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카를 레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카를 레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카를 레너
Karl Renner
카를 레너 (1905년)
카를 레너 (1905年)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聯邦大統領
任期 1945年 12月 20日-1950年 12月 31日
前任 빌헬름 美클라스 (第1共和國, 聯邦國)
後任 테오도어 쾨르너
總理 레오폴트 피글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聯邦總理
任期 1945年 4月 27日-1945年 12月 20日
前任 아르투어 者이스잉크바르트
後任 레오폴트 피글
副總理 레오폴트 피글
요한 코플레니히
아돌프 셰르트

任期 1919年 10月 21日-1920年 7月 7日
前任 카를 레너 (獨逸系 오스트리아 總理)
後任 미하엘 마이어
大統領 카를 자이츠
副總理 要도크 핑크

오스트리아 獨逸系 오스트리아 의 聯邦總理
任期 1918年 10月 30日-1919年 10月 21日
前任 하인리히 라마슈 ( 오스트리아의 總理 )
後任 카를 레너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 總理)
大統領 카를 자이츠
副總理 要도크 핑크

身上情報
出生日 1870年 12月 14日 ( 1870-12-14 )
出生地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트리아-헝가리 運터打老비츠 (現 체코令)
死亡日 1950年 12月 31日 ( 1950-12-31 ) (80歲)
死亡地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正當 오스트리아 社會民主黨
配偶者 루이제 레너

카를 레너 ( Karl Renner , 1870年 12月 14日 ~ 1950年 12月 31日 )는 오스트리아 政治人 이다. 모라바 운터 打老비츠 (Unter Tanowitz)에서 태어나서 에서 죽었다. 1918年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 의 初代 政府를 引率했기 때문에 共和國의 아버지로 불리며, 1945年에 오스트리아 第2共和國 을 設立하는 데도 決定的 役割을 하여 첫 番째 大統領이 되었다. 여기에 根據하여 레너를 國富라 稱하기도 한다.

젊은 時節 [ 編輯 ]

레너는 零細한 農夫의 18番째 아이로 태어났다. 大家族이라 父母의 關心을 많이 받지 못했지만 누나의 積極的인 보살핌을 받았다고 한다. 以後 집안이 破産하여 어려움을 겪었지만 레너의 才能을 알아본 아버지의 도움으로 20살에 김나지움 에 入學하게 되었다. 이때 그의 先生님들 中 한 名은 빌헬름 예루살렘 이었다. 김나지움 在學 當時에 勞動 運動에 關心을 가졌으며 政治 信念에 影響을 주는 協助의 重要性도 배우게 되었다. 1890年에서 1896年까지 그는 빈 大學校 에서 法을 工夫했으며 오스트리아 社會民主黨 에 入黨했다.

1895年 '自然의 親舊들'(Naturfreunde) 機構의 創立 會員 中 한 名이 되었으며 器具의 로고를 만들었다. 政治에 興味를 느끼게 된 그는 議會에서 司書가 되어 民法, 法制史, 民族 問題 等에 關한 著作을 發表하기도 했다. 레너는 이미 國際 紛爭과 司法 둘 多義 分析에서 새로운 見解를 열어 놓았었다. 그는 議會 司書로서 그가 渴望하던 자리를 잃어버리지 않게 다양한 筆名으로 그의 革新的인 생각을 自己 것이 아닌 것처럼 했었다. [1] 이 時節 레너는 오토 바우어 , 막스 아들러 , 루돌프 힐퍼딩 等과 함께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의 새 潮流를 形成했다.

政治 經歷 [ 編輯 ]

第2次 世界 大戰 移轉 [ 編輯 ]

1907年 選擧에서 레너는 니더外스터라이히週 에서 出馬해 當選되었다. 以後 消費者協同組合運動에 參加하여 1911年 全國委員長으로 選出돼 勞動者를 위한 銀行 創設이나 食料 供給 等에 努力하는 한便, 바우어와 함께 雜誌 『Kampf』의 編輯을 맡았다.

