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플랑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막스 카를 플랑크
王立學會 外國人 會員
플랑크 (1930년)
플랑크 (1930年)
出生 1858年 4月 23日 ( 1858-04-23 )
獨逸 聯邦 홀슈타인 公國
死亡 1947年 10月 4日 ( 1947-10-04 ) (89歲)
聯合軍 占領下 獨逸 鼻祖네 니더작센주
괴팅겐
敎育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大學校 (博士, 1879)
主要 業績 全體 目錄 參照
配偶者 마리 머르크 (結婚 1887; 死亡 1909)

마르가 폰 膾슬린 (結婚 1911)

子女 5
受賞 노벨 物理學賞 (1918)

美國 國立 科學院 外國人 會員 (1926)
코플리 메달 (1929)
막스 플랑크 메달 (1929)
괴테 上 (1945)

科學的 經歷
分野 物理學
所屬 킬 大學校
괴팅겐 大學校
카이저 빌헬름 協會
學位 論文 機械的 열理論의 第2原理에 對하여(Uber den zweiten Hauptsatz der mechanischen Warmetheorie) (1879)
博士 敎授 알렉산더 폰 브릴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헤르만 폰 헬름홀츠
博士 學生 에리히 크레치만
구스타프 헤르츠
율리우스 에드거 릴리엔펠트
막스 아브라함
막스 폰 라우에
모리츠 슐리크
월터 H. 쇼트키
발터 보테
발터 마이스너
리처드 베커
有名한 學生 볼프강 쾰러
裏題 마이트너
서 名

막스 카를 에른스트 루트비히 플랑크 王立學會 外國人 會員 [1] ( 獨逸語 :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 [maks karl ??nst ?luːtv?c ?plaŋk] ; [2] 英語 發音: /pl?ŋk/ , [3] 1858年 4月 23日 - 1947年 10月 4日)는 獨逸 理論物理學者 에너지 量子 의 發見으로 1918年 노벨 物理學賞 을 受賞한 科學者이다. [4]

플랑크는 理論 物理學에 相當히 많은 寄與를 했지만 物理學者로서의 名聲은 主로 兩者 理論 의 創始者로서의 役割에 있다. [5] 이는 原子 및 아원자 過程에 對한 人間의 理解에 革命을 일으켰다. 1948年 獨逸의 科學 機關인 카이저 빌헬름 協會 (플랑크가 두 番 會長을 歷任함)는 막스 플랑크 協會 (MPG)로 이름이 變更되었다. 이 協會에는 現在 廣範圍한 科學的 動向을 나타내는 83個의 機關이 包含되어 있다.

生涯와 經歷 [ 編輯 ]

플랑크는 傳統的이고 知的인 家族 出身이다. 그의 父系 曾祖父와 할아버지는 모두 괴팅겐 의 神學 敎授였다. 그의 아버지는 킬 大學校 뮌헨 大學校의 法學 敎授였다. 그의 三寸 中 한 名은 判事였다. [6]

막스 플랑크의 10살때 署名

플랑크는 1858年 홀슈타인 에서 요한 율리우스 빌헬름 플랑크 Johann Julius Wilhelm Planck 와 그의 두 番째 夫人 엠마 破치히 Emma Patzig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카를 에른스트 루트비히 마르크스 플랑크 Karl Ernst Ludwig Marx Planck 라는 이름으로 洗禮를 받았다. 그의 이름 中 마르크스 Marx (只今은 使用되지 않는 마르쿠스 Markus 의 變形이거나 實際로 막시밀리안 Maximilian 의 略字인 막스 Max 의 誤謬일 수 있음)는 "名稱 이름(appellation name)"으로 標示되었다. [7] 그러나 10살이 되었을 때 그는 막스 Max 라는 이름으로 署名하고 그後 이것을 平生동안 使用했다. [8]

그의 兄弟 中 두 名이 아버지의 첫 番째 結婚에서 태어났지만 그는 家族의 6番째였다. 戰爭은 플랑크의 初期 몇 年 동안 一般的이었고 그의 가장 初期 記憶 中 하나는 1864年 第2次 슐레스비히 戰爭 동안 킬로의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軍隊의 行軍이었다. [6] 1867年 家族은 뮌헨 으로 移徙했고 플랑크는 막시밀리안 김나지움(Maximilians gymnasium)에 登錄했고 그곳에서 그는 젊은이들에게 關心을 가진 數學者 헤르만 뮐러 Hermann Muller 는 그에게 數學뿐만 아니라 天文學 力學 을 가르쳤다. 플랑크가 에너지 保存의 原理를 처음 배운 것은 뮐러로부터였다. 플랑크는 17歲에 일찍 卒業했다. [9] 이것이 플랑크가 物理學 分野와 처음 接한 方法이다.

플랑크는 音樂에 才能이 있었다. 그는 노래 授業을 듣고 피아노, 오르간, 첼로를 연주하고 노래와 오페라를 作曲했다. 그러나 그는 音樂 代身 物理學 을 選擇했다.

