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大韓帝國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大韓帝國軍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말을 타고 있는 大韓帝國軍

大韓帝國軍 (大韓帝國軍, 英語 : Korean Imperial Armed Forces )은 大韓帝國 國軍 이다.

大韓帝國軍은 大韓帝國 陸軍 , 大韓帝國 海軍 , 大韓帝國 常務英 (商務營, 褓負商 으로 構成됨)으로 나뉘었다.

組織 [ 編輯 ]

大韓帝國軍의 成立 基盤은 朝鮮軍 이었다. 1894年 7月 27日 에 施行된 甲午改革 으로 인해 旣存의 軍制가 모조리 바뀌면서 새로운 組織으로 編成되었다.

示威隊 , 親衛隊 , 鎭衛隊 等의 組織을 통해 規模를 擴張하였으나 日本의 介入 및 國家의 力量 不足, 그리고 高位 官僚들의 判斷 誤謬가 겹쳐 제대로 된 活動을 하지 못하고 最後를 맞았다.

兵力 充員에 있어서는 國民皆兵制에 依據한 徵兵制 를 實施해야 한다는 意見은 있었지만 與件과 意志의 不足으로 始終一貫 募兵制 를 採擇, 維持하였다. 統帥權者는 皇帝 였다.

甲午改革 直後에는 軍務衙門 (軍務衙門)에 擔當하였고 乙未改革 때 表現이 軍部 (軍部)로 바뀌었다. 軍部大臣이 오늘날의 國防長官 役割을 했다.

大韓帝國軍 大韓帝國 陸軍 大韓帝國 海軍 으로 나누어져 있다

陸軍 [ 編輯 ]

外國人 敎官의 指導下에 맥심 機關銃 의 試演 過程을 지켜보는 大韓帝國 陸軍 兵士.

1895年 5月 에 設置된 示威隊 가 大韓帝國의 核心部隊로 德壽宮 과 皇室의 經費와 首都防禦를 擔當한 中央軍役割을 겸하였다.  2個 大隊로 構成된 1個連帶로서 各 大隊가 2個 中隊高 各 中隊는 3個 小隊였다. 定員은 約 8,000名 假量으로 推定되며 乙未事變때 日本軍을 沮止하다 失敗한 後 곧 解散되었지만 1897年 1月 러시아 軍事顧問의 指導로 示威隊가 다시 編成되었다. 最大 人員은 20,000餘名 程度로 推定되고 있다. 陸軍은 아래와 같은 組織으로 構成되어 있다.

海軍 [ 編輯 ]

大韓帝國의 軍艦 兩廡號
大韓帝國의 軍艦 狂題號

1892年 12月 韓國 最初의 近代 海軍士官學校를 設立하였고, 大韓帝國 高宗 은 近代 海軍敎育을 實施하기 위해 英國總領事에게 海軍 敎官 派遣을 要請하고 1893年 3月 에는 海軍學校 設置令을 頒布하였다. 統制영학당 은 只今의 大韓民國 仁川廣域市 江華郡 강화읍 갑곶리에 세워진 것으로 推定된다. 1893年 9月부터는 15歲 以上과 20歲 以下의 生徒 382名과 水兵 3,000餘 名을 募集하여 正式 開校 後 허치슨(W. du F. Hutchison)에게서 英語敎育을 받기 始作하였고, 한便 英國政府에서는 1893年 6月 海軍 敎官 派遣을 承認하였고 이에 따라 軍事敎官人 콜웰(W. H. Callwell)大尉와 助敎 커티스(J. W. Curtis)下士를 派遣하여 이듬해 4月부터 이들에 依해 本格的인 軍事訓鍊이 始作하였다.

軍艦 으로는 兩廡號 (揚武號)와 狂題號 (廣濟號)가 있었다.

歷史 [ 編輯 ]

大韓帝國 個國 以前의 朝鮮軍은 大院君이 執權할 當時에 約 16,000名의 規模의 中央軍을 가진 微弱한 軍隊였으며, 大部分의 兵力이 訓鍊이 缺如되었고 折半 以上의 人員이 老弱者로 構成되어 있었다 [1] 이러한 狀況을 克服하기 위해 大院君은 火藥武器를 다루는 포군(砲軍)을 增强하는 政策을 採擇하게 되고, 特히 江華有數部(江華留守府)를 鎭撫營(鎭撫營)으로 改編하는 等 地方軍의 强化를 꾀하였다.

