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共存 資本主義’에서 길을 찾다] <5>智異山高의 나눔敎育, 幸福한 나비效果|東亞日報 </5>

[‘共存 資本主義’에서 길을 찾다] <5>智異山高의 나눔敎育, 幸福한 나비效果

  • Array
  • 入力 2012年 1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學校가 變하자 애들이 變했다… 마을도 變했다

《 지난해 12月 19日, 동아일보는 서울 陽川區의 한 初等學校를 찾아 6學年 學生 110名을 對象으로 ‘나눔’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設問調査를 했다. “스스로 찾아서 奉仕活動을 해본 적이 있느냐”는 質問에 全體 學生의 63%(70名)가 “없다”고 答했다. “왜 奉仕活動을 하지 않았느냐”고 理由를 묻는 細部 質問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方法을 몰라서’라는 答辯이 42名으로 가장 많았다. 體系的인 敎育이 必要하다고 느껴지는 대목이다. 이 밖에도 △해야 하는 理由를 모르겠다(10명) △내가 안 해도 다른 누군가가 할 것 같다(10명) △귀찮고 하기 싫다(4명)는 答辯도 나왔다. 107名이 돈을 寄附한 經驗이 있다고 對答했지만 只今까지 寄附한 總額은 1人當 平均 1萬8000원에 그쳤다. 또 스스로 마련하기보다는 父母의 紙匣에서 나온 境遇(67名)가 많았다. “나중에 돈을 벌게 되면 나눌 생각이 있느냐”는 質問에 27名이 “없다”고 했다. 》
“이 아가들 없으면 어찌 살까 몰라.” 지난해 12월 28일 경남 산청군 단성면의 노인회관에서 학생들이 할머니들의 어깨와 다리를 주무르고 있다. 지리산고 학생들은 매일 점심시간에 틈을 내 봉사활동을 한다. 산청=최재호 기자 choijh92@donga.com
“이 아가들 없으면 어찌 살까 몰라.” 지난해 12月 28日 慶南 山淸郡 단성면의 老人會館에서 學生들이 할머니들의 어깨와 다리를 주무르고 있다. 智異山高 學生들은 每日 點心時間에 틈을 내 奉仕活動을 한다. 山淸=최재호 記者 choijh92@donga.com
自身이 가진 것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行爲는 共存資本主義를 構成하는 核心 要素 中 하나다. 하지만 나눔 文化가 社會 全般에 퍼지는 것은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니다. 社會 構成員들이 周邊을 돌아보고 내 利益만이 아닌 ‘우리’의 利益을 함께 苦悶하는 것이 어릴 때부터 習慣처럼 돼 있어야 한다. ‘나눔 敎育’이 重要한 理由다.

○ 學校, 나눔을 가르치다


“모여 웃고 떠드는 同窓會 말고 차라리 모여서 이웃을 도왔으면 좋겠습니다.”

2007年 1月 慶南 山淸郡 단성면의 智異山高 卒業式場. 박해성 校長은 卒業生들에게 ‘나눔 活動’을 提案했다. “無條件 工夫만 잘해 서울대에 가는 것보다 自己 形便이 어려워도 나눌 줄 아는 姿勢를 갖는 게 重要하다. 그런 學生들이 우리 社會의 指導者로 커나가야 따뜻한 社會가 될 것”이라는 말과 함께였다.

처음에는 期待가 컸다. 卒業하고 몇 달은 奉仕活動이나 寄附에 意欲的인 學生들이 많이 보였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20年 가까이 ‘나’만 생각하며 살던 學生들이 하루아침에 變하기는 쉽지 않았다. ‘뭔가 方法이 없을까….’

苦悶 끝에 2008年부터는 1學年부터 3學年까지 全校生이 參與하는 △點心 奉仕 △每週 木曜日 7, 8校時 地域奉仕 △이웃사랑나눔회 等을 통해 積極的으로 나눔을 가르치기 始作했다. 每年 修學旅行 때는 쌀 200kg을 모아 靑少年쉼터와 無料給食센터에 寄附하는 行事를 연다.

