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一理걸리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一理걸리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一理걸리즘 (illegalism)이란 1900年代 初期 프랑스 , 이탈리아 , 벨기에 그리고 스위스 等地를 中心으로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에서 派生된 哲學이자 戰術이다. [1] [2] 一理걸리스트들은 公公然히 라이프 스타일 로서 犯罪 를 包容했다.

登場 [ 編輯 ]

1890年代 유럽에서 라바숄 , 에밀 앙리 , 오귀스트 바이量 그리고 카세리오 같은 이들이 아나키즘의 이름으로 大膽한 犯罪를 저지르기 始作하는데 이는 以後 行爲의 프로간다 라고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時代的 背景속에서 일리걸리즘이 싹트기 始作한다.

一理걸리스트들은 막스 슈티르너의 에고이즘에 影響을 받았는데 [3] , 移轉 運動에서 이들과 類似한 戰術인 個人의 收復 이라는 理論으로 도둑질을 正當化했던 個人主義的 아나키스트인 클레망 뒤발 이나 마리우스 자코브 같은 이들과는 한가지 다른 地點이 있다. 一理걸리스트들은 自身의 行爲에서 모든 道德的 基盤을 버리고, 卽 어떠한 神聖한 이름으로 行爲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純粹한 欲望을 實現하는 行爲를 追求했다. 파리에서 이러한 環境은 알베르 리베르타드 와 그의 同僚들이 設立한 週刊誌 en:L’Anarchie 와 Causeries Populaires를 中心으로 形成(每週 수도 周邊의 여러 場所에서 定期的인 미팅이 열렸었다.) 되었다. [4]

L’Anarchie , January 3, 1907

피터 크로포트킨을 비롯한 여러 아나키스트들이 그들의 初期 疑懼心 [5] 以後 勞動組合에 들어가기로 決定한 것과 달리, 프랑스의 세바스티앙 포르 의 Le Libertaire라는 新聞을 [6] 中心으로 많은 '反생디칼리즘적 婀娜코 코뮤니스트'들이 남았다. 러시아에선 1905年 以後, 그러한 '反생디칼리즘적 婀娜코 코뮤니스트'들은 經濟的 테러리스트이자 違法的 需用者가 된다." [5] 一理걸리즘은 다음과 같은 特徵 안에서 實踐 됐다고 分析 된다. "아나키스트 爆彈魔와 아나키스트 暗殺者들( 行爲의 프로간다 ) 그리고 아나키스트 强盜들은( 個人의 收復 ) 그들의 絶望感과 견딜 수 없는 社會에 對한 反感을 暴力的으로 表現했다. 그들은 分明히 叛亂으로 招待받을 運命이었다. [7] 그러나 좀 더 덜 드라마틱하게 "當時의 時代的 背景에서 그 用語는 法에 依해 禁止된 經濟的 問題의 有用한 解決策을 의미했다. 많은 이들이 그들의 活動 資金을 充當하기 위해 强盜, 도둑질, 密輸, 그리고 僞造等을 行했다." [8]

個人에 依한 그러한 叛亂 行爲 들은 [7] 長期的으로 봤을 때 大規模 蜂起를 刺戟하여 革命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看做되었다. 이러한 戰術의 活動家와 支持者들은 代表的으로 요한 모스트 , 루이지 갈레아니 빅토르 세르주 그리고 세베리노 디 조반니 같은 이들이 있었다. "아르헨티나에서 이러한 傾向은 極甚한 抑壓이 있었으면서도 한番 强力한 勞動 運動이 움찔거렸던 1920年代 末에서 30年代 동안 蕃盛했다. 비록 絶望的이었지만, 衰落하는 運動의 英雄的인 몸부림이었다." [9]

보노갱團 의 캐리컬쳐

1911年에서 1912年 사이, 벨 에포크 時代에 프랑스와 벨기에를 中心으로 活動하던 보노 갱團 은 一理걸리즘을 包容한 가장 有名한 이들이었다. 갱團은 自身을 一理걸리스트로 規定한 이들로 構成되어 있었고, 當時 프랑스 警察조차 使用하지 못할 程度로 尖端 技術이었던, 自動車와 連發 小銃으로 武裝하고 있었다.