젊은 靑年 플랑크의 옆모습, 1878年頃

뮌헨의 物理學 敎授인 필립 폰 욜리 Philipp von Jolly 는 플랑크에게 "이 分野에서는 거의 모든 것이 이미 發見되었고 남은 것은 몇 個의 구멍을 채우는 것뿐"이라며 플랑크에게 物理學에 入門하지 말라고 助言했다. [10] 플랑크는 새로운 것을 發見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그 分野의 알려진 基礎를 理解하기를 願한다고 對答했고, 1874年 뮌헨 大學校 에서 硏究를 始作했다. 욜里의 監督下에 플랑크는 加熱된 白金 을 통한 水素 擴散 을 硏究하는 그의 科學 經歷의 唯一한 實驗을 遂行했지만 理論物理學 으로 옮겼다.

1877年 그는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大學校 에서 物理學者 헤르만 폰 헬름홀츠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數學者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와 함께 1年 동안 硏究했다. 그는 헬름홀츠는 準備가 제대로 된 적이 없고, 천천히 말하고, 끝없이 잘못 計算되어 聽衆을 지루하게 하는 反面, 키르히호프는 注意깊게 準備되었지만 乾燥하고 단조로운 講義를 했다고 썼다. 그는 곧 헬름홀츠와 가까운 親舊가 되었다. 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클라우지우스 의 著作에 對한 大部分의 獨學 프로그램에 遂行하여서, 熱力學 을 自身의 分野로 選擇하도록 되었다.

1878年 10月에 플랑크는 資格 試驗에 合格했고 1879年 2月에 自身의 學位論文인 "熱力學 第2法則에 關하여(Uber den zweiten Hauptsatz der mechanischen Warmetheorie)"를 防禦했다. 그는 暫時 뮌헨에 있는 以前 學校에서 數學과 物理學을 가르쳤다.

1880年까지 플랑크는 유럽에서 提供되는 가장 높은 두 個의 學位를 取得했다. 첫 番째는 熱力學 硏究와 理論을 仔細히 說明하는 論文을 마친 後 博士學位였다. [6] 그런 다음 그는 "서로 다른 溫度에서 等方性 物體의 平衡 狀態(Gleichgewichtszustande isotroper Korper in verschiedenen Temperaturen)"라는 論文을 發表하여 下빌리타치온 을 獲得했다.

敎育 經歷 [ 編輯 ]

그의 下빌리타치온 論文이 完成되자 플랑크는 뮌헨에서 無給 프리바트度첸트(Privatdozent) (獨逸 大學에서 講師/助敎授에 該當하는 地位)가 되어 學業 提案을 받을 때까지 기다렸다. 처음에는 學界에서 無視 當했지만 열 理論 分野에서 그의 作業을 더욱 발전시켜 기브스 와 같은 熱力學 的 形式論을 自身도 모르게 次例로 發見했다. 엔트로피 에 對한 클라우지우스의 아이디어는 그의 作業에서 中心的인 役割을 했다.

1885年 4月 킬 大學校 는 플랑크를 理論物理學 副敎授로 임명했다. 特히 物理化學 에 適用되는 엔트로피와 그 處理에 對한 追加 硏究가 뒤따랐다. 그는 1897年에 "熱力學에 關한 論文"을 出版했다. [11] 그는 스반테 아레니우스 電解質 海里 理論에 對한 熱力學的 基礎를 提案했다.

1889年에 그는 베를린 프리드리히-빌헬름스-大學校 에서 키르히호프의 職位를 繼承하는 사람으로 任命되었으며 [12] - 아마도 헬름홀츠의 仲裁 德分에 - 1892年에는 正敎授가 되었다. 1907年, 플랑크는 에서 볼츠만 의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베를린에 남으려고 拒絶했다. 1909年에 베를린 大學校 敎授로 在職하면서 뉴욕市 컬럼비아 大學校 理論物理學의 어니스트 켐프턴 아담스 講師(Ernest Kempton Adams Lecturer)로 招聘되었다. 그의 講義 시리즈는 컬럼비아 大學校 敎授 A. P. 윌리스 A. P. Wills 에 依해 飜譯 및 共同 出版되었다. [13] 그는 1914年 美國國立科學院 會員으로 選出되었다. [14] 1926年 1月 10日 베를린에서 隱退했고, [15] 에르빈 슈뢰딩거 가 그의 뒤를 이었다. [16] 그는 1926年 美國國立科學院 會員으로, 1933年 美國 哲學 協會 會員으로 選出되었다. [17] [18]

家族 [ 編輯 ]

1887年 3月 플랑크는 學校 親舊의 女同生인 마리 머르크 Marie Merck (1861-1909)와 結婚하여 키엘에 있는 작은 아파트로 移徙했다. 그들은 카를 Karl (1888~1916), 雙둥이 엠마 Emma (1889~1919)와 그레테 Grete (1889~1917), 에르빈 Erwin (1893~1945) 等 5名의 子女를 두었다.


베를린에 있는 아파트 以後, 플랑크 家族은 反겐하임 거리(Wangenheimstrasse) 21의 베를린-그루네발트(Berlin-Grunewald)에 있는 빌라에서 살았다. 베를린 大學校 의 다른 여러 敎授가 近處에 살았으며 그 中에는 플랑크의 切親한 親舊가 된 神學者 아돌프 폰 下르樂 Adolf von Harnack 도 있었다. 곧 플랑크의 집은 社會的, 文化的 中心地가 되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오토 한 , 裏題 마이트너 와 같은 수많은 著名한 科學者들이 자주 訪問했다. 共同 演奏 音樂의 傳統은 이미 헬름홀츠 의 故鄕에서 確立되었다.

