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갈피 속의 오늘]1993年 詩人 金光均 死亡|東亞日報

[冊갈피 속의 오늘]1993年 詩人 金光均 死亡

  • 入力 2005年 11月 23日 03時 05分


코멘트
‘와사등(瓦斯燈)’의 詩人 金光均.

그는 우리 現代詩史(詩史)의 건널목이었다. 우리 現代詩에 이미지즘의 새로운 文法을 선보였다. ‘詩라고 불리는 音樂’을 繪畫的 色彩로 짙게 물들였다. “1930年代 우리 詩의 現代的 感受性을 한 段階 끌어올렸다.”

그는 ‘소리조차를 模樣으로 飜譯하는 奇異한 재주를 가진 詩人’(金起林)이었다. 그를 만나고서야 우리는 귀로 듣는 鐘소리를 ‘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鐘소리’로 보게 되었다.

고흐의 ‘數次(水車)가 있는 駕轎’를 처음 接하고 “두 눈알이 빠지는 것 같은 感動을 느꼈다”는 是認. 그는 繪畫에 沒頭했다. 소리를 嫌惡했다. 그의 ‘外人村(外人村)’에선 아예 소리가 存在하지 않는다. 그곳의 時計는 열 時가 되어도 소리를 내지 않는다. 다만 ‘여윈 손길을 저어’ 視角을 가리킬 뿐.

“自然의 風景이 아니라 精神의 風景! 農耕生活이 아니라 都市生活! 音樂이 아니라 繪畫!” 그게 ‘現代를 뚫고 나갈 呼吸’이었다. 都市的 感覺의 視覺的 이미지야말로 그가 平生 간직한 詩的 本領이었다.

그는 “詩는 恒時 그 時代의 거울”이라고 말하곤 했다.

그러나 그의 詩에서 現實은 ‘먼 風景’으로 그려질 뿐이다. 그는 時代의 거울보다는 ‘內面의 거울’을 重視했다. 사라지는 것, 稀微해져 가는 것, 여위어 가는 것을 마주하며 그의 詩는 過去의 時間에 젖어 있었다.

그의 詩가 이렇듯 限없이 무른 속살을 가진 哀傷的인 詩가 된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는 우리 모더니즘이 亞流로 轉落한 것에 對해 이렇게 썼다. “文明을 監修(感受)하는 데 그쳤을 뿐, 이것을 克服하는 努力에 無力하였으니 그게 모더니즘의 敗色을 가져온 原因이다.” 그의 詩 또한 例外가 아니었다.

光復機에 그는 事業家로 變身한다. 그리고 오랫동안 成功한 事業家로 남았다. “現代詩의 ‘맏兄’ 格인 T S 엘리엇이 銀行員으로서도 훌륭했다더니 金光均이야말로 韓國의 엘리엇이 아닌가?”(구상)

1989年 生涯 마지막 詩集이 된 ‘임진화’를 펴내면서 “죽은 後에도 詩人으로 불러 달라”고 當付했으나 그는 “詩를 쓴다는 것이 이미 부질없고나!”라고 자주 歎息하곤 했다.

“詩를 믿고 어떻게 살아가나/서른 먹은 사내가 하나 잠을 못 잔다./…무수한 손에 뺨을 얻어맞으며/항시 곤두박질해온 生活의 노래/…먹고 산다는 것./너는 언제까지 나를 쫓아오느냐….”(‘魯迅’)

이기우 文化專門記者 keywo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