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1次 슐레스비히 戰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第1次 슐레스비히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1次 슐레스비히 戰爭
1848年 革命 의 一部

덴마크 軍士들이 熱烈한 歡迎 속에 코펜하겐에 入城하고 있다.
날짜 1848年 3月 24日 ~ 1852年 5月 8日
場所
結果

덴마크의 勝利

  •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公國,홀슈타인 公國 支配權 維持.
交戰國






兵力
? ?
被害 規模
1,298名 死亡
4,003名 砲로
2,254名 死亡
5,463名 砲로

第1次 슐레스비히 戰爭 ( 獨逸語 : Schleswig-Holsteinische Erhebung )은 1848年 부터 1851年 까지 덴마크 王國 슐레스비히 公國 - 홀슈타인 公國 사이에 일어난 戰爭이다. 덴마크는 이 戰爭을 3年 戰爭 ( 덴마크語 : Trearskrigen )이라고 부른다. 이 戰爭으로 인해 덴마크는 슐레스비히 脂肪과 홀슈타인 地方을 如前히 支配하게 되지만 結局은 1864年의 第2次 슐레스비히 戰爭 에 이른다.

背景 [ 編輯 ]

덴마크 는 只今의 獨逸 과 國境을 맞대고 있는 슐레스비히 公國 홀슈타인 公國 을 여러 世紀 동안 支配하고 있었다. 1815年 6月 9日 빈 會議 가 最終 署名한 決定文은 두 公國이 同君聯合 形態로 如前히 덴마크 國王의 統治를 받는 Danischer Gesamtstaat의 一部이면서도 그中 홀슈타인 公國 은 같은 날짜 1815年 6月 9日에 發效하는 獨逸 聯邦 의 構成國 이라고 認定했었는데 이 不安定한 內容이 이 戰爭의 씨앗이다.

그러던 1848年 1月 20日 덴마크 國王 크리스티안 8歲 가 죽고 아들 프레데리크 7歲 가 卽位하였다. 이 두 地方에 關心이 많았던 프레데리크 7世는 1848年 3月 21日에 덴마크 王室에서 프로이센과 戰爭을 해야 하느냐에 對한 討論을 始作했다. 그리고 大部分의 閣僚가 프로이센과의 戰爭을 贊成했다. 3日 뒤인 3月 24日 슐레스비히-홀슈타인人들이 렌츠부르크 要塞를 襲擊하여 에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公國 聯合의 臨時 政府의 樹立을 宣布하면서 戰爭이 勃發했다.

프레데리크 7世는 公國 聯合의 解體를 宣言했고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은 프로이센 便에 加擔했다. 獨逸 聯邦 의 議會는 프로이센 에 支援을 要請했다.

戰爭 經過 [ 編輯 ]

獨逸 聯邦 의 要請을 받은 프로이센 軍隊는 슐레스비히로 迅速히 進軍했다. 하지만 强大國들이 戰爭에 介入하면서 프로이센 國王 프리드리히 빌헬름 4歲 는 슐레스비히 占領이 豫期치 못한 狀況으로 展開되리라는 것을 正確하게 看破했다. 한便 덴마크는 슐레스비히를 홀슈타인으로부터 分離할 것을 要求했다. 덴마크와 이웃한 스칸디나비아 나라인 스웨덴 , 노르웨이 가 덴마크를 支持했고 英國 , 러시아 , 프랑스 또한 支持했다.

1849年 2月 23日, 덴마크는 프로이센에게 슐레스비히 問題가 덴마크의 要求에 따라 處理되지 않는다면 平和 條約이 締結되지 못할 것이라고 警告했다. 戰鬪는 4月까지 繼續되었다. 프로이센 軍隊는 슐레스비히 및 윌欄半島 를 지나 코펜하겐 近處까지 進擊했지만 英國, 러시아, 프랑스의 外交的 壓力으로 멈추었다. 그러다 보브 戰鬪 , 슐레스비히 戰鬪 에서 덴마크軍이 勝戰하자 戰爭이 激化했다. 그리고 로톨프 戰鬪 에서 덴마크軍이 大勝을 거두고 프로이센 領土로 進入했다.

戰爭의 擴戰을 두려워한 强大國들은 多急하게 1850年 仲裁案을 냈다. 프로이센은 이 提案에 署名하였다. 덴마크는 贊反 論難 끝에 마침내 1852年 5月 8日 런던 議定書(London Protocol)에 署名했다.

平和 協定 [ 編輯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紛爭으로 인해 세 番의 戰爭과 休戰이 反復되었고, 戰爭 全體를 통틀어 덴마크가 勝利의 기쁨을 누린 것은 이스테드 戰鬪 뿐이었다. 이스테드 戰鬪는 아주 微微한 戰鬪였지만 그 戰鬪에서의 勝利는 덴마크人들에게 一時的 安堵感을 주기에 充分했다.

1852年 5月 8日의 議定書는 덴마크, 스웨덴, 英國, 러시아, 프랑스,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이 參與한 가운데 런던에서 締結되었다. 强大國들은 輾轉(戰前) 狀態로의 復歸를 擇했고,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領有權이 認定되었다. 裏面에는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支配의 持續이 유럽의 勢力 均衡에 寄與할 것이라는 期待가 깔려 있었다.

協定 締結 後, 슐레스비히의 統治 組織은 親덴마크 王唐과 官僚들을 中心으로 再建되었다. 이로 因해 30餘名의 革命 指導者들(슐레스비히-홀슈타인主義者들)李 追放當下다. 덴마크 政府는 슐레스비히의 言語를 北部는 덴마크語 로, 南部는 獨逸語 로 하되 두 言語가 混用되는 地域은 덴마크語를 公式 言語로 한다는 布告令을 公布했다. 그러나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政策에 對해 反對했다. 그들은 덴마크의 言語 政策이 슐레스비히를 덴마크 쪽으로 固着한다 라고 憂慮했다. 獨逸 急進派들은 1848年 革命의 餘波로 덴마크가 立憲的 改革을 이룬데 反해,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은 民主主義와 民族自決이 妨害받음으로써 全혀 豫想치 못한 狀況에 빠지게 되었다고 批判했다.

戰爭의 餘波 [ 編輯 ]

이 戰爭을 契機로 勝戰國인 스웨덴, 노르웨이는 프로이센의 온갖 利權을 빼앗았다. 프로이센에서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 가 首相에 就任하고 軍隊를 嚴格하게 길렀다. 프로이센은 유럽 最强國이 되었지만 덴마크는 비스마르크의 프로이센을 相對하기에 너무 弱해졌다. 結局 第2次 슐레스비히 戰爭 (1864年 2月 1日 ~ 10月 30日)에서 프로이센이 슐레스비히를 차지했고 덴마크는 弱小國家로 墜落했다.

第2次 戰爭에서의 프로이센과의 聯合國人 오스트리아 帝國 은 當時 스웨덴 等이 빼앗아 갔던 利權들을 프로이센에 돌려줬다. 또한 허약해진 스웨덴, 노르웨이에 干涉하고 스칸디나비아에 勢力을 뻗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