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철근 “‘獨 出國’ 安哲秀, 挑戰·獻身의 政治…熱心히 채워 돌아오길”|동아일보

김철근 “‘獨 出國’ 安哲秀, 挑戰·獻身의 政治…熱心히 채워 돌아오길”

  • 東亞닷컴
  • 入力 2018年 9月 2日 15時 54分


코멘트
사진=동아일보DB
寫眞=동아일보DB
6·13 地方選擧 敗北 後 政治 一線에서 물러난 바른未來黨 安哲秀 前 議員이 全黨大會를 하루 앞둔 1日 獨逸로 出國했다.

安 前 議員 側近인 김철근 代辯人은 2日 自身의 페이스북을 통해 安 前 議員의 出國 事實을 傳하며 “安哲秀의 政治는 挑戰과 獻身의 過程이다. 2012年 大選부터 쉼 없이 달려온 6年이다. 旣得權 兩黨政治의 弊害를 克服하기 위한 挑戰과 獻身의 政治였다”고 評했다.

安 前 議員은 獨逸의 國策硏究所인 막스 플랑크 硏究所 디트마어 下르호프 所長의 招請을 받아 訪問硏究員 資格으로 1年假量 滯留할 豫定이다. 當初 8月 末 出國 豫定이었으나 1年짜리 長期비자 發給에 時間이 걸려 그동안 國內에 머물러온 것으로 傳해졌다.

金 代辯人은 “우리 政治史에서 20名 以上의 交涉團體 政黨을 성공시켜 본 指導者는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鄭周永, 安哲秀까지 5名의 사람 뿐”이라며 “안철수 前 代表 6年의 政治活動은 우리 政治史에 많은 것을 남겼고 아직도 克服해야 할 많은 問題들을 露呈했다”고 말했다.

이어 “2012年 大選出馬와 候補辭退, 無所屬 國會議員 當選, 민주당과 合當, 國民의黨 創黨과 第3黨의 出現, 2017年 大選出馬와 敗北, 바른未來黨 合當, 서울市長 出馬와 敗北로 壓縮되는 政治歷程이었다”면서 “2012年과 2017年 大選에서는 巨大 旣得權 兩黨이 댓글輿論造作까지 動員하여 攻擊했지만 旣成 旣得權 腐敗 兩黨政治를 克服하기 위해, 便法 不法 反則 없이 安哲秀式으로 挑戰한 것 이었고 獻身한 것이었다”고 强調했다.

그는 “안철수 前 代表가 우리 政治에 큰 足跡을 남기고 ‘省察과 채움의 時間’으로 獨逸을 選擇해서 떠났다. 4次 産業革命時代에 大韓民國은 무엇을 어떻게 準備하고 實踐해야 하는가에 對한 解法을 가져올 거라고 期待한다”며 “獨逸은 理念을 뛰어넘어서 동서독의 統一過程을 겪은 唯一한 나라라는 點에서 韓半島 平和를 바라는 우리 國民들에게는 큰 期待를 갖게 한다”고 했다.

金 代辯人은 “朴槿惠 前 大統領의 國政壟斷 事態로 온 國民들의 촛불革命으로 세워진 文在寅 政府도 1年 3個月이 지나면서 國民들의 評價는 冷靜하게 바뀌고 있는 狀態”라며 “最低賃金의 急激한 引上, 일자리 破局을 부르는 ‘雇傭쇼크’等으로 希望이 보이지 않는 民生經濟 狀況 속에서 國民들은 지쳐가고 憤怒하고 있다”고 文在寅 政府를 批判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現 執權勢力을 代替할 代案勢力이 잘 보이지 않는 形局이다. 아직은 國民들이 野黨들에 對해서 政權을 믿고 맡길 勢力으로 보지 않고 있다”며 “國民들은 믿고 맡길만한 代案勢力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安 前 代表는 世界的인 碩學들을 비롯해 유럽의 前·現職 政府 高位 官僚들과도 많은 交流를 할 것으로 豫想된다”며 “國民들이 무엇을 願하는지, 우리나라는 어떤 方向으로 가야 할 것인지, 平素 國家의 未來에 對한 걱정으로 무언가 보탬이 될 수 있다면 熱心히 채워 돌아오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정아 東亞닷컴 記者 cja091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