또 西洋의 近代式 軍艦들의 出沒로 因한 數次例의 亂을 겪었던 高宗은 海岸 包袋를 强化함으로써 이를 克服하려 하였다. 1873年 흥선大院君 이 失脚하고 高宗의 親政 體制가 이루어지자 高宗 은 가장 먼저 親衛部隊人 武衛所(武衛所)를 設置하여 그의 親政體制를 鞏固히 하려하였다. 1876年과 1880年에 高宗은 日本에 修信使(修信使)를 派遣하여 日本帝國 의 新式軍制와 武器 및 技術들을 배우려 하였으며, 淸國에는 1879年에 新式 武器 購入을 要請하였고 兩國間 軍事支援에 關聯된 條約을 亦是 締結하였다.

甲午改革 直後 朝鮮의 軍隊는 새롭게 만들어진 訓鍊隊와 解體된 旣存 軍營의 軍士들을 모아 臨時로 編成한 新設對가 唯一했으며 그나마 서울에만 있었고 地方은 無防備 狀態였다. 德分에 乙未義兵이 일어났을 때 이를 制御할 軍隊가 없었다. 當時 김홍집 內閣이 地方에 새로 만든 軍隊를 配置한다는 構想 程度가 있었고, 實際로 乙未改革 當時 平壤 等地에 訓鍊隊 大隊를 두었다. 김흥집 內閣은 大韓帝國軍에 꽤나 큰 돈을 投資하였다. 無慮 74萬餘 원을 投資하였는데, 當時 390萬원 程度였다는 것을 勘案한다면, 매우 큰 金額이다. 第1 訓鍊對備로 210,795원, 第2 地方對比로 50,713원을 支出하였다. 또한 豫算 外로 554,276원 17錢을 使用하였다. [2] 하지만, 俄館播遷 으로 金弘集 內閣이 무너지면서 이는 제대로 始作도 하지 못하고 中斷되고 만다.

以後 帝政 러시아 顧問團의 支援을 받아 示威隊가 다시 만들어지고 地方에는 解散된 舊式軍隊의 兵士들을 臨時로 編成한 地方大와 鎭衛隊 가 만들어진다. 또한 將校들을 養成하기 위한 敎育機關도 만들어졌다. 1896年부터 1909年까지 陸軍 將校를 養成하는 陸軍武官學校 와 1893年부터 1896年까지 海軍 將校를 養成하는 統制영학당 이 存在했었다.

以後 漸次 그럴듯한 모습을 갖춰가면서 濟州에도 鎭衛隊가 設置되고 漢城에는 陸軍法院과 病院까지 만들어진다.

1899年(光武 3年)에는 最高統帥機構인 元帥府 와 參謀本部人 參謀部가 開設되어 近代 軍 統帥機構가 導入되었다. 元帥府 傘下에는 軍務局, 검사국, 記錄局, 會計局이 設置되었으며 憲兵 司令部가 元帥府 直屬으로 設置되었다. 또 皇帝 의 近接警護를 맡는 警護室 隔意 扈衛隊가 創設되었는데, 元帥府 軍務局 總長이 扈衛大將을 兼任하였다.

初期엔 中央軍을 構成하고 地方軍을 中央軍과 비슷한 編制로 고쳐나갔는데 編制上 1901年에 18,378名 規模였다. 實際로 1897年에는 中央軍인 示威隊 가 藥 2,600名, 地方의 鎭衛隊 는 7千 名 水準이었다. 1904年 前까지는 中央軍인 示威隊와 親衛隊 의 規模가 各各 5,700餘名과 4,840名에 이르렀으며 地方軍은 都合 18,000名이였다. 1905年부터는 러일戰爭 이 끝나고 日本의 입김이 剛해지면서 軍縮이 이뤄져 示威隊는 2,513名으로 縮小되고 親衛隊 는 廢止되었다. 當時 地方軍인 鎭衛隊 는 4,438名 水準이었다. 卽, 中央宮과 地方軍을 합쳐 7,000名 水準이었다. 1907年엔 다시 軍制改革이 이뤄져 中央軍이 改編되면서 늘어나 4,215名이 됐지만 鎭衛隊는 4,305名이었다. 人員變化는 그리 크지 않은 것 같지만 日本은 南部의 兵力을 北部로 이동시키는 等 中國을 對備한 植民化 作業에 들어갔다.

1899年 廳에서 義和團 運動 이 일어나 大韓帝國 내 平安道 咸鏡道에도 義和團과 靑軍 匪賊이 쳐들어와 大大的으로 掠奪하는 事例가 發生한다. 當時 列强 8個國이 參戰하였고 大韓帝國軍은 軍勢가 劣惡하고 國內에 侵入한 義和團을 막기에도 벅찬 關係로 參戰을 拒否했다.

