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專門家 “北, 核武器用 우라늄 再處理 活動 持續 可能性”|東亞日報

美專門家 “北, 核武器用 우라늄 再處理 活動 持續 可能性”

  • 뉴스1
  • 入力 2020年 4月 9日 09時 58分


코멘트
지난 10일 북한 영변의 핵 재처리 시설인 방사화학연구소 인근에서 특수궤도 차량 3대(점선 안) 움직임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고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11일(현지시간) 밝혔다. (CSIS 제공)2020.2.12/뉴스1
지난 10日 北韓 寧邊의 核 再處理 施設인 放射化學硏究所 隣近에서 特殊軌道 車輛 3代(點線 안) 움직임이 衛星寫眞에 捕捉됐다고 美國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11日(現地時間) 밝혔다. (CSIS 提供)2020.2.12/뉴스1
北韓이 現在 核武器 製造에 必要한 核物質인 풀루토늄 生産은 中斷했지만 또 다른 核物質인 우라늄의 再處理 活動은 持續 中일 可能性이 높다는 美國 核 專門家의 主張이 提起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9日 報道했다.

報道에 따르면 올里 下이오넨 前 國際原子力機構(IAEA) 事務次長은 “北韓에 새로운 플루토늄 生産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우라늄을 核武器에 使用할 수 있도록 再處理하는 活動은 持續되고 있을 可能性이 높다”고 말했다.

下이오넨 次長은 1, 2次 北 核 危機 當時 寧邊 核 施設 査察을 主導했던 人物이다. 衛星寫眞을 보면 寧邊 核施設 內 原子爐와 再處理施設이 稼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核武器에 쓰기 爲해 우라늄 鑛石을 化學工程을 통해 高濃縮하는 過程 等의 再處理 活動은 持續되고 있을 것이라는 指摘이다.

그는 “北韓이 核 抑止力을 增强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다가 우라늄 再處理 活動 施設들이 北韓 內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 狀況이기 때문에 北韓의 우라늄 再處理 活動의 一部 或은 全體가 持續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美國의 싱크탱크 ‘제임스 마틴 非擴散센터(CNS)’의 報告書에는 北韓이 燐酸肥料 工場에서 우라늄을 抽出할 可能性이 있다고 傳한 바 있다.

이에 對해 下이오넨 次長은 “분명한 證據가 없지만 北韓의 核物質 生産에 對한 새로운 分析이라는 點에서 意味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關聯 유엔 傘下 國際原子力機構(IAEA) 側은 제임스 마틴 非擴散센터의 報告書에 對해 “公開된 外部情報 蒐集과 分析 또 適切한 安全措置 情報 次元에서 檢討하겠다”는 立場을 보였다.

한便 앞서 제임스 마틴 非擴散센터의 마가렛 크로이 硏究員은 지난 6日 北韓이 燐酸肥料 生産 過程에서 나오는 中間 生産物인 燐酸으로부터 우라늄 정광을 抽出할 수 있다는 內容의 報告書를 發表했다.

크로이 硏究員은 “主로 衛星寫眞을 통해 硏究한 것이라 北韓이 實際로 肥料工場에서 우라늄을 抽出했다는 具體的인 證據는 없지만 費用이 低廉하고 숨길 수 있다는 點에서 可能性이 充分하다”고 主張했다.

이에 對해 샤론 스쿼소니 美國 조지워싱턴대 敎授는 “北韓이 燐酸肥料 生産 過程에서 우라늄을 抽出하는 것이 可能하지만 北韓은 只今 核査察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우라늄 鑛山에서 直接 우라늄을 採掘할 수도 있다”고 指摘했다.

그러면서 “萬一 北韓이 向後 非核化 協定에 署名한 後 國際社會를 속이기 위해 肥料工場에서 우라늄을 生産할 순 있지만 只今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敷衍했다.

?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