第1次 世界 大戰 이 일어나자 다른 社會主義者들과 함께 戰爭을 支持했으나 나중에는 바우어에게 說得되어 아들러와 함께 反戰 運動을 展開했다. 前後 오스트리아가 나아가야 할 方向으로 도나우 聯邦을 提唱했으나 民族 自決에 따른 獨逸 과의 合倂을 主張한 意見에 敗北하여 社會民主黨의 主流가 右派에서 左派로 바뀌게 되었다.

1918年 世界 大戰에서 敗北하자 非獨逸界 民族들이 獨立을 宣言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은 崩壞했다. 오스트리아 基督社會黨 은 政權을 擔當할 準備가 되어 있지 않아 制定이 崩壞한 뒤 出帆한 共和國의 主導權은 社會民主黨이 쥐게 되었고 初代 首相으로 레너가 選出되었다. 레너는 새로운 國家를 위하여 거의 같은 地域에 位置했고 로마 帝國 의 한 株로서 倂合되었던 古代 켈트 王國 " 노리쿰 "을 바탕으로 한 獨自的인 名稱인 "北方 共和國"( 獨逸語 : Norische Republik , 英語 : Noric Republic )을 提案했다. 以後 "獨逸系 오스트리아"를 바이마르 共和國 의 一部로 한다는 빈 制憲議會의 決意와 함께 "獨逸系 오스트리아 共和國"( 獨逸語 : Republik Deutsch-Osterreich )으로 可決되었다. 甚至於 帝國이 沒落하기 前에도 레너는 오스트리아를 未來 獨逸 聯合의 一部로 하자고 提議하면서 "오스트리아 倂合"이라는 單語를 使用하였다. [2]

하지만 이 國名은 다음해 聯合國 과 講和 條約을 맺으면서 獨逸과의 合倂 禁止를 강요당하면서 挫折되었다. 外務長官이던 바우어는 여기에 强力히 反對하며 辭表를 던졌지만 도나우 聯邦 構想을 부활시킬 수 있다는 期待 때문에 레너는 不滿을 가지면서도 이를 받아들였다.

內政에 있어선 勞動과 福祉 分野의 立法을 忠實히 施行했으며 騎士黨과 聯立 政權을 協調的으로 運營하기 위해 努力했다. 1920年에는 新憲法을 制定하여 議會民主主義를 確立했다.

하지만 黨內에서 急速히 指導的 地位를 確立한 바우어와 그를 追從하는 左派 勢力과의 意見 對立이 잇따랐다. 바우어는 社會主義가 歷史의 必然이자 最終的 形態라며 社會主義 革命의 必要性을 强調했다. 하지만 레너는 社會主義者임에도 資本主義의 社會化를 主張하고 民主主義를 肯定하고 獨裁에 反對하는 等 右派的 要素가 剛했다. 레너는 바우어와의 意見 對立을 克服하고자 努力했으나 끝내 失敗하게 된다.

사민당의 內紛은 記事當을 中心으로 한 保守派에게도 社會主義 革命에 對한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以後 1920年 10月 選擧에서 騎士黨이 사민당을 누르고 院內 1黨으로 登極하자 바우어는 부르주아 共和國이 到來했다고 宣言하고 社會主義者와 勞動者가 責任을 질 必要가 없다하여 스스로 下野했다. 하지만 레너는 如前히 少數派였으며 以後 記事當에서도 敎條的 가톨릭주의者人 이그나츠 자이펠이 黨權을 잡고 地方에선 保國團 이 結成되는 等 1920年 以後의 오스트리아는 左右 洋파의 極限 對決에 휘말리게 된다.

美國發 大恐慌 의 混亂이 오스트리아를 덮친 가운데 1930年에 치러진 總選에서 社民黨은 院內 1黨의 地位를 回復했다. 다음 해에 레너는 國民議會 議長으로 就任했다. 하지만 두 政黨의 對立, 保國團의 議會 進出 等으로 議會 運營은 宏壯히 混亂스러웠다. 이를 克服하고자 자이펠은 사민당에게 戀情을 提案했고 레너度 肯定的이었으나 바우어는 오히려 革命이 다가왔다고 여겨 이를 拒絶했다. 1933年 3月 失意에 빠진 레너는 議長職을 辭任했고 騎士黨 出身 首相인 엥겔베르트 돌푸스 는 議會의 機能을 정지시켜 버렸다.