幸福한 몇 年 後인 1909年 7月에 마리 플랑크는 아마도 結核 으로 死亡했다. 1911年 3月 플랑크는 두 番째 夫人인 마르가 폰 膾슬린 Marga von Hoesslin (1882?1948)과 結婚했다. 12月에는 다섯 番째 아이 헤르만 Hermann 이 태어났다.

第1次 世界大戰 中 플랑크의 次男 에르빈은 1914年 프랑스軍에게 捕虜로 잡혀갔고, 그의 長男 카를은 베르됭 戰鬪 에서 戰死했다. 그레테는 1917年 첫 아이를 낳다가 世上을 떠났다. 그女의 女同生인 엠마는 그레테의 홀아비와 結婚했는데 2年 後 같은 方式으로 死亡했다. 두 孫女 모두 生存했으며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命名되었다. 플랑크는 이러한 傷害들을 꿋꿋하게 견뎌냈다.

1945年 1月, 그가 特히 가까웠던 에르빈은 1944年 7月 히틀러 暗殺 試圖 失敗 에 加擔했다는 理由로 나치 人民法廷 에 依해 死刑을 宣告받았다. 에르빈은 1945年 1月 23日 處刑되었다. [19]

베를린 大學校의 敎授 [ 編輯 ]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스 大學校(Friedrich-Wilhelms-Universitat) 敎授로서 플랑크는 地域 物理學會에 加入했다. 그는 나중에 이 時期에 對해 쓰기를: "그 當時에 나는 本質的으로 그곳에서 唯一한 理論 物理學者였으며, 엔트로피에 對해 言及하기 始作했기 때문에 일이 그렇게 쉽지는 않았는데, 이것은 數學的인 幽靈으로 看做되었기 때문에 그다지 流行하지 않았다." [20] 그의 이니셔티브 德分에 獨逸의 다양한 地域 物理 學會들이 1898年에 統合되어 獨逸 物理學會(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DPG) 를 形成했으며; 1905年부터 1909年까지 플랑크는 會長이었다.

베를린 훔볼트 大學 의 名判: "基本的 作用의 兩者 h 의 發見者인 막스 플랑크가 이 建物에서 1889年부터 1928年까지 가르쳤다."

플랑크는 裏題 마이트너 에 따르면 "乾燥하고 多少 非人間的인", 英國 參加者인 제임스 R. 派팅톤 James R. Partington 에 依하면 "노트를 使用하지 않고, 失手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그는 내가 들어본 最高의 講師"라는 6學期 理論物理學 講義를 시작햤으며, R. 파팅톤은 繼續하기를 "講義室 周邊에는 恒常 많은 사람들이 서 있었다. 講義室은 暖房이 잘 되고 多少 가까웠기 때문에 聽取者 中 一部가 때때로 바닥에 쓰러지기도 했지만 講義에 妨害가 되지는 않았다." 플랑크는 實際 "學派"를 設立하지 않았다. 그의 大學院生 數는 約 20名에 不過했지만 아래와 같은 이들이 包含되어 있다.

黑體 複寫 [ 編輯 ]

1894年 플랑크는 黑體 複寫 問題에 關心을 돌렸다. 問題는 1859年 키르히호프에 依해 言及되었다. " 黑體 (完璧한 吸水體, 共同 輻射體라고도 函)에서 放出되는 電磁氣 複寫의 强度는 複寫의 周波數 (卽, 빛의 色깔)와 그 物體의 溫度에 依存하는가?"라는 質問은 實驗的으로 探究되었지만 實驗 값과 一致하는 理論的 取扱은 없었다. 빌헬름 빈 빈의 法則 을 提案했는데, 이는 高周波에서는 擧動을 正確하게 豫測했지만 低周波에서는 失敗했다. 問題에 對한 또 다른 接近 方式인 레일리?진스 法則 은 低周波에서의 實驗 結果에 一致했지만 나중에 高周波에서 " 紫外線 破綻 "으로 알려진 現象을 만들었다. 그러나 많은 敎科書와 달리, 이것이 플랑크를 위한 動機는 아니었다. [22]

1899年 플랑크가 이 問題에 對해 처음으로 提案한 解法은 플랑크가 "基本 無秩序의 原理"라고 부른 것에서 따랐는데, 이를 통해 그는 理想的인 振動子의 엔트로피에 對한 여러 家庭으로부터 빈의 法則 을 誘導하여 빈-플랑크 法則이라고 하는 것을 만들었다. 곧 實驗的 證據가 새로운 法則을 全혀 確認하지 못했다는 것이 發見되어 플랑크는 挫折했다. 플랑크는 接近 方式을 修正하여, 實驗的으로 觀察된 黑體 스펙트럼을 잘 說明하는 有名한 플랑크 黑體 複寫 法則 의 첫 番째 버전을 誘導했다. 그것은 1900年 10月 19日 物理學會(DPG) 會議에서 처음 提案되었고 1901年에 出版되었다. 이 첫 番째 柔道는 에너지 量子化를 包含하지 않았으며 統計 力學 을 使用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그것을 拒否했다. 1900年 11月 플랑크는 熱力學 第2法則 에 對한 볼츠만 의 統計的 解釋에 依據하여 이 첫 番째 接近 方式을 修正했다. 플랑크는 볼츠만의 接近 方式에 對한 그러한 解釋의 哲學的, 物理的 意味에 對해 깊은 疑心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나중에 그가 말했듯이 "그것은 絶望의 行爲 ... 나는 物理學에 對한 나의 移轉 信念을 犧牲할 準備가 되어 있었다." [22]