美國의 非營利硏究機關인 인디펜던트 섹터의 硏究에 따르면 兒童靑少年期에 奉仕와 나눔의 經驗이 있는 사람의 66.8%가 成人이 돼서도 奉仕에 參與한 것으로 나타났다. 全혀 나눔의 經驗이 없는 사람이 成人이 돼 나눔을 實踐한 境遇는 33.2%에 不過하다. 朴 校長이 學校에서 나눔을 가르치게 된 것은 이런 效果를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 學生, 나눔을 實踐하다


“大學校에 가서도, 職場을 다녀도 奉仕活動은 繼續할 생각이에요. 저도 제가 變한 게 神奇해요.”

박종휘 軍(18)은 벌써 2年째 꼬박 點心奉仕에 參與해 學校에서 ‘奉仕大將’으로 통한다. 하지만 朴 君 亦是 入學 前에는 奉仕活動에 關心 없던 平凡한 男學生이었다. 奉仕擔當 敎師가 學生들이 參與할 수 있는 奉仕 프로그램을 說明해줬을 때 ‘이런 일도 있구나’하고 처음 알게 됐다. 親한 先輩들을 따라 奉仕 現場에 구경 한番 가보고 나서는 本格的으로 點心奉仕에 參與하게 됐다.

이 學校 1學年 李意志 量(17)은 글字가 빼곡히 적힌 A4 종이 한 張을 내밀었다. 이 量이 作成한 ‘나눔 活動計劃과 誓約書’였다. 지리産苦는 ‘이웃사랑나눔회’라는 모임을 運營한다. 參與하는 學生들은 單純히 福祉財團이나 施設에 돈을 寄附하거나 奉仕活動을 하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直接 活動計劃을 세우고 月 1000원 以上 寄附할 後援者를 모은다. 이렇게 모인 돈은 홀몸老人에게 쌀과 飯饌을 사다주거나 形便이 어려운 中學生들의 學用品을 사주는 데 쓴다. 使用明細는 後援者들에게 透明하게 公開된다. 이 孃은 지난해 10月부터 後援者들을 모으기 始作했는데 父母님과 할아버지, 姨母는 勿論 寄附에 全혀 關心 없던 親舊들까지 說得해 벌써 20名이나 모았다. 將來希望度 ‘社會福祉士’로 定했다.

○ 마을, 나눔에 同參하다


智異山高 全校生은 每週 木曜日 7校時마다 14個 組로 나뉘어 地域奉仕에 나선다. 한센病 福祉센터人 誠心院, 홀몸老人 쉼터인 山淸실버그룹홈 等 各各 定해진 福祉施設로 흩어져 奉仕活動을 한다. 社會福祉 施設을 찾는 것 外에 洞네 할머니집에 찾아가 집을 淸掃하거나 農事일을 거들기도 한다.

지난해 12月 28日 奉仕가 있던 날도 한 組에 屬한 다섯 名의 아이들은 이웃 할머니집의 말라버린 고추나무 뽑는 일을 課題로 받았다. 추운 날씨에 고추나무를 흔들어 뽑고 뿌리에 묻은 흙을 털어 가지런히 쌓았다. 아이들의 도움으로 20坪(66m²) 남짓한 고추밭은 1時間도 안 돼 깨끗해졌다. 老人 혼자 힘으로는 하루가 꼬박 걸렸을 일이다.

學生들이 變하니 마을도 變했다. 처음에는 ‘몇 番 하다 말겠지’ 하고 무심하게 보던 老人들도 形便이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보태고 싶다며 조금씩 돈을 걷기 始作했다. 이 學校는 700餘 名의 後援金으로 完全 無償敎育을 하는데, 이 中 隣近 住民들의 後援 額數도 꽤 된다. 老人會가 奬學金을 내놓는 것은 勿論이고 農事짓는 住民들이 學生들의 點心食事를 위해 農産物을 가져오기 始作했다. 記者가 찾아간 날도 點心 間食으로 住民이 寄附한 딸기가 나왔다.

