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謙齋旌善이 본 漢陽眞景] <23>楊花津(楊花津)|東亞日報 </23>

[謙齋旌善이 본 漢陽眞景] <23>楊花津(楊花津)

  • 入力 2002年 9月 12日 17時 44分


서울 마포구 합정동 145 外國人墓地 附近 切頭山 一帶의 옛 모습이다. 只今은 切頭山(切頭山)이라 부르지만 그 時節에는 잠두봉(蠶頭峯) 또는 龍두봉(龍頭峯)이라 했다. 江가에 絶壁을 이루며 솟구쳐나온 山봉우리가 누에머리나 龍머리 같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截頭는 머리를 자른다는 뜻이다. 高宗 3年(1866) 病인 1月에 大院君이 天主敎徒들을 이 곳에서 處刑하면서 切頭山이란 이름을 얻었다. 그래서 只今은 이 一帶가 天主敎 聖地가 됐지만 本來는 楊花나루가 들어서 있어 서울과 陽川 사이에 물길을 이어주던 곳이다.

☞ 謙齋旌善이 본 ´漢陽眞景´ 連載보기

이곳에 나루가 設置된 것이 언제인지는 分明치 않다. 다만 金浦 仁川 쪽에서 서울로 들어오자면 이 나루를 건너는 것이 가장 지름길이므로 首都를 漢陽으로 옮긴 朝鮮 太祖 3年(1394) 以後에는 이 나루의 效用이 매우 커졌으리라 생각된다.

世宗 32年(1450)에 明나라 使臣으로 왔던 翰林學士 例兼(倪謙)李 漢江에서 뱃놀이 待接을 받던 中 이곳 잠두봉 楊花나루에 들러 이런 詩를 남겨놓았다.

‘漢江의 묵은(오래된) 나루 洋畫라 하네, 좋은 景致 찾아 亭子 지으니 곁에는 物價, 떠나가 닿는 돛단배 아득히 멀고, 기러기 울음소리 모래밭에서 인다.’

이 詩로 보면 世宗 때에 이미 잠두봉 아래에 楊花나루가 들어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즈음에 벌써 景致 좋은 이 잠두봉 一帶는 太宗의 第7王子인 온녕군 情(溫寧君 程·1397∼1453)이 차지하고 있었던 模樣이다. 例兼이 올라가 쉬었던 亭子도 온녕군 집 精子였을 것이다.

이런 事實은 온녕군의 孫子인 無風情 李摠(茂豊正 李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