1900年 12月 14日 物理學會(DPG)에 提出된 그의 새로운 柔道의 中心 家庭은 이제 플랑크 假說 로 알려진 家庭은 電磁氣 에너지가 量子化 된 形態로만 放出될 수 있다는 것으로, 다시 말해, 에너지는 基本 單位의 배수일 뿐으로:

여기서 h 플랑크 常數 이며 플랑크의 作用 養子라고도 하며 (1899年에 이미 導入됨), ν 는 複寫의 周波數이다. 여기서 論議된 에너지의 基本 單位는 單純히 ν 가 아니라 로 標示된다. 物理學者들은 이제 이러한 兩者 光子를 부르고 周波數 ν 의 光子는 固有한 에너지를 갖는다. 그러면 該當 周波數의 總 에너지는 該當 周波數의 光子 數를 곱한 와 같다.

플랑크는 1918年에 兩者 理論 에 對한 硏究로 노벨 物理學賞 을 受賞했다.

처음에 플랑크는 量子化가 "純全히 形式的인 家庭으로 ... 實際로는 그것에 對해 많이 생각하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였지만, 오늘날 古典 物理學 과 兩立할 수 없는 이 家庭은 兩者 物理學 의 誕生이자 플랑크 經歷의 가장 偉大한 知的 成就로 看做된다 ( 루트비히 볼츠만 은 1877年 理論 論文에서 物理 시스템의 에너지 狀態가 離散的日 수 있다는 可能性에 對해 論議했다.). 플랑크 常數의 發見으로 그는 兩者 理論의 大部分이 基盤으로 하는 基本的인 物理的 常數를 基盤으로 하는 새로운 普遍的인 物理的 單位 集合( 플랑크 길이 플랑크 質量 과 같은)을 定義할 수 있었다. 플랑크는 새로운 物理學 分野에 對한 根本的인 貢獻을 認定받아 1918年에 노벨 物理學賞을 受賞했다 (實際로는 1919年에 受賞했다). [23] [24]

그 後 플랑크는 에너지 量子의 意味를 把握하려고 努力했지만 所用이 없었다. "行動 養子를 古典 理論으로 어떻게든 再統合하려는 나의 無益한 試圖는 몇 年에 걸쳐 延長되었고 나에게 많은 問題를 일으켰다." 몇 年 後에도 존 레일리 , 제임스 진스 , 헨드릭 로런츠 와 같은 다른 物理學者들은 古典 物理學에 맞추기 위해 플랑크 常數를 0으로 設定했지만, 플랑크는 이 常數가 0이 아닌 正確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나는 진스의 완高喊을 理解할 수 없다. 그는 決코 存在해서는 안 되는 理論家의 한 例이다. 헤겔 이 哲學에 對해 그랬었다. 事實들이 맞지 않으면 그것들은 더욱 나빠진다." [25]

막스 보른 은 플랑크에 對해 쓰기를: "그는, 天性이, 保守的인 마음이며; 그는 全혀 革命的阿只 않았고 思索에 對해서는 徹底히 懷疑的이었다. 그런데도 事實로부터 論理的 推論의 說得力 있는 힘에 對한 그의 믿음이 너무나 剛해서 物理學을 뒤흔든 가장 革命的인 아이디어를 發表하는 데 躊躇하지 않았다." [1]

아인슈타인과 相對性 理論 [ 編輯 ]

1905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 세 篇의 劃期的인 論文이 《 物理學 年報 》 저널에 發表되었다. 플랑크는 特殊 相對性理論 의 重要性을 卽時 認識한 몇 안 되는 사람 中 하나였다. 그의 影響 德分에 이 理論은 곧 獨逸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플랑크는 또한 特殊 相對性理論을 擴張하는 데 相當한 寄與를 했다. 例를 들어, 그는 古典的 作用 의 觀點에서 理論을 再構成한다. [26]

曠田 效果 에 對한 하인리히 헤르츠 의 1887年 發見(및 필리프 레나르트 에 依한 追加 調査)에 基盤한 아인슈타인의 빛 量子( 光子 ) 假說은 처음에 플랑크에 依해 거부되었다. 그는 맥스웰 電磁氣學 理論을 完全히 廢棄하는 것을 꺼려했다. "빛의 理論은 數十 年이 아니라, 數 世紀에 걸쳐, 크리스티안 下違憲스 가 敢히 아이작 뉴턴 의 强力한 放出 理論에 맞서 싸웠던 時代로 되돌아갈 것이다..." [27]

1910年에 아인슈타인은 古典 物理學으로는 說明할 수 없는 現象의 또 다른 例로서 低溫에서 非熱容量 의 變則的 擧動을 指摘했다. 플랑크와 네른스트 는 커지는 矛盾들을 明確히 하기 위해 第1次 솔베이 會議 를 組織했다 (브뤼셀 1911). 이 會議에서 아인슈타인은 플랑크를 說得할 수 있었다.

한便, 플랑크는 베를린 大學의 學長으로 任命되어 아인슈타인을 베를린으로 불러 새로운 敎授職을 만들 수 있었다 (1914). 곧 두 科學者는 가까운 親舊가 되었고 함께 音樂을 연주하기 위해 자주 만났다.

