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邱/慶北]慶北航空高 特性化로 날아오르다|동아일보

[大邱/慶北]慶北航空高 特性化로 날아오르다

  • Array
  • 入力 2010年 3月 31日 03時 00分


코멘트

空軍 中將出身 校長으로 招聘
올해 入學競爭率 2.4 對 1

F-5戰鬪機 等 4臺로 實習
最高의 航空整備士 꿈 꿔

경북항공고 최창원 교사가 교내 항공실습장에서 항공정비과 학생들에게 F-5 전투기 내부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이권효 기자
慶北航空高 최창원 敎師가 校內 航空實習場에서 航空整備과 學生들에게 F-5 戰鬪機 內部 構造를 說明하고 있다. 이권효 記者
“戰鬪機 內部가 눈이 어지러울 程度로 複雜하지? 그래도 整備의 基本은 볼트 너트부터 正確하게 조이려는 마음가짐이야.” 最近 記者가 訪問한 慶北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慶北航空高校. 이 高校 航空整備實習場(1300m²·藥 390坪)에서 최창원 敎師(49)가 F-5 戰鬪機를 살펴보며 學生들에게 航空整備 敎育을 하고 있었다. 崔 敎師는 “航空機는 最高의 整備技術이 必要하므로 조금의 放心도 許容되지 않는다”고 學生들에게 强調했다. 지난해 4月 門을 연 이 實習長에는 實際 戰鬪機와 세스나기 等 航空機 4臺가 있다.

慶北項公告가 航空整備 特性化 學校로 變身한 지 3年 만에 名門高로 ‘날아오르고’ 있다. 시골에 位置해 있지만 지난해 全國 111個 中學校 卒業生 188名이 支援한 데 이어 올해는 189個 中學校에서 283名이 支援해 2.4 對 1의 競爭率을 보였다. 1954年 풍기고로 開校한 以後 迂餘曲折 끝에 航空特性化로 새로운 길을 찾은 것이다.

1995年 風紀工業高로, 2001年에는 榮州科學技術故로 校名을 바꾸면서 活路를 摸索하다 2006年 航空整備를 中心으로 경북도敎育廳의 特性化高로 選定되면서 完全히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在學生 355名 가운데 서울과 仁川, 京畿 出身이 59名이다. 航空特性化高 以前에는 想像할 수 없는 現象이다. 서울에서 人文系 高校에 다니다 이달 初 轉學 온 황순재 軍(18·航空整備과 2年)은 “航空整備士가 되고 싶은데 人文系 高校에 다녀 답답했다”며 “내가 整備한 航空機가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을 想像만 해도 氣分이 좋다”고 말했다.

이 學校에는 黃 君처럼 航空整備 專門家의 꿈을 안고 찾아온 學生을 쉽게 볼 수 있다. 京畿 華城市에서 온 2學年 나도현 君(18)은 “어릴 때부터 飛行機와 關聯된 일에 興味가 있어 進學했다”며 “航空整備士의 꿈을 꼭 이루고 싶다”고 밝혔다. 또 講院 襄陽郡 出身인 2學年 김태신 軍(18)은 “學校에 있는 飛行機를 볼 때마다 가슴이 뛴다”며 “最高의 技術을 배워 航空機들이 하늘을 잘 날아다닐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

慶北項公告의 歷史는 짧지만 學生과 敎職員들의 意欲만큼은 뒤지지 않는다. 무엇보다 空軍 作戰司令官과 敎育司令官을 歷任한 배창식 校長(60·豫備役 中將) 德分이다. 空軍士官學校를 나와 38年 동안 空軍에 몸담은 그는 慶北項公告가 國防部와 敎育科學技術部에 依해 軍 特性化高校에 選定됨에 따라 지난해 3月 招聘校長으로 赴任했다. 倍 校長은 “많은 航空機가 하늘을 누비기 위해서는 優秀한 整備技術者들의 實力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우리 學生들이 精銳 航空整備士로 成長할 수 있도록 모든 精誠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권효 記者 bor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