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부여융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부여융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부여융(扶餘隆)
百濟 王太子
在位 644年 ~ ?
後任 扶餘孝
百濟軍공
在位 664年 ~ 677年?
後任 (帶方郡王으로 昇格)
帶方郡王
在位 677年 ~ 682年
身上情報
出生日 615年
出生地 泗沘城
死亡日 682年
國籍 百濟 唐나라
家門 부여氏
子女 扶餘文選 , 扶餘덕장
墓所 洛陽 北邙山
扶餘 능산리 古墳群
徐薰 光祿大夫(문산館)
輔國大將軍(霧散館 追贈)

부여융 (扶餘隆, 615年 ~ 682年 )은 百濟 의 王族이자 唐나라 將軍이다. 는 융(隆)이다. (崇)이라고도 한다. [1] 백제 滅亡 後 唐나라 에 歸順하여 百濟 復興運動 討伐에 協助하고 唐나라의 百濟軍공 熊津都督으로 赴任하여 백제 流民들을 掠奪하였다. 唐나라에서 光祿大夫 태上院畏敬 兼 熊津都督 帶方郡王까지 任命됐으나, 黨의 熊津都督府 新羅 에 依해 韓半島에서 逐出되어 搖動으로 移住했다. 부여융이 마지막 太子인지에 關해서는 學說 對立이 있다.

生涯 [ 編輯 ]

王子 時節 [ 編輯 ]

의자왕 (義慈王)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조용했으며 (善)과 (義)를 따랐다. [2] 637年 ( 武王 38年) 唐 太宗 에게 朝貢 使臣으로 다녀왔다. [3] 644年 (義慈王 4年) 太子에 冊封되었으나 義慈王 末年에 扶餘孝 로 交替되었다. 660年 陰曆 7月 聯合軍이 몰려와서 首都 泗沘城이 包圍되자 王과 太子 孝는 熊津城 으로 待避하였다. 이 틈을 타 義慈王의 次男 부여태 가 외람히 王을 稱하자 義慈王의 嫡孫 부여문사 와 함께 城을 나가 降伏하였다. 中國 記錄에서는 義慈王과 같이 熊津城으로 待避한 太子를 한결같이 융이라고 하여 [4] 무엇이 맞는지 明確히 알 수 없다. 이때 김법민 (後날 문무왕 )에게 얼굴에 침을 맞으며 엎드리는 屈辱을 當했는데, 642年 대야성 戰鬪 에서 法民意 누이 고타소랑 이 죽은 탓이었다. [5] 熊津城으로 逃走한 의자왕 一行도 예군(?軍)과 禮式 (?植) 兄弟의 背反으로 잡혀오면서 [6] 百濟 는 敗亡했다. 陰曆 9月 蘇定方 이 歸國하며 義慈王과 부여융을 包含한 王族, 代身, 住民 1萬餘 名도 뤄양 [7] 으로 押送했다. 高宗 은 부여융에게는 司農卿 [8] 을 除授하였다.

百濟 復興運動 討伐 [ 編輯 ]

百濟는 滅亡했으나 復興 運動으로 인해 熊津都督府 가 孤立되면서 662年 ( 鎔鑠 2年) 黨 朝廷에서는 熊進 都督 類人猿 에게 撤收 命令을 내렸다. 그러나 劉仁軌 는 이곳을 지켜야 高句麗 도 무너트릴 수 있다며 强力히 反對했고 오히려 增援軍을 要請했다. [9] 이에 663年 손人事(孫仁師)와 부여융이 7,000名을 이끌고 派遣되었다. [10] 6月(陰曆) [11] 名匠 福信 부여풍 에게 처형당하는 等 復興軍의 內部 分裂을 捕捉한 羅唐聯合軍은 그들의 本據地인 走流性 을 職工하기로 하였다. 類人猿, 손人事, 文武王은 陸軍을 統率하고 劉仁軌, 頭狀(杜爽), 扶餘융은 水軍과 軍糧船을 引率下였다. 8月(陰曆) 白江 戰鬪 에서 倭船 400隻을 불사르는 大勝을 거두고 主流聖徒 陷落시킴으로써 百濟 復興軍을 完全히 討伐하였다. [12]