時間이 흘러 義和團 運動 에서 聯合軍의 勝戰이 確實해지자 高宗이 直接 뒤늦게 日本 公使를 통해 參戰 意思를 披瀝했으나, 日本 公使는 大韓帝國軍의 電力까지 必要한 程度는 아니라며 拒絶했다. 日本 公使는 本國으로 보내는 電文에서 이러한 일의 顚末을 傳하면서 "우스운 일이다."라며 高宗을 비웃었다.

特히 義和團 運動 으로 淸나라 가 弱해지고 러시아帝國 이 大兵을 이끌고 滿洲 一帶를 軍事的으로 掌握했을 때, 肝도 의 韓國人들은 이것을 好機로 여기고 便服을 벗고 韓服으로 바꿔 입으면서 大韓帝國 政府에게 保護를 請했다. 1901年, 大韓帝國 政府는 間島에 對한 行政權을 펴기 위한 態勢를 갖췄고, 1902年 5月 22日 當時 46歲였던 이범윤 을 北間島視察로 任命해 大韓帝國軍을 間島地域으로 派遣한다. [3]

大韓帝國軍 鎭衛隊는 1905年 以後 義兵 大將 원용팔(元容八)을 逮捕한 것을 비롯하여 江陵·丹陽·醴泉의 義兵을 逮捕하거나 義兵을 鎭壓하기 위해 出動하였다. 乙巳條約 으로 國權을 잃은 後 鎭衛隊는 오히려 國權을 回復하기 위한 義兵運動을 鎭壓한 것이다. 南大門 戰鬪 以後 日帝에 依해 解散당한 大韓帝國軍 가운데 最大 550餘名이 西小門을 통해 脫出한 것으로 推定되며, 一部는 정미의病에 參加하였다.

示威隊는 1907年 8月 1日에 解散되었다. 示威隊 1聯隊 1大隊長이었던 朴勝煥 이 이 일로 自決하고 解散에 反對한 2個 大隊는 日本軍에 맞서 南大門 戰鬪 를 展開하였으나 日本軍에 依해 鎭壓당하였다. 强制 解散 以後 2聯隊 2大隊와 騎兵隊臺 一部는 朝鮮步兵隊와 朝鮮騎兵隊가 되어 황실근位를 맡았고 以後 朝鮮騎兵隊는 1913年에, 朝鮮步兵隊는 1931年에 解體되었다. 1931年 解體 當時 約 200名의 人員이 남았고 이들은 日本軍 憲兵補助員 [4] 과 巡査補助員이 되었다.

1900年 韓人들은 요시카즈團 事變 以後 16萬名의 大軍을 利用해 滿洲 一帶를 軍事的으로 占領한 러시아帝國 의 勢力을 利用하여 間島의 現 바이샨視 퉁궈현 等地에 駐屯하고 있던 郡과 地方官吏들을 逐出하고 이 地域을 大體的으로 掌握하는데 成功했으며 이를 두고 淸나라 와 다투었다.

1904年 1月부터 4月까지 벌어진 兩側의 戰鬪로 인해 韓人들의 被害가 續出하였고 靑 側 邊境 地方官은 駐韓淸國公使館을 통해 韓國 政府에 抗議했으며 大韓帝國 外部도 이에 따라 李範允의 召喚 및 處罰을 要請하였으며, 邊戒警務소나 鎭衛隊 또한 鑑戒會談의 必要性을 切感하고 靑 側과 減髻를 推進하게 되나 그 過程에서 러일戰爭 以後 間島 問題에 介入하려던 日本이 淸의 首席軍機大臣 慶親王 이쾅에게 北間島에서 러日間의 交戰이 發生할 수 있다는 理由로 交涉 中斷을 要請하면서 霧散되었다.

6月 邊戒警務官 최남륭, 김병약, 鎭衛隊 陸軍參領 김명환은 延吉請 및 길强軍 官吏들과 변계선後場情이라는 藥欌을 締結하여 李範允의 召喚과 現狀維持(豆滿江을 暫定的인 國境으로 維持 等)를 合意하게 된다. 以後 國境 問題는 間島協約 으로 解決하게 된다.

