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化가 흐르는 漢字]黨同伐異(黨同伐異)|東亞日報

[文化가 흐르는 漢字]黨同伐異(黨同伐異)

  • 入力 2001年 7月 22日 18時 23分


黨-無理 黨 伐-칠 벌 類-같을 流

嫉-미워할 質 甕-獨 翁 默-潛潛할 물

類類相從(類類相從)은 ‘끼리끼리 어울린다’는 뜻이다. 알고 보면 森羅萬象(森羅萬象)에 類類相從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 中에서도 特히 人間은 더 知能的이며 甚하다. 온갖 모임을 만들어 親睦을 다진다. 人間이 社會的인 動物이라 함은 바로 類類相從을 두고 한 말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類類相從은 人類文化를 創造하는 데 肯定的으로 寄與했다고도 볼 수 있다.

漢字에서 ‘무리’를 뜻하는 ‘黨’ 亦是 類類相從의 結果로 나온 글字다. 곧 黨은 尙(上)과 黑(흑)의 結合이다. 黑은 冠(棺, 官職)을 쓰지 않은 ‘검은 머리’(一般 百姓)를 가리키며 尙은 ‘崇尙하다’, ‘떠받들다’는 뜻이다. 곧 많은 사람이 한 사람을 中心으로 뭉쳐 있다는 뜻이다. 그런 무리가 政治的인 目的으로 뭉친 것을 政黨이라고 하거니와 이 또한 類類相從의 典型的인 例가 아닌가.

이렇게 같은 部類끼리 모이는 것은 初期의 人類가 猛獸나 毒蟲 等으로부터 自身을 保護하기 위한 本能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그 自體야 나쁠 것이 없다. 하지만 自身들의 利益을 爲해 排他性(排他性)을 띤다든지 뜻을 달리하는 集團에 對해서는 極度의 敵意(敵의)를 가지고 對한다면 바람직한 類類相從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런 例는 特히 政黨에서 種種 찾아 볼 수 있는데 그럴 때 우리는 그런 政黨을 派黨(파당)이나 徒黨(都堂)이라고 부른다.

韓中 兩國의 歷史에서 그런 例는 數없이 많다. 이른바 黨爭이 그것이다. 宋나라 仁宗 때는 黨爭이 極에 達했다. 나라는 생각하지 않고 集團의 利益만 固執한 나머지 謀陷과 嫉視(疾視)가 판을 쳤다. 當時 危機를 느낀 歐陽修(歐陽脩)가 글을 올렸다. 有名한 朋黨論(朋黨論)이다. 그는 여기서 黨爭(黨爭)의 弊端이 亡國으로까지 連結될 수 있음을 史例(事例)를 들어 强調하고 있다.

우리의 境遇는 어떤가. 끼리끼리 똘똘 뭉쳐 鐵甕城(鐵甕城)을 쌓고는 集團의 利益만을 위해 다른 무리들을 排斥하는가 하면 甚한 境遇, 아예 除去하는 境遇도 많았다. 各種 士禍(士禍)가 그것을 말해준다. 自身의 主張을 貫徹하기 위해서는 手段과 方法을 가리지 않으며 相對方의 主張은 理由不問하고 反對, 默殺(默殺)해 버린다.

이처럼 彼我의 區別을 分明히 하고 나와 다른(異己) 見解는 아예 싹을 잘라 버리는 것을 黨同伐異라고 한다. 여기에는 折衝과 妥協이 있을 수 없다. 勿論 좋은 現象이라고는 할 수 없다.

鄭錫元(한양대 安山캠퍼스 敎授·中國文化)sw478@yahoo.co.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