熊津都督 隨行 [ 編輯 ]

664年 ( 인덕 元年) 勅使 類人猿의 主宰로 新羅의 김인문 · 김천존 과 和親을 盟約했다. [13] 10月(陰曆) 대방주 自社 (帶方州―) 兼 檢校熊津都督 劉仁軌가 票를 올려 비로소 熊津都督이 되었고 [14] 以內 百濟軍功에 封해지고 熊進都摠管 兼 馬韓도안무臺詞(馬韓道安撫大使)에 任命되어 遺民들을 統治하였다. [2] 665年 類人猿이 다시 勅使로 와서 新羅 문무왕 과 취리산(就利山) 會盟을 周旋하니 드디어 옛 땅 一部에 對한 支配를 龍仁받고 [15] 1都督府 7 51 을 劃定하였다. [16] 直後에 劉仁軌와 함께 唐나라로 건너가서 666年 ( 件棒 元年) 高宗의 봉선(封禪)에도 參與하였다.

惡化되던 羅唐關係가 高句麗 滅亡 後 表面化되면서 熊津都督府와 新羅는 戰鬪를 벌였고 結局 672年 ( 函形 3年)에 熊津都督府는 新羅에 依해 逐出되었다. [17] 熊津都督府는 676年 ( 上院 3年) 高句麗의 城이었던 建安城 (建安城)에 재설치되어 西周(徐州)와 連奏(?州) 等에 있던 百濟 流民들도 옮겨갔다. [18] 677年 ( 蟻封 2年) 羅唐戰爭 에서 唐나라가 完敗하여 唐나라 장수였던 扶餘융은 다시는 韓半島에 돌아오지 못했다. 代身 光祿大夫(光綠大夫) 태上院畏敬(太常員外卿) 四肢節(使持節) 熊津都督 帶方郡王을 任命받아 搖動 에서 百濟 流民들을 抑壓했다. [19] 682年 ( 영순 元年) 68歲의 나이에 뤄양에서 兵士海 北邙山 에 묻혔고 輔國大將軍(輔國大將軍)을 追贈받았다. [2]

事後 [ 編輯 ]

地位는 孫子 부여경 이 물려받았다. 1920年 뤄양에서 〈부여융墓誌銘〉을 發見하여 現在 中國 河南省 博物館에서 所藏하고 있다. 이 因緣으로 뤄양市 扶餘郡 은 姊妹結緣을 맺고 義慈王의 墓 搜索 作業을 벌였다. 그러나 끝내 찾지 못하고 그 흙만 가져와서 扶餘 능산리 古墳群 에 義慈王과 함께 家廟(假墓)를 造成하였다.

迷宮의 마지막 太子 [ 編輯 ]

中國의 記錄은 一貫되게 부여융이 太子이며 맏아들이라고 했으나 《 三國史記 》에서는 扶餘孝 가 太子이며 맏아들이라고 하여 서로 相反된다. 그래서 크게 3가지 說이 對立하고 있다.

융이 太子이며 맏아들설 [ 編輯 ]

中國의 各種 記錄과 《 三國遺事 [20] 를 優先한 說이다. 무엇보다 〈 대당평백제국非 〉와 〈 黨類人猿記功碑 〉가 當代의 記錄이기 때문에 信賴性이 높다. 勿論 勝者의 記錄이기는 하지만 《三國史記》 亦是 勝者의 記錄을 基盤으로 했을 뿐더러 時期는 오히려 12世紀 로 늦다. 그러므로 《三國史記》가 誤謬라고 한다. 부여융이 615年生이라는 點도 强點이다. 整理하면 융이 644年 太子에 冊封된 以來 그 자리는 바뀌지 않았다고 한다. [21] [22]

孝가 太子이며 맏아들설 [ 編輯 ]

《三國史記》를 優先한 說이다. 《三國史記》가 新羅 紗를 除外하고는 相當數 中國의 記錄을 原典으로 했음에도 굳이 太子를 융에서 孝로 고치고 부여문사 가 泗沘城에서 얘기하는 相對도 부여융으로 設定했다. 융의 降伏 時期도 의자왕보다 앞서며 〈김인문展〉에서도 太子를 孝라 하는 [23] 等의 꼼꼼함이 보인다. 中國의 記錄은 太子가 누구인지 잘 몰랐거나 孝를 太子로 認定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융의 太子 冊封 記事에 對한 說明은 다시 두 가지 설로 나뉜다.