第1次 世界大戰 [ 編輯 ]

第1次 世界大戰 이 始作되자 플랑크는 大衆의 一般的인 興奮을 다음과 같이 썼다. "끔찍한 것 外에도 豫期치 않게 偉大하고 아름다운 것, 모든 政黨의 統合(그리고) ... 善하고 高貴한 모든 것에 對한 讚辭와 같은 것도 많다." [28] [29] 플랑크는 또한 論爭的인 戰爭 宣傳의 小冊子人 惡名 높은 " 93人의 聲明書 "에 署名했다 (反面에 아인슈타인은 嚴格한 平和主義的 態度를 維持하여 거의 投獄에 이르게 되었으나, 그의 스위스 市民權 德分에 免責되었다).

1915年, 이탈리아가 아직 中立國이었던 때에 그는 이탈리아에서 科學 論文에 寄稿를 했는데, 이 論文은 플랑크가 네名의 永久 會長 中 한 名으로 있던 프로이센 科學 아카데미 에서 賞을 받았다.

前後 그리고 바이마르 共和國 [ 編輯 ]

激動의 戰後 몇 年 동안, 現在 獨逸 物理學의 最高 權威者인 플랑크는 同僚들에게 "忍耐하고 繼續 일하라"는 슬로건을 發表했다.

1920年 10月, 그와 프리츠 하버 는 科學 硏究를 위한 財政 支援을 提供하기 爲해 獨逸 科學 非常機構(Notgemeinschaft der Deutschen Wissenschaft) 를 設立했다. 組織이 分配할 資金의 相當 部分은 海外에서 募金되었다.

또한 플랑크는 베를린 大學校, 프로이센 科學 아카데미, 獨逸 物理學會 및 카이저 빌헬름 協會 (1948年 막스 플랑크 協會 가 됨)에서 主要 職責을 歷任했다. 이 期間 동안 獨逸의 經濟 狀況은 그가 硏究를 거의 遂行할 수 없는 狀況이었다. 1926年 플랑크는 네덜란드 王立 藝術 科學 아카데미 의 外國人 會員이 되었다. [30]

前後 期間 동안 플랑크는 노벨 平和賞 受賞者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의 政黨人 獨逸 人民黨 (Deutsche Volks-Partei)의 黨員이 되었으며, 이 黨은 國內 政策에 對한 自由主義的 目標와 全 世界 政治에 對한 修正主義的 目標를 熱望했다.

플랑크는 普通選擧 의 導入에 同意하지 않았으며 나중에 나치 獨裁가 "大衆 支配의 上昇"에서 비롯되었다는 見解를 表明했다. [31]

量子力學 [ 編輯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네른스트 , 아인슈타인, 플랑크, 로버트 밀리컨 , 폰 라우에 ; 폰 라우에가 招待한 晩餐에서, 베를린 1931年 11月 11日

1920年代 末 보어 , 하이젠베르크 파울리 는 量子力學에 對한 코펜하겐 解釋 을 遂行했지만 플랑크와 슈뢰딩거 , 라우에 , 아인슈타인 도 이를 拒否했다. 플랑크는 波動力學 이 곧 兩者 理論-自身의 아이-을 不必要하게 만들 것이라고 豫想했다. 그러나 이것은 事實이 아니었다. 그와 아인슈타인의 哲學的 反感에도 不拘하고 더 以上의 作業은 兩者 理論을 確固히 했을 뿐이다. 플랑크는 젊은 時節에 오래된 見解와 鬪爭하면서 "새로운 科學的 眞理는 反對者를 說得하고 빛을 보게 함으로써 勝利하는 것이 아니라, 反對者가 結局 죽기 때문에 勝利한다. 새로운 世代는 그것에 익숙하게 자란다."는 自身의 初期 觀察의 眞理를 經驗했다. [32]

나치 獨裁와 第2次 世界大戰 [ 編輯 ]

1933年 나치가 執權했을 때 플랑크는 74歲였다. 그는 많은 유대人 親舊와 同僚들이 職位에서 追放되어 屈辱을 當하는 것을 目擊했으며 數百 名의 科學者들이 나치 獨逸 에서 移住하는 것을 目擊했다. 그는 다시 "忍耐하고 繼續 일하려고" 努力했고, 移民을 考慮하고 있는 科學者들에게 獨逸에 남을 것을 要請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그는 조카인 經濟學者 헤르만 크라놀트 Hermann Kranold 가 逮捕된 後 런던 으로 移住하는 것을 도왔다. [33] 그는 危機가 곧 鎭靜되고 政治的 狀況이 改善되기를 希望했다.