本來 이들은 言論에 依하여 單純히 "The Auto Bandits"라 불렸지만, 쥘 보노 가 當時 人氣있던 日刊紙인 Petit Parisien와 인터뷰를 하게 된 以後 "보노 갱團"이라 불리게 된다.

批判 [ 編輯 ]

일리걸리즘에 對한 擁護는 아나키즘 電流 內에서 엄청난 論爭을 誘發했으며, 特히 個人에 依한 叛亂 行爲보다 勞動鬪爭을 重視하는 婀娜코 생디칼리스트들 과의 많은 激論이 있었다. 또한 많은 社會主義者들은 일리걸리즘이 니힐리즘 이라고 批判했다.

한때 熱烈한 一理걸리즘의 擁護者이자, 보노 갱團을 숨겨준 罪로 逮捕되어 5年동안 收監된 적이 있었던 빅토르 세르주 는 以後 一理걸리즘 批判者가 된다. 그는 그의 自敍傳인 '한 革命家의 回顧錄(Memoirs of a Revolutionary)'에서 一理걸리즘을 "集團的 自殺行爲"라고 批判했다. [10] 비슷하게 마리우스 자코브 1948年 일리걸리즘에 對한 會議를 表明했다. [11]

影響 [ 編輯 ]

一理걸리즘은 오늘날 叛亂的 아나키즘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 으로 업데이트되었다.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要望高 라는 캠페인이 登場했는데, 여기에서는 個人의 收復 이 업데이트된 形態로서 들치기(shoplifting) [12] 을 擁護한다. 호르스트 판타치니 는 (1939 3月 4日 - 2001年 12月 24日) [13] 이탈리아系 獨逸人이자 個人主義的 아나키스트였는데, [14] 2001年 그가 죽을때까지 라이프 스타일로서 一理걸리즘을 追求했다. 그는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의 銀行 强盜 行爲로 미디어의 惡名을 얻었다. [13] 1999年 그의 삶을 다룬 Ormai e fatta! 라는 映畫가 나오기도 했다. [15]

引用文 [ 編輯 ]

革命家는 窮極的으로 一理걸리스트다. 언제나 法의 適合性에 맞춰 行動하는 者는, 기껏해야 잘 길들여진 짐승일 뿐이며 決코 革命家가 될 수 없다.

法이 곪아감에 따라 革命이 태어난다. 法을 尊重하면서 革命이 可能하다고 主張하는 것은 詐欺이자 矛盾이다. 自由를 渴望하는 이에게 法은 멍에이며, 자유롭고 싶다면 누구나 그것을 깨부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法이 우리를 强奪해간 主人들에게서 部를 되찾는 것을 禁止하며 그들을 保護할 뿐인 곳에서 法的인 手段을 통해 勞動者의 解放을 達成할 수 있다고 主張하는 者는 詐欺꾼일 뿐이다. 그들에 對한 受容은 人類의 解放을 위한 必須的인 條件이어야 한다.

그러한 目的에 있어서 法은 障壁이며, 우리는 이 障壁과 함께 解放될 수 없을 것이다. 人類가 爭取한 모든 自由는 法을 뛰어넘어 그들을 打倒한 一理걸리스트들의 作品이었다. 暴君이 칼에 찔리고, 죽어나갔다. 이는 어떠한 法律이나 合法的인 手段으로도 不可能했을 일이었을 것이다. 收容은 法에 服從하는 것이 아닌, 그것을 부수어 버릴 때만이 可能하다.

이것이 革命家이고자 한다면 一理걸리스트가 되어야 하는 理由이다. 오래된 길에서 벗어나 犯罪에 對한 새로운 길을 開拓하라.