  1. 융의 太子 冊封 記事는 孝의 오기로 처음부터 끝까지 孝가 太子였다. [24]
  2. 644年 융이 太子로 冊封되기는 하였으나 義慈王 末年에 政局 變動이 일어나 孝로 交替되었다. [25]

孝가 太子이며 三南 이하설 [ 編輯 ]

效勞의 太子 交替說을 基本으로 하면서도 융 太子說과 一部 符合하는 面이 있다. 卽 융이 첫째였기에 644年 太子로 冊封됐지만 義慈王 末年에 孝로 交替되었다고 한다. [26]

評價 [ 編輯 ]

唐나라 장수로서 백제의 遺民들을 統治하고 百濟 復興運動을 討伐했기 때문에 백제 義慈王의 아들이었던 扶餘융은 否定的으로 評價된다. 飼料를 檢討했을 때, 부여융에 맞서 復興運動에 參與한 者들은 共通的으로 過去 부여융과 다툼이 있었거나 [22] 熊津都督府를 黨의 支配機構로 認識했던 것으로 보인다. [27] 그러나 한便에서는 부여융이 團地 唐나라의 支配政策을 遂行했을 뿐 惡意는 없었을 것이라는 視角도 있다. [28]

家計 [ 編輯 ]

  • 祖父 : 武王 (武王, ? ~641, 在位:600~ 641)
  • 조某 : 未詳
  • 父王 : 의자왕 (義慈王, 599年~660, 在位:641~660)
  • 母后 : 恩顧 (恩古) [29]
    • 王子 : 부여융(扶餘隆) - 義慈王의 三南日 수도 있다.
      • 長男 : 부여문사 - 義慈王의 맏孫子는 明確한데 아버지가 융인지 孝인지 紛紛하다.
        • 孫子 : 부여경 - 융(隆)의 맏孫子는 確實한데 아버지가 模糊하다.
      • 次男 : 扶餘덕장 - 융(隆)의 次男 以下는 분명한데 앞뒤로 兄弟가 더 있을 수도 있다.
    • 동생  : 부여태 - 義慈王의 次男이 確實하며 나머지 兄弟들의 順序는 正確히 알 수 없다.
    • 동생 : 扶餘孝
    • 동생 : 부여연
    • 동생 : 부여풍 - 武王의 아들일 수도 있다.
    • 동생 : 부여용
    • 동생 : 扶餘충승(扶餘忠勝)
    • 동생 : 扶餘충지
  • 關係를 알 수 없는 王族 : 扶餘文選(扶餘文宣) [30]