오토 한 은 플랑크에게 猶太人 敎授 處遇에 對한 公開 宣言을 하기 위해 獨逸의 著名한 敎授들을 모아달라고 要請했지만, 플랑크는 "오늘 그런 紳士 30名을 모을 수 있다면 來日 150名이 와서 反對할 것이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地位를 물려받기를 熱望하기 때문이다." [34] 플랑크의 指導下에 카이저 빌헬름 協會 (KWG)는 유대人 프리츠 하버 에 關한 것 外에는 나치 政權과의 公開的인 衝突을 避했다. 1933年 5月 플랑크는 最近 任命된 獨逸 總理 아돌프 히틀러에게 이 問題를 論議하기 위해 인터뷰를 要請하고 받았고, 그에게 "유대人의 强制 移民은 獨逸 科學을 죽이고 猶太人은 좋은 獨逸人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유대人에 對해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고 共産主義者에 對해서만 있다." 따라서 플랑크는 이 答辯이 "追加 協商을 위한 모든 根據를 그에게서 빼앗았기" 때문에 成功하지 못했는데, [35] 히틀러에게 "유대人은 모두 共産主義者이고 이들은 나의 敵"이기 때문이었다. 이듬해인 1934年에, 하버는 亡命 中에 死亡했다. [36]

1年 後, 1930年부터 協會(KWG)의 會長을 맡은 플랑크는 多少 挑發的인 스타일로 하버에 對한 公式 記念 會議를 組織했다. 그는 또한 祕密裏에 많은 유대人 科學者들이 協會(KWG) 硏究所에서 몇 年 동안 繼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成功했다. 1936年에 그의 協會(KWG) 會長 任期가 끝났고 나치 政府는 그에게 連任하지 않도록 壓力을 加했다.

獨逸의 政治 環境이 漸次 더 敵對的으로 變하면서, 도이치 物理學 의 著名한 代表者인 요하네스 슈타르크 는 플랑크, 조머펠트 , 하이젠베르크 아인슈타인 의 理論을 繼續 가르친다고 攻擊하며, 그들을 "白人 유대人"이라고 불렀다. "나치 科學 政府 事務所(Hauptamt Wissenschaft)"는 플랑크가 "1/16 猶太人"이라고 主張하면서 플랑크의 家計에 對한 調査를 始作했지만 플랑크 自身은 이를 否認했다. [37]

괴팅겐에 있는 플랑크의 墓地

1938年 플랑크는 80歲 生日을 맞았다. 物理學會(DPG)는 祝賀 行事를 열었고, 이 期間 동안 막스 플랑크 메달(DPG가 1928年에 設立한 最高 메달)李 프랑스 物理學者 루이 드 브로이 에게 授與되었다. 1938年 말, 프로이센 아카데미는 남아 있던 獨立性을 喪失하고 나치에 依해 引受되었다( 一體化(Gleichschaltung) ). 플랑크는 會長職을 辭任하면서 抗議했다. 그는 繼續해서 자주 旅行을 다니며 宗敎와 科學에 關한 演說을 비롯한 수많은 公開 講演을 했으며, 5年後에 그는 알프스 의 3,000미터 봉우리들을 오를 程度로 充分히 健康했다.

第2次 世界大戰 中에 베를린에 對한 聯合軍의 爆擊 任務가 늘어나면서 플랑크와 그의 아내는 一時的으로 都市를 떠나 시골에 살게 되었다. 1942年에 그는 "내 안에 이 危機를 견디고 새로운 跳躍의 始作인 轉換點을 目擊할 수 있을 만큼 오래 살고 싶은 熱望이 커졌다."고 記錄하였다. 1944年 2月 베를린에 있는 그의 집은 攻襲으로 完全히 破壞되어 그의 모든 科學 記錄과 書信이 消失되었다. 그의 시골 隱退는 兩側에서 聯合軍의 急速한 進擊으로 威脅을 받았다.

1944年 플랑크의 아들 에르빈 은 7月 20日 히틀러 暗殺을 試圖한 7·20 陰謀 게슈타포 에 依해 逮捕되어 裁判을 받고 1944年 10月 人民法廷 에서 死刑을 宣告받았다. 에르빈은 1945年 1月 베를린의 플罍첸第 監獄 에서 絞首刑을 當했다. 그의 아들의 죽음으로 플랑크는 삶에 對한 意志를 相當部分 喪失했다. [38] 戰爭이 끝난 後 플랑크의 두 番째 아내와 그의 아들은 괴팅겐 에 있는 親戚에게 갔는데 플랑크는 1947年 10月 4日 그곳에서 死亡했다. 그의 무덤은 괴팅겐의 '舊 市立墓地(Stadtfriedhof)'에 있다. [39]

宗敎的 見解 [ 編輯 ]

플랑크는 獨逸 루터교 敎人이었다. [40] 그는 代案的인 見解와 宗敎 에 對해 매우 寬大했다. [41] 1937年 "宗敎와 自然科學(Religion und Naturwissenchaft)"이라는 題目의 講義에서 그는 이러한 象徵과 意識의 重要性은 信者가 하나님을 禮拜할 수 있는 能力과 直接的으로 關聯되나, 象徵은 新星의 不完全性을 提供한다는 點을 銘心해야 한다고 提案했다. 그는 無神論이 그러한 象徵에 對한 嘲弄에 焦點을 맞추고 있다고 批判했으며, 한便 信者들이 그러한 象徵의 重要性을 過大 評價한다고 警告했다. [42]

플랑크는 모든 宗敎에 寬大하고 好意的이었다. 그는 루터교에 남아 있었지만 基督敎나 聖經的 見解를 擁護하지 않았다. 그는 "奇跡에 對한 믿음은 科學의 事實이 꾸준하고 確固하게 前進하기 前에 段階的으로 讓步해야 하며, 그 完全한 敗北는 疑心할바 없이 時間 問題이다."라고 믿었다. [43]