 
— 리카르도 플로레스 마곤 [16]
이 社會에서는 警察과 그들의 보스들을 除外 한다면 모두가 潛在的 犯罪者로 看做되며, 끊임 없이 監視되고 모든 움직임이 記錄되며 統制되는 場所가 있다. 나는 勿論 監獄에 對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漸漸 더 빠른 速度로 이 描寫는 더 많은 公的인 空間에 적합하게 될것이다. 쇼핑몰과 主要 都市의 비즈니스 區域은 CCTV의 監視下에 있다. 武裝한 警備員은 學校 圖書館 病院 및 博物館을 巡察한다. 空港과 버스 停留場에서 우리는 檢索 對象이다. 警察의 헬리콥터는 都市뿐만 아니라 甚至於 犯罪를 찾기위해 숲 위를 넘어 飛行한다. 警察의 方法論인 投獄이라는 方法論은 漸次 社會 全體에 適用되고 있다.

이 過程은 公布를 통해 賦課되며 當局은 우리를 犯罪者, 테러리스트, 藥물과 暴力으로부터 保護해야 한다는 名分으로 이를 正當化한다. 그러나 두려움이 가득한 瞬間마다 우리를 威脅하는 이 怪物들인 테러리스트들과 犯罪者들은 누구인가? 暫時 신중하게 考慮하면 이 質問에 答할 수 있다. 이 世上의 統治者들의 눈에서 우리는 적어도 潛在的인 怪物이며 테러리스트이자 犯罪者이다. 結局 그들이 團束하고 監視하는 者는 우리들이다. CCTV로 監視되며 버스 停留場에서 檢索 對象이 되는 것은 바로 우리들이다. 이러한 일들에 사람들이 너무도 明確하게 눈이 멀어버린 다는 事實을 疑訝해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恐怖는 社會 規則을 만드는 役割을 하며 甚至於 우리가 懇請하게 하여 우리를 團束하게 만든다. 父母는 子女의 指紋을 FBI와 連結된 警察機關에 登錄한다. 플로리다에 所在한 Applied Digital Solutions(ADS)라는 會社는 個人의 醫療및 其他 情報를 保有한 베리칩(AKA "Digital Angel")를 만들어 皮膚 아래에 移植하려고 한다. 그들은 사람들이 ‘그들 自身의 保護’를 위해 이를 使用하길 奬勵하고 있다. 移植을 받은 사람들은 곧 GPS 네트워크에 連結되어 持續的으로 監視 될것이다. 또한 密告를 奬勵하는 數十個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當局이 찾아 나서는 것을 密告한 이에게 補償을 준다는 點에서 이는 監獄을 聯想시킨다. 勿論 다른 罪囚들은 그 쓰레기들에게 다른 態度를 取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 周邊에 建設되고 있는 監獄 社會의 風景에 對한 純全한 描寫에 不過하다. 이러한 過程에 맞서기 위해 이 狀況을 理解하고자 한다면, 좀 더 깊은 分析이 必要하다. 監獄과 團束은 犯罪가 存在한다는 아이디어에 依存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法에 依存하고 있다. 法은 國家의 市民들의 行動이 判斷될 수 있다는 客觀的인 現實로 描寫된다. 事實 法은 一種의 平等을 만들어낸다. 아나톨 프랑스는 法 앞에서 王과 거지 모두 빵을 훔쳐 다리 아래서 자는 것을 禁止 當했다고 指摘하면서 이를 逆說的으로 表現했다. 이로서 우리 모두 法 앞에 平等해 진다는 것은 分明하다. 왜냐하면 單純히 우리 모두가 個人的인 感情이나, 關係, 欲望과 必要가 없는 空虛한 무언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法의 目的은 社會를 規制하는 것이다. 社會 規制의 必要性은 그안의 모든 構成員들의 必要나 欲望을 充足 시키지 못한다는 事實을 暗示한다. 이것은 오히려 그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大部分을 속이기 위해 存在한다. 勿論 이러한 狀況은 가장 深刻한 種類의 不平等이 存在하는 곳에서만 存在할 수 있다. 自身의 條件에 따라 自身의 삶을 創造하는 手段에 對한 接近의 不平等이다. 上位 階級에게는 社會的 不平等의 狀態가 財産과 權力이라는 두 가지의 이름을 가진다. 反面 下位 階級에게 이것은 貧困과 服從이다. 法은 이 社會의 不平等을 平等으로 遁甲시켜 社會의 支配者에게 奉仕하는 거짓말이다.