○ 學校와 家庭에서 함께해야


地域社會로 나눔을 傳播하는 智異山故意 ‘幸福한 나비效果’가 좀 더 퍼지면 成長 一邊倒의 그늘에서 惠澤 받지 못한 疏外階層에 다시 일어설 機會를 주는 觸媒가 될 수 있다. 專門家들은 “나눔敎育은 學校와 家庭에서 竝行돼야 效果的”이라고 强調한다. 學校에서는 敎師들이 ‘나눔클럽’을 만들어 아이들을 참여시킬 수 있다. 智異山故意 ‘이웃사랑나눔회’가 좋은 例다.

美國의 非營利組織인 ‘러닝 套 기브(www.learningtogive.org)’는 홈페이지에 幼稚園生에서 高等學生까지 나이에 맞게 나눔교육을 할 수 있는 授業案을 올려놓고, 나눔敎育에 關心 있는 敎師 等에게 活用하게 했다. 國內에서는 社會福祉共同募金會가 다양한 나눔敎育 敎材를 홈페이지(www.chest.or.kr)에 無料로 올려놓았다.

學校에서 따로 나눔교육을 施行하기 쉽지 않은 境遇에는 非營利財團과 連繫해 아이들의 나눔교육을 할 수 있다. 굿네이버스는 初等學校와 連繫해 ‘한 學級 한 兒童 結緣’ 나눔을 한다. 굿네이버스를 통해 한 學級이 每달 3萬 원을 十匙一飯으로 모아 海外貧困兒童 한 名을 돕는 式이다.

나눔 意識을 키우는 데는 父母의 役割도 重要하다. 권연재 아름다운재단 幹事는 “아이가 아주 어릴 때부터 첫 걸음마 나눔, 돌 記念 나눔, 入學 나눔 等을 통해 나눔에 對해 함께 苦悶하고 實踐할 수 있다”고 助言했다. 父母도 아이들에게 一方的으로 强要하기보다는 즐기면서 나눔에 함께 參與하는 것이 좋다. 父母의 昇進이나 結婚記念日처럼 좋은 날, 若干의 돈을 寄附하거나 奉仕活動에 나서는 것은 어떨까. ‘家族決然’ 形式으로 貧困兒童이나 社會福祉施設을 後援하는 것도 좋은 方法이다.

山淸=張善禧 記者 sun10@donga.com  
▼ 靑少年 10名中 6名 “寄附 왜 해야 하나요” ▼


“빌 게이츠요? 그 사람은 그냥 돈이 많으니까 그렇죠. 저는 率直히 왜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는데….” 지난해 末 나눔에 關한 設問調査를 進行하며 만났던 初等學生의 말이다.

統計廳이 지난해 11月 全國 滿 13歲 以上 約 3萬8000名을 對象으로 調査한 社會調査 統計에 따르면 우리나라 13∼19歲 靑少年 가운데 지난 1年間 寄附를 해본 적이 있는 學生은 10名 中 4名假量에 不過했다. 10代의 58.9%가 지난 1年間 한 番도 寄附를 해본 經驗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도 現金을 寄附해본 적이 있는 10代 가운데 90.7%는 一回性 寄附에 그쳤다. 向後 寄附 意向을 묻는 質問에도 10代의 50.8%가 ‘없다’고 했다. 寄附를 하지 않은 理由로는 ‘經濟的 餘裕가 없어서’(43.0%)라는 對答이 가장 많았다. ‘寄附에 對한 關心이 없어서’라는 答辯은 24.9%로 全 年齡帶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밖에 △寄附 方法을 몰라서(11.9%) △직접的인 要請을 받은 적이 없어서(13.4%)라는 應答도 있었다.

寄附를 하는 ‘理由’에 對한 答辯도 눈에 띈다. 10代의 折半 以上인 56.4%는 ‘寄附團體나 職場 等의 要請을 받아서’ 寄附한다는 答辯이 第一 많았다.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라는 答辯은 30.8%, ‘地域社會나 國家에 寄與하고 싶어서’라는 答辯은 2.0%에 그쳤다.

寄附文化 擴散을 위해 必要한 것으로는 ‘社會指導層과 富裕層의 模範的 寄附 增大’(48.2%)라는 答이 가장 많았고, ‘나눔 敎育과 나눔에 對한 認識 改善이 必要하다’는 答이 23.6%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張善禧 記者 sun1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