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운데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가운데땅의 地圖

가운데땅 ( 英語 : the Middle Earth 꿰냐 : endor (엔도르) 新다린 : ennor (엔노르) ) 또는 中間界 (中間界)는 作家 J.R.R.톨킨 의 小說에 登場하는 虛構의 空間이다. 톨킨이 想像으로 創造한 世界인 아르다 (Arda, 톨킨 이 想定한 옛 地球)의 一部로써, 約 第1時代 말 즈음에 비로소 아르다의 歷史에서 드러난 곳이다. 《 호빗 》과 《 半指의 帝王 》의 背景이고, 《 실마릴리온 》의 一部 背景이기도 하다. [1] 主로 第3時代 에 注目되었던 땅이다.

槪念 [ 編輯 ]

어원 [ 編輯 ]

가운데땅( 英語 : Middle-earth )이라는 用語의 始作은 톨킨이 만들었다기 보다는, 現代 英語 에서 美드가르드 ( Midgard , 北유럽 神話에 登場하는 用語로 中間界를 意味한다. [2] )로 飜譯되는 古代 英語 middan?eard 中世 英語 midden(l)-erd 에서 나온 것으로 본다. middan(中間의)- 뒤에 붙은 古代 英語의 -geard 는 "yard"(場) 或은 "enclosure"(울타리를 친 場所)를 의미하고, 中世英語의 -erde 는 "earth"(地球)를 意味한다. [3]

톨킨에 依한 用法 [ 編輯 ]

톨킨은 古代 英語 單語 middangeard ( 英語 : Midgard , 美드가르드 )를 그가 1914年 古代 英語 分析 硏究를 하면서 처음 接한다.

古代 英語 原文

Eala earendel engla beorhtast / ofer middangeard monnum sended.

現代 英語 解釋

Hail Earendel, brightest of angels / above the middle-earth sent unto men.

韓國語 解釋

에아렌델, 가장 밝은 天使여 / 가운데땅 위에서 사람들에게 보내졌네.

이 引用文은 퀴너울프의 宗敎的 詩의 一部分이다. 이 詩의 에아렌델( Earendel )라는 이름은 톨킨이 만든 登場人物인 航海者 에아렌딜 (Earendil)이라는 登場人物에 影響을 끼친다. [4] 에아렌딜은 톨킨의 가운뎃땅 敍事에서 基督敎 說話의 '天使'와 비슷한 位置에 있는 발라 들(Valar)의 도움으로 '가운데땅'을 航海하는 人物이다. 에아렌딜에 關해 톨킨이 詩를 쓴 時期는 1914年 이며 이는 그가 宗敎詩를 읽은 해와 같다. [5] [6]

톨킨이 著述 初期부터 '中間界'이라는 用語를 使用한 것은 아니다. 그가 1920年代에 쓴 《누메노르와 中間系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1980年에 出版됨)과 《 호빗 》(1937)에서도 中間界라는 用語는 使用되지 않았다. 톨킨은 "中間界"이라는 用語를 1930年代에 便紙에서 처음 썼다. 처음에는 "巨大한 땅"(Great Lands), "外部의 땅"(Outer Lands), "이곳 땅"(Hither Lands)等을 中間界를 가리키는 말로 代身 썼었다. '中間界'라는 用語는 《 半指의 帝王 》을 草案하면서 나타났고 처음 半指의 帝王 톨킨의 프롤로그에서 冊으로 發行되어 나타난다. 그 內容은 다음과 같다.

英語 原文

"...Hobbits had, in fact, lived quietly in Middle-earth for many long years before other folk even became aware of them." [7]

한글 解釋

"..호빗들은 事實, 다른 이들이 그들을 알기 前부터 中間界에서 오랜 歲月동안 조용하게 살아왔다.

地理的 位置 [ 編輯 ]

中間系의 西쪽 部分은 현대 地球의 位置에서 유럽 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韓國語 飜譯 [ 編輯 ]

그동안 《 半指의 帝王 》의 韓國 飜譯들에서는 'Middleearth'에 對한 다양한 번역어가 提示되었다. 첫 飜譯인 例文판 飜譯에서는 '中間界'라고 飜譯했고, 다음 公式 飜譯인 黃金가지 版本에서는 '중원'을 使用하였다. 國內 半指의 帝王 팬덤 中에서는 '가온땅', '가운뎃땅' 等의 代案을 提示했다. 現在 《호빗》, 《半指의 帝王》, 《실마릴리온》의 正式 飜譯版을 낸 '씨앗을 뿌리는 사람' 出版社에서는 '가운데땅'이라는 用語를 使用하고 있으며, 半指의 帝王 팬들도 이 飜譯을 받아들이고 있다. [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 半指의 帝王' 誕生 前 이야기” . 釜山日報. 2009年 11月 7日.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2. 美드가르드(middangeard) 世界는 베오울프 의 詩에서 몇番 나타난다.
  3. 著者-Bruce Mitchell and Fred C. Robinson/冊- 古代 英語 가이드 (A Guide to Old English) p. 360
  4. 톨킨의 便紙(Letters) no. 297
  5. 冊- The Ring of Words p. 164
  6. 송태현 (2003年 12月 20日). 《판타지 : 톨킨, 루이스, 롤링의 幻想 世界와 基督敎》.  
  7. 半指의 帝王 "프롤로그"
  8. “冊/실마릴리온” . 京鄕新聞. 2004年 7月 23日.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가운데땅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