부여융이 登場한 作品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堂會요 》, 《 統戰 》(通典). 黨 顯宗 의 이름인 이융기(李隆基)를 피휘
  2. 〈부여융墓誌銘〉
  3. 舊唐書 》3卷 本紀 第3 太宗 李世民下 定款 11年. “百濟王遣其太子隆來朝” 다만 이 해에 太子는 椅子이기 때문에 그 傲氣로 보기도 한다.
  4. 〈대당평백제국非〉 , 〈黨類人猿記功碑〉 , 《舊唐書》, 《 新唐書 》, 《 資治通鑑 》 等
  5. 三國史記 》5卷 新羅本紀 第5 태종무열왕 7年
  6. 권덕영, 〈백제 流民 예씨일족 墓誌銘에 對한 斷想〉, 《史學硏究》no.105, 韓國史學會, 2012
  7. 《新唐書》111卷 列傳 第36 蘇定方
  8. 司農寺(司農寺)의 長官. 《舊唐書》〈백제전〉, 《新唐書》〈백제전〉, 《三國史記》에는 司農卿이 아니라 賜暇頃(司稼卿)이라고 되어 있는데, 司農寺가 662年 四家詩로 改稱했었기 때문이다. 函形 年間( 670年 - 674年 )에 다시 司農寺로 바뀌었다. 《舊唐書》44卷 지 제24 直觀3 司農寺
  9. 《新唐書》108卷 列傳 第33 劉仁軌
  10. 《三國史記》6卷 新羅本紀 第6 문무왕 3年 記事에는 40萬 名이라고 되어 었으나 《舊唐書》〈백제전〉, 《新唐書》〈백제전〉, 《三國史記》〈백제본기6〉을 따른다.
  11. 日本書紀 》27卷 天地天皇 2年
  12. 《舊唐書》84卷 列傳 第34 劉仁軌
  13. 《三國史記》6卷 新羅本紀 第6 문무왕 4年
  14. 《資治通鑑》201卷 當期 第17 高宗 인덕 元年. 《資治通鑑》에는 熊進 都尉 (都尉)라고 하였으나 都督의 傲氣이다. 《舊唐書》劉仁軌前科 《新唐書》劉仁軌前에는 都督이라고 하였다.
  15. 《三國史記》6卷 新羅本紀 第6 문무왕 5年
  16. 《三國史記》37卷 雜誌 第6 지리4 百濟
  17. 《三國史記》36卷 雜誌 第5 지리3 新羅. 或은 泗沘城을 陷落시키고 소부리주(所夫里州)를 設置했다는 671年 이라고도 한다. 《三國史記》7卷 新羅本紀 第7 文武王 11年
  18. 《資治通鑑》202卷 當期18 高宗 蟻封 元年
  19. 《舊唐書》199卷上 列傳 第149上 百濟
  20. 《三國遺事》1卷 第1기이 太宗春秋공
  21. 陽起石, 〈백제 부여융 墓誌銘에 對한 檢討〉, 《국사관論叢》62輯, 國史編纂委員會, 1995. 김영관, 〈대당평백제국비명에 對한 考察〉, 《歷史와 談論》vol.66, 湖西史學會, 2013
  22. 양종국, 〈의자왕 後裔들의 過去와 現在〉, 《백제文化》vol.33, 公州大 百濟文化硏究所, 2004
  23. 《三國史記》44卷 列傳 第4 김인문
  24. 이기백 , 〈百濟王位繼承고〉, 《歷史學報》vol.11, 歷史學會, 1959. 문안식, 〈義慈王의 親衛政變과 國政刷新〉, 《동국사學》vol.47, 동국사學會, 2009
  25. 長引聲, 〈해동증자 백제 義慈王〉, 《韓國人物史硏究》vol.4, 韓國人物史硏究所, 2005. 김병곤, 〈百濟의 太子 冊封第 受容 過程 古刹〉, 《東아시아古代學》vol.24, 東아시아古代學會, 2011
  26. 이도학, 〈백제 義慈王代의 政治 變動에 對한 檢討〉, 《백제文化》vol.33, 公州大 百濟文化硏究所, 2004
  27. 김수미, 〈黨과 百濟 流民의 熊津都督府 認識의 變化〉, 《韓國民族文化》vol.42, 釜山大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2
  28. 國史編纂委員會 , 《新編韓國史》, 2002. 김수미, 〈부여융 都督 體制 熊津都督府의 統治構造〉, 《歷史學硏究》vol.32, 湖南史學會, 2008
  29. 《日本書紀》26卷 除名天皇 6年 記事에 “百濟王義慈 其妻恩古 其子隆等...”이란 句節이 있는데 융이 恩顧의 아들인지는 確實하지 않다.
  30. 文士의 동생으로 보는 說이 있으나 이름이 비슷하다는 것 말고는 根據가 없다. 김영관, 〈백제국 의자왕 回孫女 태비 부여氏 墓地〉, 《百濟學報》no.1, 百濟學會, 2010
前 代
作爲 新設
大房 君王
677年 - 682年
後 臺
廢止
前 代
劉仁軌
熊津都督府 都督
664年 - 677年
後 臺
職位 廢止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