모든 사람이 그들의 삶을 그들의 樣式대로 創造할 수 있도록 存在 條件에 對한 完全하고 平等한 接近이 可能한 狀況에서만 個性은 蕃盛할 수 있을 것이다. 꿈과 欲望의 廣大한 配列은 分明히 無限한 熱情, 사랑과 憎惡, 葛藤과 親和力을 만드는 自身을 表現할 것이다. 財産이나 權力이 存在하지 않는 이 平等은 個性의 무섭고 아름다운 非位階的 不平等을 表現할 것이다.

反對로, 自身의 삶을 創造하기 위한 手段에 對한 不平等이 存在하는 곳, 卽 大多數의 사람들이 自身의 삶을 抛棄한 곳, 모든 사람이 아무것도 아닌 者가 되기 때문에 모두가 平等해 지는 곳이있다. 이것은 財産과 權力을 가진 사람들에게 조차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社會에서 그들의 地位는 그들이 누구인지에 根據하지 않고, 그들이 가진것에 基盤하기 때문이다. 財産과 權力은(개인이 아닌 役割에 달려있는 것)恒常 이 社會에서 價値가 있는 것이다. 法 앞의 平等은 支配者들이 支配 하는 秩序를 保存함으로서 支配者에게 奉仕한다. 法 앞의 平等은 그것을 維持하기 위한 社會的 不平等을 숨긴다.

그러나 勿論 法은 社會秩序를 말로서 維持하지 않는다. 法의 말은 그 뒤에 物理的인 힘이 없다면 無意味하다. 그리고 그 物理的인 힘은 警察, 司法및 監獄과 같은 執行과 處罰의 시스템으로서 存在한다. 法 앞의 平等은, 우리 自身의 삶을 우리自身의 樣式대로 創造하기 위한 存在의 條件에 對한 接近의 不平等을 숨기기 위한 겉治粧이다. 現實은 이 겉治粧을 끊임없이 뚫어 내고 이 狀態는 오로지 武力과 恐怖에 依해 統制된다.

이 世界의 支配者들의 立場에서, 우리는 모두 犯罪者(적어도 潛在的으로)들이며 그들의 고요한 잠乙威脅하는 怪物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法의 베일을 넘어 法을 無視하고 우리의 삶을 되찾을 수 있는 潛在的인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法 그自體는(그리고 그것을 必要로 하는 財産과 權力의 社會的 秩序)는 우리를 犯罪化함으로써 우리를 平等하게 만든다. 따라서 投獄과 團束을 惹起하는 法과 社會의 秩序가 全世界의 슈퍼마켓의 開發과 함께 普遍的인 것이 된것은 이것의 論理的인 歸結이다.

이 點에서 法을 좀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은 無意味하다는 것을 分明히 해야 한다. 警察을 監視하는 것은 아무 쓸모가 없다. 모든 改革은 必然的으로 시스템에 統合될 것이고 法律의 數를 늘리고 監視와 團束의 水準을 올림으로서 社會를 더욱 監獄처럼 만들 것이기 때문에 이를 改革하려는 試圖는 無意味하다. 우리가 우리 自身의 삶을 살도록 이 狀況에 應答할 수 있는 唯一한 方法이 있다. 그것을 破壞하기 위해 이 社會를 攻擊하는 것이다.

 
— Wolfi Landstreicher. Why Do We All Live in Prison? Prison, Law and Social Control [17]
經濟는(삶에 對한 生存의 支配) 다른 모든 種類의 支配를 維持하기 위한 本質的인 要素다. 稀少의 威脅이 없이는 사람들을 勞動과 保守라는 日常에 服從 시키기 어려워 질것이다. 우린 經濟化된 世界에 태어났다. 財産의 社會的 制度는 稀少性을 每日의 威脅으로 만들었다…...

