : 고린토 房門 延期, 잘못된 者에 對한 容恕, 티토에 對한 不安, 우리는 그리스도 의 香氣
  • 3張 : 새 契約과 일꾼
  • 4張 : 新約時代 사탄의 正義, 질그릇에 담긴 寶物, 믿음에 따른 삶 (5章으로 이어짐.)
  • 5張 : 믿음에 따른 삶, 和解의 奉仕職 (6章으로 이어짐.)
  • 6張 : 和解의 奉仕職, 우리는 살아 계신 하느님의 聖殿 (7章으로 이어짐.)
  • 7張 : 우리는 살아 계신 하느님의 聖殿, 悔改의 定義 , 悔改에 對한 바울로의 기쁨.
  • 8張 : 그리스도人의 年譜, 티토 一行의 派遣
  • 9張 : 兄弟들을 돕는 일, 獻金의 方法.
  • 10張 : 自己의 使徒職을 擁護하는 바울
  • 11張 : 그리스도人의 簡單 明瞭함, 바울로와 거짓 使徒들, 使徒로서 겪는 苦難
  • 12張 : 바울로가 받은 幻視와 啓示, 고린도 敎會에 對한 念慮
  • 13張 : 眞理의 正義 , 마지막 警告와 人事

고린토人들에게 보낸 둘째 便紙에서 바울로는 自身을 하느님에 依해 任命된 예수 그리스도 의 使徒라고 言及하며, 고린토 敎會가 苦痛스러운 訪問을 다시 받는 일은 없을것이라며 안심시키는 同時에 그가 하는 말은 苦痛을 주기 위함이 아닌 사랑을 表現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둘째 便紙는 고린도전서에 비하면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고린토 敎會의 社會/宗敎/經濟的 狀況을 알지 못하면 헷갈릴만한 部分이 조금 있다. 바울로는 고린토 敎會의 狀況이 複雜하며 또한 攻擊받고 있다고 느꼈다.

바울로는 갈라디아 等 그의 使徒權을 받아들인 다른 敎會들과 比較했을 때, 고린토 敎人 一部가 바울로의 사도 됨에 挑戰하는 것에 對해 念慮하고 있다. 그는 自身이 말하고 쓴 것에 對해 批判받는 가운데, 自身의 重要한 가르침들로부터 自己 自身을 辯護하기 위한 內容을 찾는다. 바울로는 다른 사람들을 容恕하는 것의 重要性, 살아계신 하느님의 聖靈(둘째 便紙 3:3)으로 쓴 새 言約,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 것, 예루살렘의 聖徒들을 관대히 돕는것에 對해 敍述하고 있으며, 하느님께서 그의 人生을 어떻게 바꾸셨는지에 對한 經驗으로 便紙를 마친다. [8]

獨特性 [ 編輯 ]

이스턴 聖書辭典 에서는 다음과 같이 記述되어있다.

이 書信은 다른 어떤 書信보다도 四都의 個性을 잘 드러내고 있다. "人間의 軟弱함, 靈的 强健함, 부드러운 愛情, 傷處받은 마음, 嚴格함, 詰難함, 自己辯護에 熱中함, 謙遜, 正當한 自我尊重, 弱한 者와 傷處받은 者에 對한 熱情, 그리스도의 敎會와 그 敎人의 靈的 成熟에 對한 熱情이 그가 懇求하는 中에 다 드러나있다." ?Lias, Second Corinthians. [9]

學者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rris, Murray J. (2005).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The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 Grand Rapids, MI: Eerdmans. ISBN   978-0-8028-7126-8 .  
  2. THE SECOND LETTER TO THE CORINTHIANS , from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by Edgar J. Goodspeed, 1937
  3. 2 Corinthians: Introduction, Argument, and Outline , by Daniel Wallace at bible.org
  4. B. J. Oropeza, Exploring Second Corinthians: Death and Life, Hardship and Rivalry (Atlanta: SBL Press, 2016), 2-15; Victor Paul Furnish, II Corinthians (Garden City, NY: Doubleday, 1984).
  5. Garland, David E. (1999). 《2 Corinthians: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Exposition of Holy Scripture》. The New American Commentary . Nashville, TN: B&H Publishing Group. ISBN   978-0805401295 .  
  6. New Testament Letter Structure , from Catholic Resources by Felix Just, S.J.
  7. "An Introduction to the Bible", by John Drane (Lion, 1990), p.654
  8. Sandmel, Samuel. (1979). 《Philo of Alexandria, an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25148 .  
  9. Corinthians, Second Epistle to the , in Easton's Bible Dictionary , 1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