"宗敎와 自然科學"에서 플랑크는 神이 어디에나 存在한다는 見解를 表現했으며 "理解할 수 없는 神格의 거룩함은 象徵의 거룩함으로 傳達된다"고 主張했다. 그는 無神論者들이 單純한 象徵에 너무 많은 重要性을 附與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1920年부터 죽을 때까지 敎會 管理人이었고 全能하고 全知全能하며 자비로운 하나님을 (반드시 人格的인 神은 아니더라도) 믿었다. 科學과 宗敎는 모두 "神을 向하여!"라는 目標를 가지고 "懷疑論과 獨斷主義, 不信과 迷信에 對한 지칠 줄 모르는 싸움"을 벌이고 있다. [43]

1944年 플랑크는 "가장 明晳한 科學, 卽 物質 硏究에 平生을 바친 사람으로서 原子에 對한 硏究 結果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物質은 없다. 모든 物質은 原子 粒子를 진동시키고 原子의 이 가장 微細한 太陽系를 하나로 묶는 힘에 依해서만 發生하고 存在한다. 우리는 이 힘 뒤에 意識的이고 知的인 精神(geist)이 存在한다고 假定해야 한다. 이 精神은 모든 物質의 母體이다." [44]

플랑크는 神의 槪念이 宗敎와 科學 모두에 重要하지만 다른 方式으로 다음과 같이 主張했다. "宗敎와 科學 모두 神에 對한 믿음을 要求한다. 信者들에게 신은 始作에 있고 物理學者들에게는 神이 모든 것의 高麗의 끝에 있다. ... 電子에게 그분은 基礎가 되고, 後者에게 모든 一般化된 世界觀의 構成體의 王冠이 된다." [45]

나아가 플랑크는 이렇게 썼다.

..."믿는다"는 것은 "眞理로 認識하는" 것을 의미하며, 疑心의 餘地 없이 安全한 길로 繼續하여 發展하는 自然에 對한 知識은, 自然 科學에 對하여 어느 程度 訓鍊을 받은 사람이, 自然의 法則과 矛盾되는 異例的인 事件과, 宗敎的 敎理에 對한 必須的인 뒷받침과 確認으로 如前히 一般的으로 看做되며 以前에는 疑心이나 批判 없이 純粹하고 單純한 事實로 받아들여졌던 奇跡에 關한 多數의 報告가, 事實에 기초한 것으로 認定하는 것을 絶對的으로 不可能하게 만들었다. 奇跡에 對한 믿음은 中斷없이 믿음직스럽게 進步하는 科學 앞에서 漸次的으로 물러나야 하며, 우리는 이것이 早晩間 完全히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疑心할 수 없다. [46]

著名한 科學史家 존 L. 헤일브論 은 神에 對한 플랑크의 見解를 理神論 敵이라고 規定했다. [47] 하일브론은 나아가 自身의 宗敎的 系列에 對해 물었을 때 플랑크는 自身이 恒常 깊이 宗敎的이었지만 "基督敎 神은 말할 것도 없고 人格的 新"은 믿지 않는다고 對答했던 것을 關聯짓는다. [48]