自身의 삶을 自身의 것으로 創造하고자 하는 우리 같은 이들에게 있어서, 社會를 維持하기 위한 本質的인 要素인 이 支配는, 우리가 攻擊해서 破壞해야할 敵이다. 이런 理解를 바탕으로 도둑질과 스콰팅 은 叛亂的 삶의 프로젝트의 一部로서 重要한 役割을 맡을 수 있다. 福祉 詐欺, 慈善 團體의 給食, 쓰레기 뒤지기, 求乞等은 누군가 正規的인 일을 求하지 않고 살아가게 해줄지는 몰라도, 經濟를 攻擊하지 않으며 그 안에서 作動한다. 도둑질과 스콰팅 또한 種種 그저 生存의 戰略일 수가 있다. “집의 權利”를 要求하거나 그들의 스쾃을 合法化 하길 願하는 스콰터들, 그리고 오직 無意味한 商品의 蓄積을 위해 다른 勞動者들처럼 “職業”으로서 活動하는 도둑들은 經濟를 破壞하는 것에 關心이 없다… 그들은 但只 이 富의 공정한 몫을 要求할 뿐이다. 그러나 叛亂的 삶의 一部로서 스쾃과 도둑질을 包容하고 이로써 經濟論理에 反抗하는 이들이 있다. 이 論理에 依해 强要된 稀少性을 받아들이기를 拒否하고, 그들이 만들지 않은 世界에 服從하길 拒否하며, 그러한 叛亂軍들은 機會가 있을 때마다 許可를 求하지 않고서 그들이 欲望하는 것을 取한다. 이렇게 社會의 經濟的 規則에 거역함으로써 그는 그 自身의 풍요로운 世界를 되찾는다. 그리고 이것은 叛亂의 行爲 다. 社會的 統制를 維持하기 위해서, 個人의 삶은 盜難되어야 한다. 그들의 空間에서 우리는 勞動과 保守라는 지루한 存在로서 經濟的 生存에 시달린다. 우린 우리의 삶을 되살 수 없으며, 되돌려 달라고 求乞할 수도 없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다시 훔쳐 낼 때만이 우리의 것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許可를 求하지 않고 우리가 願하는 것을 取하는 것을 意味한다.

 
— Wolfi Landstreicher. STEAL BACK YOUR LIFE(네 삶을 다시 훔쳐) [18]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우리가 이 社會의 野蠻的인 軍隊의 先鋒임을 마침내 이해시키도록 하자. 우리는 法과 統制를 벗어나, 美德과 道德, 勤勉에 對한 尊重心을 갖지 않는다. 이것들은 우리를 抑壓하고, 迫害하고, 追跡할 뿐이다. 反逆者는 슬픈 對案에 앞에 끊임없이 自身을 돌아본다. 社會에 服從하며 우리의 意志를 除去하고 착취당하는 悲慘한 무리로 돌아가거나, 社會라는 怪物 全體에 對抗한 戰鬪를 받아들이자.

우린 戰鬪를 選好한다. 敵들의 陣營에서 包圍되어 괴롭힘을 當하고 있는 우리에게 모든 武裝은 좋다. 보스와 判事들 軍人과 警察들은 모두 우리를 除去하기 위해 團結했다. 우리는 그들의 規範과 道德과 偏見에 對한 깊은 蔑視와 함께 自身을 防禦한다.

우리에게 勞動을 解放할 權利를 拒否함으로써, 社會는 우리에게 훔쳐낼 權利를 주었다. 부르주아들이 世上의 모든 富를 所有함으로써, 그들은 우리에게 우리의 必要를 충족시키기 위해 必要한 것들을 되찾을 權利를 주었다. 反權威主義者로서, 우리는 누구도 抑壓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抑壓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불타는 決意를 가지고 있다. 現在의 社會는 最惡의 不條理한 利己主義와 不當함과 抑壓에 기초하여 우리에게 이를 否認한다. 굶주림으로 죽지 않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手段에 依存해야 한다. 우리를 意氣銷沈하게 만들고 茫然自失하게 하는 賃金 勞動者의 位置를 받아 들이거나, 그렇지 않다면 法의 가장자리라는 手段을 통해 수렁에서 우리 自身을 救援하고 훔쳐내는 危險한 犯罪的 存在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存在를 빼앗기 위해서 勞動(作業場의 奴隸制에 對한 우리 自身의 屈服)은 도둑질 만큼 便利한 手段이라는 것을! 우리가 싸움에서 豐足하고 廣大한 삶을 征服하지 못했다면, 우리가 依支하도록 强要하는 다양한 社會組織的 手段은 最後의 手段에 지나지 않다. 그러니 우리의 氣質과 狀況에 맞춰 우린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選擇한다.