保國團은 이를 機會로 여겨 사민당의 顚覆을 計劃했고 社民黨 亦是 레너의 反對에도 不拘하고 武力 鬪爭을 決意했다. 1934年 2月 政府와 社民黨은 內戰 狀態에 突入했고 敗北한 社民黨은 强制로 解體되었다. 바우어는 체코슬로바키아 로 亡命을 떠났으며, 레너는 100日 間 투옥당하게 되었다. 釋放 以後 레너는 隱居했고 以後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로파시즘 이 橫行한 가운데 나치 獨逸 에 合倂됐다.

레너는 나치의 政治 路線을 批判하면서도 獨逸과의 合倂을 容認하는 見解를 發表했다. 레너의 主張은 旣存 사민당의 公式 見解와 一致했으나 나치의 統治 下에서 發表가 이루어졌기에 國內外에서 레너에 對한 疑心이 커졌다. 따라서 一說에는 레너가 投獄된 社民黨원의 釋放을 條件으로 合倂을 擁護했다는 主張도 있다. 하지만 以後 레너가 主張한 도나우 聯邦에 反하는 獨逸의 체코슬로바키아 占領 이 있었을 때도 好意的인 反應을 보였기에 自身의 政治的 挫折과 現 狀況에 對한 一種의 火풀이가 아니냐는 批判을 받기도 했다. 이 時期 레너의 行動은 理解하기 힘든 側面도 있지만 第2次 世界 大戰 이 끝날 때까지 持續된 隱居 生活은 以後 復活의 열쇠가 된다.

第2次 世界 大戰 以後 [ 編輯 ]

빈 市內에 設置된 레너의 彫刻像

第2次 世界 大戰이 막바지에 이른 1945年 4月 오스트리아는 聯合國에 依해 解放되었다. 하지만 獨逸과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도 首都 빈을 包含한 東部는 蘇聯 에 占領되었으며 티롤州 , 잘츠부르크州 , 오버外스터라이히週 美國 에 占領되었다. 케른텐州 포어아를베르크週 도 各各 英國 프랑스 에 占領되어 分割 占領 을 받는 處地가 되었다. 蘇聯軍의 統治下에서 居住하던 레너는 蘇聯軍의 勸誘를 받아 새 政權의 樹立을 위해 努力하기 始作했다.

레너는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과 사이가 좋지 못했지만 오스트리아의 代表的인 元老 政治人이며 左派 陣營에선 가장 人望있는 指導者였다(라이벌이었던 바우어는 1938年에 죽었다). 따라서 蘇聯 立場에선 本格的인 親蘇 政權을 樹立하기까지 傀儡 政權 의 首班으로 最適化된 人物로 여겨졌다. 하지만 레너는 蘇聯의 속셈을 잘 理解하고 있었고 獨逸과의 統合이 幻想에 不過하다는 것을 알아차린 오스트리아 國民들을 위해 새 政權을 樹立하고자 蘇聯을 利用하고자 했다.

