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光州/全南]‘둠벙’ 生態蓮못으로 再誕生한다|동아일보

[光州/全南]‘둠벙’ 生態蓮못으로 再誕生한다

  • Array
  • 入力 2010年 1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全南道, 昨年까지 80곳 復元… 올해 100곳 追加造成
미꾸라지 잡기 體驗프로 等 農村觀光資源으로 活用


3년 전 복원된 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마을 둠벙. 관정을 파서 물길을 트고 바닥을 파낸 뒤 생태탐방로를 설치했다. 사진 제공 전남도
3年 前 復元된 全南 海南郡 문내면 醴酪마을 둠벙. 管井을 파서 물길을 트고 바닥을 파낸 뒤 生態探訪路를 設置했다. 寫眞 提供 全南道
‘둠벙’은 물웅덩이의 사투리로 작은 蓮못이다. 샘이 솟거나 큰 냇가의 물줄기가 흐르는 곳에 땅을 파고 흙이나 돌로 周圍를 둘러싸 濕地 役割을 했다. 그곳은 장구말, 소금쟁이, 물벼룩, 물방개, 짚신벌레 等 多樣한 生物이 살고 개구리가 알을 낳는 곳이기도 했다. 놀 곳이 마땅치 않은 시골 아이들의 自然學習帳이자 農事철 논에 물을 대주는 役割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둠벙은 경지가 整理되고 貯水池와 댐, 콘크리트 農水路가 놓이면서 하나씩 사라지거나 메워졌다.

○ 生態 蓮못 復元事業 結實

全南道는 生態環境을 復元하고 親環境農業 立證 指標로 活用하기 위해 2007年부터 둠벙 復元事業에 나섰다. 天敵의 棲息地를 提供하고 水質을 淨化해 健康한 濕地로 만드는 努力이 成果를 거두면서 生態 蓮못이 하나둘 살아나고 있다.

全南道農業技術院 親環境硏究所는 지난해 5∼10月 3次例에 걸쳐 全南 潭陽, 谷城, 康津의 自然둠벙 3個所와 人工的으로 만든 둠벙 3個所를 對象으로 生物多樣性 및 水質 調査를 벌였다. 調査 結果 人工둠벙은 自然둠벙에 비해 總 生物個體 數는 적지만 種 數는 비슷했다. 自然둠벙은 35種, 人工둠벙은 33種이 棲息하고 있었다. 먹이사슬 關係에 있는 하루살이, 잠자리, 물자라 密度는 自然둠벙은 安定的이고 人工둠벙은 새롭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人工둠벙에는 소금쟁이가 自然둠벙에 비해 3倍나 많은 곳도 있었다. 人工둠벙 水質은 酸性度, 鹽類濃度, 窒酸性 窒素 等이 自然둠벙과 비슷한 水準으로 모두 農業用水 水質 基準 以下로 나타났다. 金秉浩 全南道農業技術員 硏究士는 “둠벙은 오랫동안 單純히 물 貯藏 倉庫로서 機能만 强調돼 왔지만 이제는 논 生物을 豐富하게 살 찌워주는 生態 蓮못으로 注目받고 있다”고 말했다.

○ 둠벙에 水邊植物 심고 土種魚類 길러

現在 全南에 있는 둠벙은 모두 1150곳. 이 가운데 지난해까지 80곳이 復元됐고 올해는 100곳이 生態蓮못으로 다시 태어난다. 全南道는 濕地 役割을 하지 못하는 둠벙에 水邊 植物을 심고 土種 魚類를 넣는 한便 昆蟲을 위해 통나무 말木을 設置하는 方式으로 復元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環境部로부터 3億8000萬 원을 받아 親環境農業團地인 長城郡 황룡면과 潭陽郡 금성면에 景觀龍 둠벙 2곳을 만들었다. 管井을 파서 물길을 내고 부레玉簪, 갈대 等을 심는 等 生態學習帳으로 꾸몄다.

둠벙을 農村觀光資源으로 活用해 ‘全南=親環境’ 이미지도 높이고 있다. 幼稚園生과 初等學生이 둠벙에서 미꾸라지를 잡는 體驗 프로그램을 運營하고 都市 消費者들을 招請해 親環境農法을 선보이고 있다. 둠벙 毁損을 막기 위해 경지 整理를 할 때 작은 濕地를 메우지 못하도록 規制하고 造成된 人工둠벙은 耕作者에게 管理를 맡기고 있다. 홍경민 全南道 親環境政策擔當은 “둠벙에는 많은 水棲生物이 共生하며 完全한 生態系를 이루고 있다”며 “親環境 먹을거리를 生産하는 논이 生物의 多樣性을 維持하려면 둠벙 復元이 꼭 必要하다”고 말했다.

정승호 記者 sh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