너의 規範과 法律, 너의 "근면함"이 우리를 얼마나 비웃게 하는지 알지 못하리라!

그리고 이것이 성난 부르주아지와 判事와 근면한 짐승들과 煽動的 저널리즘에 直面하여 "런던의 盜賊들은 우리의 同志다!"라고 宣言하는 理由다.

그들은 또한 우리가 자랑스러워할만한 高貴한 盜賊이다. 우린 그들을 위해 遺憾의 말과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다. 아니! 그들의 죽음은 우리에게 模範이 될 것이며, 崇高한 러시아 同志들의 座右銘과 함께 우리의 記憶에 새겨질 것이다. "아나키스트는 決코 降伏하지 않는다!"

아나키스트는 降伏하지 않는다! 群衆의 외침이나 裁判하는 者들의 非難, 警察의 銃알조차도 이를 이루어 내지 못한다! 아나키스트는 降伏하지 않는다!

 
— 빅토르 세르주, Anarchists ? Bandits [19]
犯罪에서 只今껏 에고이스트는 自身을 主張하며 神聖을 嘲弄했다. 新星의 破壞는 一般的인 것이 될 수 있다. 革命은 決코 報答하지 않는다. 그러나 巨大하고 無謀하고 부끄럼 없으며 呵責 없이 矜持 높은 犯罪가 저 너머에서 천둥소리를 내며 다가오는 것이 들리지 않는가? 하늘이 不吉하게 조용해지며 어둑해지는 것이 보이지 않는가?
 
막스 슈티르너 , "The Unique and Its Property" p. 253 [20]
個人의 自由는 그의 힘이 끝나는 곳에서 끝난다.

萬一 내가 願하고, 나의 힘이 許諾한다면, 나는 他人에게 命令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이 힘을 認定하고 尊重할 義務가 없기 때문에, 이들에 行使된 힘은 權威가 아니다. 萬一 自身을 支配하려는 試圖를 妨害하기 위해 叛亂을 일으키고 그들의 힘을 使用한다면, 그들 위에 君臨할 누구도 없이 그들은 자유로울 것이다(아나키).

그러나 反對로, 溫順한 者들과 怯쟁이들이 叛亂을 일으키지 않은 채, 그들이 支配받게 내버려 둔다면, 우리는 生物學的 意味에서의 最高의 勝利를 보게 될 것이다(천부적 貴族制, Natural aristocracy).

權威는 그것이 假裝하는 神聖한 이름(新, 道德, 社會 等)으로 行해지는 權力이다. 이 權力은 사람이 이를 打倒할 힘과 活力을 所有하고 있더라도 崇拜하고 奉仕해야 한다.

이 權威를 破壞하기 위해서는 슈티르너가 말한 犯罪를 저지름으로써 神聖을 打倒해야 한다. 오직 이를 통해서만 우린 아나키스트일 수 있을 것이다.

 
— Enzo Martucci, a note on authority [21]
아나키스트로서 暴力的인 受容의 行爲를 擁護하는 두 番째 理由는 이것이 英雄的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絶望的인 “ 프롤레타리아 ” 階級에 屬해 있으면서도, 活力이 넘치는 大膽한 少數에 依해서만 使用될 수 있는 힘과 解放의 武器로서 도둑질을 包容하는 英雄的인 理由이다. 激烈하고 활기찬 天性을 지니고 자유로운 精神과 獨立心이 充滿하며, 道德的, 人間的, 社會的이거나 知的인 모든 種類의 奴隸制의 足鎖에 束縛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고, 가장 수치스러우며 苦行的이고 侮蔑的인 奴隸制人 經濟的 奴隸制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그의 핏줄 속에서 躍動하는 活力과 獅子 같은 勇猛함을 억누를 수 없을 때, 마음에서 數千 番의 悲劇的인 천둥이 번쩍일 때, 精神에서 억누를 수 없는 끝없는 再開의 불꽃이 타오를 때, 想像의 領域에서 數千의 未知의 世界가 번뜩일 때, 滿足하지 못하는 數千 個의 欲望이 心臟과 肉身에서 戰慄하며 고동칠 때, 모든 人間의 거짓말과 社會의 慣習을 불태우고 破壞하는 英雄的인 思考가 頭腦에서 번쩍일 때, 그 活氣가 넘치는 大膽한 少數는 힘과 解放의 武器로서 도둑질을 包容한다.