軍服 [ 編輯 ]

朝鮮은 1895年 처음 軍服을 導入하였고, 總 8番 服裝 規則에 變化가 있었다. [5] 1895年에는 正裝, 軍將, 藝場, 上場으로 服裝들을 나눴고, 하복과 햇빛가리개, 外套 等 특정한 季節에 必要한 服飾의 着用法에 對해서 提示하였다. 以後 1897年에는 조그마한 改正事項들이 있었다. 以前에는 上場을 이루는 아이템들의 正義가 없었지만, 생겼다. [6]

1895年에는 正裝, 軍將, 藝場, 上場으로 服裝들을 나눴고, 하복과 햇빛가리개, 外套 等 특정한 季節에 必要한 服飾의 着用法에 對해서 提示하였다. 以後 1897年에는 조그마한 改正事項들이 있었다. 以前에는 上場을 이루는 아이템들의 正義가 없었지만, 이때 생겼다. [7]

1895年 실린 服裝 아이템은 母子, 相議, 바지, 外套, 칼, 情緖, 食代, 肩章, 마장이었다. 帽子는 黑色 絨으로 製作되었고, 母子의 앞面 中央에는 銀色의 이화장과 金色의 쇠사슬이 달려 있으며, 黑色 가죽의 턱끈이 있었다. 長官(將星級)과 領官(領官級)은 銀色 별을 이화장 위에 追加하였다. 上衣는 黑色 毛織物로 만들어졌고, 단추는 銀色이고, 무늬가 없으며 首長은 금선과 銀色의 太極이 配置되었다. 금선은 長官이 3줄, 領官이 2줄, 尉官이 1줄이며 長官 中에서 大將은 太極이 3個, 中將은 2個, 所長은 1個이며 領官과 位官道 마찬가지였다. [8]

바지의 材質은 帽子와 같은 黑色 융이며, 赤色 絨으로 줄을 다는데 長官이 3줄, 領官이 2줄, 尉官이 1줄이다. 外套의 才質도 黑色 융이며 단추도 上衣와 같은 銀色 無知이다. 首長은 銀色 별을 長官이 3個, 領官이 2個, 尉官이 1個 달았다. [8] 칼은 長官의 境遇 칼가루 金屬 部分에 오얏잎을 새기고, 領官은 칼가루 위쪽에만 새긴다. 칼에 裝飾하는 圖書는 黑色犬으로 만들었다. 食代는 長官이 赤色 띠에 銀色 술, 領官이 赤色 띠에 紫色 술을 달며 尉官은 모두 赤色이었다. 肩章은 바탕이 金色이고, 長官은 銀色 테두리가 있다. 大將은 銀色 별이 3個, 中將은 2個, 所長은 1個이며 領官과 位官道 이에 準한다. 마장은 長官이 齦宣 臺/소 2줄을 달며, 領官이 赤色 융 선 對 소를 달았다. 以後 1897年 5月, 陸軍將卒服裝祭式이 規定되었다. [8]

이때에 정某가 생겼는데, 正帽는 階級에 있어 將校만 着用할 수 있었다. 정某의 形態는 圓筒形으로 頂수리를 包含한 上半部와 下半部로 나뉘는데 上半部는 黑色 융, 下半部는 紅色 융, 테두리는 黑色 가죽이다. 母子 頂수리에는 紅色에 金色으로 가장 자리를 두른 이화장을 附着하고 帽子 下半部에 兩股職의 裝飾을 더하였다. 상모는 將校와 下士 以下 모두 着用할 수 있었다. 形態와 材質이 정某와 同一한데, 정某에는 量庫直 금선이었던 黑色 실로 만든 扁平한 끈으로 하는 것이 特徵이다. 臺禮意는 黑色 絨으로 製作되었으며, 매듭단추 여밈이다. 상의는 形態와 大禮義와 同一하나 色相은 순목色이다.

宜寧腸이 없으며 首長은 黑色 실로 만든 끈이다. 바지는 黑色 絨으로 만들며 바지 側面에 封章을 두는데 封章은 階級과 各 兵科를 나타냈다. [8] 選의 너비와 두는 個數에 따라 階級 差異가 있는데, 長官은 너비 7分으로 2줄이며 그사이 3分 1줄을 두었다. 領官은 7分 2줄, 尉官 以下는 1줄이다. 尉官은 너비 1寸, 下士는 너비 6分, 兵卒은 너비 3分이다. 封章의 色相은 基本的으로 紅色으로 하나 騎兵은 綠色, 砲兵은 黃色, 空壁은 紫色, 軍士는 靑色, 軍醫는 玉色으로 하였다. 이 色相의 差異는 帽子와 上衣 規定에서 紅色으로 規定된 各 部分에도 適用됐었을 確率이 높다. 大禮肩章은 金色 실로 만든 長班型과 楕圓形을 합쳐서 만든 模樣으로 長方形 部分에 鍍金을 한 金屬製 이화 단추 1個를 단다. 大禮肩章은 階級 標示에 있어 楕圓形 아래 다는 술의 有無와 붙이는 階級章에 따라 달라진다. 小禮肩章은 紅色 융과 金色 線으로 만든 長方形이며 가운데에 두는 標章은 大禮肩章과 同一하다. 外套는 黑色 융 제질로 銀色 단추를 달았다. 칼은 손잡이에 鍍金한 근화 잎과 앞뒤面 正中央에 太極을 彫刻한다.