出版物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1 Born, M. (1948).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1858?1947" . Obituary Notice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 6 (17): 161?188.
  2. "Planck" .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
  3. "Planck's constant" Cambridge Dictionary .
  4.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8 Archived 5 September 2015 at the Wayback Machine. Nobelprize.org.
  5. Fraenkel, Abraham (2016). Recollections of a Jewish Mathematician in Germany . Basel, Switzerland: Birkhauser. p. 96.
  6. Weir, Jane (2009). Max Planck: Revolutionary Physicist . Capstone.
  7. Christoph Seidler, Gestatten, Marx Planck Archived 29 June 2011 at the Wayback Machine, Spiegel Online, 24 April 2008
  8. Press release Archived 2009年 10月 18日 - 웨이백 머신 Archived 18 October 2009 at the Wayback Machine of the Max Planck Society about Max Planck's name.
  9. Encyclopædia Britannica: Max Planck
  10. Lightman, Alan P. (2005). The discoveries: great breakthroughs in twentieth-century science, including the original papers . Toronto: Alfred A. Knopf Canada. p. 8.
  11. Planck, Max (1897). Vorlesungen uber Thermodynamik. Leipzig: Verlag Von Veit &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12. Retrieved 27 June 2012. English translation: Planck, Max (1903). Treatise on Thermodynamics . London: Longmans, Green, and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February 2012. Retrieved 27 June 2012. "Treatise on Thermodynamics."
  12. "Max Planck ? Biographical" . Nobelprize.org . Nobel Prize Organi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17.
  13. Jacques Hadamard (1915). 《Four lectures on mathematics: delivered at Columbia University in 1911》 .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쪽.  
  14.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 9 February 2023.
  15. "Max Planck ? Humboldt-Universitat zu Berlin" . www.hu-berlin.de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6.
  16. "Erwin Schrodinger ? Humboldt-Universitat zu Berlin" . www.hu-berlin.de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6.
  17. "Max Planck". www.nasonline.org. Retrieved 22 June 2023.
  18. [ https://search.amphilsoc.org/memhist/search?creator=+Max+Planck&title=&subject=&subdiv=&mem=&year=&year-max=&dead=&keyword=&smode=advanced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 Retrieved 22 June 2023.
  19. Jurgen Heideking; Christof Mauch (1998年 10月 5日). 《American Intelligence and the German Resistance to Hitler: A Documentary History》 . Westview Press. 361?쪽. 2013年 6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0. Verband Deutscher Elektrotechniker; Elektrotechnischer Verein (Berlin, Germany) (1948). "ETZ: Elektrotechnische Zeitschrift: Ausg. A." ETZ: Elektrotechnische Zeitschrift (in German). VDE-Verlag. 69 (A)., Snipped extract
  21. "Max Planck ?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www.genealogy.math.ndsu.nodak.edu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ne 2017
  22. 플랑크의 兩者에 對한 指摘 同期의 複雜性에 對한 確實한 接近과 그 意味에 對한 그의 꺼림칙한 受容에 對해서는 헬地 크라흐 Helge Kragh 를 參照하라. Max Planck: the reluctant revolutionary . Physics World . December 2000.
  23. Kragh, Helge (1 December 2000), Max Planck: the reluctant revolutionary, PhysicsWorld.com
  24.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8” . 《www.nobelprize.org》.  
  25. Heilbron, 2000, page 8 Archived 17 April 2018 at the Wayback Machine
  26. Einstein and the Quantum , A.Douglas Sto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and Oxford, chapter 9, Tripping the light heuristic , 2013.
  27. Baker, F. Todd (2015年 6月 1日). 《Atoms and Photons and Quanta, Oh My!: Ask the physicist about atomic, nuclear, and quantum physics》. Morgan & Claypool Publishers.  
  28. Heilbron, 2000, p. 72 Archived 20 March 2015 at the Wayback Machine
  29. Evans, James; Thorndike, Alan S. (2007). 《Quantum mechanics at the crossroads: new perspectives from history, philosophy and physics》. Springer. 31쪽.  
  30.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1858?1947)” .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31. Scully, Robert J.; Scully, Marlan O. (2007). 《The demon and the quantum: from the pythagorean mystics to Maxwell's demon and quantum mystery》. Wiley-VCH. 90쪽.  
  32. Quoted in Thomas Kuh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70 ed.): p. 150.
  33. "Johanna Kranold Stein" . Ithaca Journal. Legacy.com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6. Retrieved 10 October 2016.
  34. 조금 다른 飜譯에서, 韓銀 플랑크가 한 말을 記憶한다: "萬若 當身이 오늘 30名의 그러한 사람들을 모은다면, 來日 150名은 그들의 자리를 차지하기를 願하기 때문에 그들을 非難하러 올 것이다." Heilbron, 2000, p. 150. Heilbron, at the end of the paragraph, on p. 151, cites the following references to Hahn’s writings: Otto Hahn Einige personliche Erinnerungen an Max Planck MPG, Mitteilungen (1957) p. 244, and Otto Hahn My Life (Herder and Herder, 1970) p. 140.
  35. Clary, David (2022). Schrodinger in Oxford . p. 54.
  36. O'Flaherty, James C. (1956). “Max Planck and Adolf Hitler” . 《AAUP Bulletin》 42 (3): 437?444.  
  37. Heilbron, 2000, page 191
  38.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08. Retrieved 17 June 2010.
  39. Max Planck's Grave at Gottingen, Germany ,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6,
  40. Erich Dinkler, "Planck, Max", in Die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 Third Edition, Volume V, Tubingen (Germany), 1961, col. 404?405
  41. The Religious Affiliation of Physicist Max Planck [Usurped!]. adherents.com. Retrieved on 5 July 2011
  42. The Life Max Planck Archived 2 November 2012 at the Wayback Machine. encyclopedia.com. Retrieved on 7 March 2012.
  43. “The religion of Max Planck, physicist” . 《www.adherents.com》. 2017年 8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44. " Das Wesen der Materie " [The Nature of Matter], speech at Florence, Italy (1944) (from Archiv zur Geschichte der Max-Planck-Gesellschaft, Abt. Va, Rep. 11 Planck, Nr. 1797)
  45. "Religion and Natural Science" (Lecture Given 1937) Scientific Autobiography and Other Papers , trans. F. Gaynor (New York, 1949), pp. 184
  46. Max Planck, Scientific Autobiography and Other Papers
  47. J. L. Heilbron (1986). 《The Dilemmas of an Upright Man: Max Planck and the Fortunes of German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쪽. 다른 한便으로, 敎會 代辯人은 旣存 宗敎에 對한 모든 言及을 省略하고 아인슈타인의 유대敎보다 더 敎理的인 內容을 담고 있지 않은 플랑크의 理神論에 거의 熱狂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百合花를 그리고, 改宗者를 使用하기 위해 플랑크의 삶의 敎訓을 改善하고, 또한 科學의 擬人化를 傳統的인 神格에 對한 믿음과 聯關시키는 것이 有用해 보였다.  
  48. Heilbron, 2000, page 198 Archived 17 April 2018 at the Wayback Machine

出處 [ 編輯 ]

  • Aczel, Amir D. Entanglement , Chapter 4. Penguin, 2003.
  • Heilbron, J. L. The Dilemmas of an Upright Man: Max Planck and the Fortunes of German Science .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 Clifford A. Pickover Archimedes to Hawking: Laws of Science and the Great Minds Behind Them .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Medawar, Jean; Pyke, David (2012). Hitler's Gift: The True Story of the Scientists Expelled by the Nazi Regime . Arcade Publishing, 2012.
  • Rosenthal-Schneider, Ilse Reality and Scientific Truth: Discussions with Einstein, von Laue, and Planck . Wayne State University, 1980.

外部 링크 [ 編輯 ]

追加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