 
렌조 노바토레 ,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 [22]

보노 갱團의 事件은 몇몇의 例外를 除外 하고는 當代의 많은 아나키스트들을 唐慌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라이오넬은(일리걸리즘의 擁護者인) 이 論爭의 根本으로 돌아가 個人을 희생시켜서 集團的 正體性을 優位에 두는 많은 아나키스트들에게 되물었다.

아나키스트는 社會에 對抗한 正當한 防禦를 할 수 있는 狀態에 있다. 태어나는 瞬間 그는 그의 일이 아니며, 그의 存在 以前에 만들어졌고, 그를 거치지 않았으며 그에게 敵對하는 法의 무게에 짓눌린다. 資本은 그에게 두 가지 選擇을 强制한다. 그것의 奴隸가 되거나, 反逆者가 되거나. 이 絶望的인 選擇肢를 마주하고 그는 貧困과 剝奪에 시달리면서 結核에 걸려서 천천히 죽어가는 것 代身에, 그의 敵과 맞서다 자랑스럽게 죽기 위해 反逆者가 되길 擇한 것이다. 當身은 그런 選擇을 敢行한 者를 敢히 否認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當身이 說敎하는 革命은 集團的 叛亂이자 集團的 犯罪가 아닌가? 그리고 當身은 그 犯罪를 너무도 많은 훌륭한 理論을 통하여 正當化하지만, 어째서 그 犯罪를 個人이 行하는 것을 拒否하는가?

萬一 勞動者들이 그들의 勞動이 도둑질 當함으로써 얻어진 部를 武力을 통해서라도 되찾을 權利가 있다면, 그리고 그것을 犯罪를 통해서라도 擁護할 權利가 있다면, 但只 勞動者로 規定되길 願하지 않는 외딴 個人에게도 同一한 權利가 있다.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 [23]