근화 잎은 長官은 全體에 조각을 넣고 領官은 半만 넣으며 尉官은 3分의 1萬 넣는다. 度臺는 長官의 境遇 金絲로 짠것을 썼고, 領官과 尉官은 모두 黑色 가죽을 썼다. [8] 以後 1900年 7月 다시 한番 部分改正되었다. 臺禮意는 才質이 以前과 同一한 黑色 융이나, 더블 브레스티드 型테로 바뀌었다. 상의는 形態와 第質이 大禮義와 同一하나 宜寧張은 없다. 大禮肩章은 移轉 時期와 形式은 同一하나 階級을 나타내는 文樣에 있어서 差異가 있는데 移轉 時期는 별, 화살 文樣으로 階級의 差異를 두었다면, 이 時期에는 화살 文樣이 省略되고 別 文樣만 使用되었다. 그리고 이는 軍隊解散 移轉인 1907年까지 維持되었다. [8] 以後 1907年 10月, 軍服 改正은 日本帝國에 依해 다시 한番 이루어졌다. 이때 示威連帶 第 2大隊를 除外한 모든 部隊가 解散되었기 때문에, 示威連帶 第 2大隊에만 適用되었다. 이때 가장 큰 變化는 黑色에서 茶褐色이 되었고, 上의 가슴과 허리部分에 주머니가 생겼다. [8]

武器 [ 編輯 ]

江華島 條約 以後 1883年에는 유럽과 美國, 淸나라, 日本에서 小銃, 大砲, 機關銃과 같은 現代式 武器가 輸入되었다.

小銃 [ 編輯 ]

拳銃 [ 編輯 ]

火砲 [ 編輯 ]

軍檢 [ 編輯 ]

階級 [ 編輯 ]

肩章 大韓帝國 階級 現在 軍階級
軍官 大元帥 國家元首
副元帥 怨讐
大將 大將
部長 中將
參將 所長
精靈 大領
富寧 中領
參領 少領
定位 大尉
部位 中尉
參尉 所謂
士官 特務正校 主任元士
精巧 上司
副校 中士
參校 下士
士兵 上等卒 上等兵
一等卒 一等兵
이등卒 二等兵

各州 [ 編輯 ]

  1. 國防部, 韓末 軍 近代化 硏究 ,軍史編纂硏究所,2005,p.33.
  2. 駐韓日本公使關 文書. “(8) [歲入歲出現況]” . 2022年 7月 19日에 確認함 .  
  3. http://sillok.history.go.kr/id/kza_14008011_001
  4. 한때 抗日 鬪爭에 直接 參加했던 이들조차 憲兵補助員이 되곤 했다. 勿論 機會主義者들도 있었으며, 相當數는 强制竝呑 後 日本의 앞잡이로 完全히 轉落하고 말았다.
  5. 이, 輕微 (2018). “大韓帝國期 陸軍 服裝 法令의 時期別 變化 ; A Study on the Time-Specific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 in Daehan Empire” . 서울대학교 奎章閣韓國學硏究院: 478-479.  
  6. 이, 輕微 (2018). “大韓帝國期 陸軍 服裝 法令의 時期別 變化 ; A Study on the Time-Specific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 in Daehan Empire” . 서울대학교 奎章閣韓國學硏究院: 479-481.  
  7. 이, 輕微 (2018). “大韓帝國期 陸軍 服裝 法令의 時期別 變化 ; A Study on the Time-Specific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 in Daehan Empire” . 서울대학교 奎章閣韓國學硏究院: 478-483.  
  8. 이, 輕微 (2018). “大韓帝國期 陸軍 服裝 法令의 時期別 變化 ; A Study on the Time-Specific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 in Daehan Empire” . 서울대학교 奎章閣韓國學硏究院: 484-510.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