빈에 돌아온 레너는 돌프스가 解散하기 直前의 國民議會 議長 資格으로 사민당의 後身인 오스트리아 社會黨과 騎士黨의 後身인 오스트리아 國民黨 , 그리고 蘇聯의 支援을 받는 오스트리아 共産黨 의 代表와 會談하여 3黨이 모두 參與한 聯立 政權을 樹立하고자 했다. 4月 27日 레너의 主導 下에 臨時 內閣이 樹立되어 이틀 뒤 돌프스 政權 以前의 憲法의 復活을 바탕으로 한 獨立 宣言을 했다. 臨時 內閣은 3黨 外에 無黨派도 參與하였으며 各 部의 次官은 長官과 다른 派閥로 임명하여 서로 牽制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美國, 英國, 프랑스 等 西方 3個國은 레너를 蘇聯의 앞잡이라 여겨 臨時 內閣을 承認하지 않았다. 한便 共産黨은 蘇聯의 支援 下에 社會黨에 對해 人民 블록을 形成할 것을 提案했고 社會黨 左派에서는 여기에 同調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國內 行政과 經濟 시스템이 痲痹된 狀態에서 美國과 蘇聯의 冷戰 徵候가 보이자 레너는 어떻게든 돌프스 政權 以前의 오스트리아 政治로 回復하고자 努力했으나 內外에 深刻한 難題들이 쌓여 解決이 힘들었다. 하지만 본디 慣用的이고 樂天的인 레너의 性格은 이를 必要 以上으로 深刻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姿勢를 貫徹시켰다.

9月 西方 3個國 占領軍이 빈에 進駐하여 오스트리아를 東西로 分割한다는 所聞이 들릴 무렵, 레너는 各 州의 代表를 한 곳에 모아 以後 오스트리아가 나아가야 할 方針을 定하는 會議를 開催할 것을 占領 4個國과 各 州에 提案했다. 레너는 西方 3個國에게는 會議의 成功 與否에 따라 共産黨을 排除한 政權의 樹立이 可能하다고 主張했다. 한便, 蘇聯에 對해서는 會議가 열리지 않으면 西方 3個國은 더以上 自身을 信賴하지 않을 것이며 오스트리아 西部를 代表하는 새로운 指導者를 내세울 것이라고 警告했다. 드디어 9月 24日 빈에서 各 州 代表가 모여 會議가 열렸으며 레너는 議長으로서 意見을 모아 本格的인 政府의 樹立을 위한 合意를 얻는 데 成功했다.

10月 24日 西方 3個國은 레너를 오스트리아 全體를 代表하는 指導者로 認定했으며 11月 25日에는 戰後 最初의 總選을 치렀다. 美國은 레너가 蘇聯의 앞잡이가 아니란 것을 理解했고 自由 總選을 支援하여 蘇聯의 介入을 막아냈다. 그 結果 國民黨이 僅少하게 社會黨을 누르고 院內 1黨이 되었으며 共産黨은 豫想 以下의 大慘敗를 當했다. 이는 社會黨의 支持 勢力이 蘇聯의 掠奪 行爲와 지나친 賠償 要求가 蘇聯에 反感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레너의 後任 受賞으로는 國民黨의 휘글이 就任했다.

12月 20日 再建된 오스트리아 國民議會는 滿場一致로 레너를 初代 大統領으로 選出했다. 以後 레너는 任期가 채 끝나기도 前인 1950年 빈에서 死亡했다.

參考 文獻 [ 編輯 ]

  • 야다 都市다카 『오스트리아 現代史의 敎訓』 (刀水書房, 1995年 ISBN   4887081723

各州 [ 編輯 ]

  1. William M. Johnston, Karl Renner: The Austro-Marxist as Conciliator . In: The Austrian Mind: An Intellectual and Social History, 1848-1938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ISBN   0-520-04955-1 p. 108
  2. Ernst Panzenbock, Ein Deutscher Traum: die Anschlussidee und Anschlusspolitik bei Karl Renner und Otto Bauer. Materialien zur Arbeiterbewegung , PhD thesis, Vienna: Europaverlag, 1985 p. 93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카를 레너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 오스트리아의 總理 )
하인리히 라마슈
第1代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 聯邦總理
1919年 10月 21日 ? 1920年 7月 7日
後任
미하엘 마이어
(나치强占期)
아르투어 者이스잉크바르트
第1代 오스트리아 第2共和國 聯邦總理
1945年 4月 27日 ? 1945年 12月 20日
後任
레오폴트 피글
前任
빌헬름 美클라스
第4代 오스트리아 聯邦大統領
1945年 12月 20日 ? 1950年 12月 31日
後任
(權限代行) 레오폴트 피글
테오도어 쾨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