集團的 正體性의 優位를 否定하는 것, 이것이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이 다른 아나키즘에서 分離되는 地點이었다. 이것은 수많은 道德과 理論에 對한 疑問을 提起하게 했다. 例를 들어 "殺人하지 말지어다"라는 道德的 誡命은 아나키즘과 資本主義 모두에게서 理論的으로 秋陽 받는다. 그러나 社會는 一般的으로 殺人에 反對하는듯하지만 殺人에 對한 四兄弟가 存在하며, 國家의 代理人들이 특정한 狀況에서 殺人을 하도록 許可한다. 그리고 勞動階級에게 强制되는 抑壓的인 社會的 條件을 통해 社會的으로 組織化된 殺人이 恣行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集團性의 이름, 社會라는 이름으로 恣行된 일이었다. 同時에 아나키스트들은 一般的으로 殺人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특정한 狀況(獨裁者나, 民衆을 抑壓하는 國家의 代理者 等에 對한 暗殺)이나 革命의 狀況에서 支配階級을 守護하는 이들에 對한 殺人을 저지르는 것은 옳다고 主張한다. 말하자면 아나키스트든 資本主義者든 大部分의 人間 그 車體든 間에 殺人하지 말지어다라는 誡命은 集團的 正體性(大衆을 代身하거나 或은 社會를 保護하기 위해)을 優位로 두는 한 어떠한 道德的 絶對聖徒 가지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슈티르너의 社會는 基本的으로 組織化된 暴力이며 個人이 이에 맞서는 것에는 어떠한 反對도 없어야 한다는 主張이 呼訴力을 갖는 理由였다. 萬一 政治가 다른 手段에 依해 延長되는 戰爭(클라우제비츠의 金言을 뒤집어서)이라면 보노 갱團은 殘忍하지만 罪囚로서의 態度를 버리고 單純히 階級 戰爭의 基本으로 돌아간 것이었다. [24]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he illegalisis in this study,...As anarchist individualists, they came from a milieu whose most important theoretical inspiration was unduubtedly Max Stimer ? whose work The Ego and Its Own remains the most powerful negation of the State, and affirniation of the individual, to date."?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 1987, p. 5.
  2. "Parallel to the social, collectivist anarchist current there was an individualist one whose partisans emphasized their individual freedom and advised other individuals to do the same...Some individualists rebelled by withdrawing from the economy and forming voluntary associations to achieve self-sufficiency. Others took the route of illegalism, attacking the economy through the direct individual reappropriation of wealth. Thus theft, counterfeiting, swindling and robbery became a way of life for hundreds of individualists, as it was already for countless thousands of proletarians.?"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 Fall-Winter, 1994?95)
  3. "a new generation of anarchists, spurred on by the individualist' ideas of Max Stirner, were to take as their point of departure exactly what Jean Grave objected to, that the rebel who secretly stole was no more than an ordinary thief. The developing theory of 'illegalism^ had no moral basis> recognizing only the reality of might in place of a theory of 'right'. Illegal acts were to be done simply to satisfy one's desires, not for the greater glory of some external 'ideal'. The illegalists were to make a theory of theft without the embarrassment of theoretical justifications."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 1987.
  4.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 1987. p. 5.
  5. "This inability to break definitively with collectivism in all its forms also exhibited itself over the question of the workers’ movement, which divided anarchist-communism into a number of tendencies." "Anarchist-Communism" by Alain Pengam Archived 2009年 3月 12日 - 웨이백 머신
  6. 英語로 飜譯하면 自由至上主義者를 뜻하는 libertarian이라는 單語가 되는데 프랑스 政府가 아나키스트라는 用語를 禁止 시켰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아나키스트라는 單語와 廣範하게 同義語로 使用되었다. Anarchist FAQ, A.1.3 Why is anarchism also called libertarian socialism? Archived 2017年 4月 1日 - 웨이백 머신
  7. " 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 2015年 9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9月 20日에 確認함 .  
  8. "Beyond the Law" by Penelope Nin on Various Authors Articles from “Canenero”
  9. Collin Sick. “Notes on the article “Anarchism, Insurrections and Insurrectionalism”” . 2012年 9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10. Memoirs of a Revolutionary , by Victor Serge
  11. The "Illegalists" Archived 2015年 9月 8日 - 웨이백 머신 , by Doug Imrie (published by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
  12. 가게의 物件을 몰래 훔치는 것
  13. " Horst Biography " . 2012年 3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9月 26日에 確認함 .  
  14. "He always considered himself an individualist anarchist." "Horst Biography" Archived 2012年 3月 1日 - 웨이백 머신
  15. "Ormai e fatta!" (1999) at the IMDB
  16. The revolutionary is the ultimate illegalist. The person whose actions always conform to the law will be, in the best of circumstances, a well-domesticated beast, never a revolutionary. Law conserves; revolution regenerates. If one wants change, it is thus necessary to start by breaking the law. To claim that revolution can be made while respecting the law is an aberration, a contradiction. The law is a yoke and anyone who wants to be free has to break it. Anyone who deceives the workers with the emancipation of the proletariat through legal means is a swindler, since the law forbids snatching wealth from the hands of the masters that robbed us. Their expropriation to the benefit of all i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the emancipation of humanity. The law is a brake and we don’t free ourselves with brakes. Every freedom that humanity has conquered has been the work of illegalists who have mastered laws in order to smash them to bits. Tyrants die, stabbed, and no article of the legal code could have gotten rid of them. Expropriation can only come about by breaking the law, certainly not by submitting to it. This is the real reason why if we want to be revolutionaries, we have to be illegalists. It is necessary to get off the beaten paths and open new paths to transgression. Articles from “Machete” #1
  17. The Network of Domination
  18. Willful Disobedience - Wolfi Landstreicher
  19.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le-retif-anarchists-bandits
  20. “保管된 寫本” . 2018年 2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3月 28日에 確認함 .  
  21. Enemies of Society: An Anthology of Individualist & Egoist Thought
  22.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
  23.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24.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

더 읽을거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