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아침 새地平]閑步事態를 보면서|동아일보

[새아침 새地平]閑步事態를 보면서

  • 入力 1997年 2月 4日 20時 34分


두 弟子가 바람에 흔들리는 旗발을 두고 다투는 것을 스승인 慧能(慧能)李 보았다. 한 弟子는 흔들리는 건 旗발이라 했고 다른 한 弟子는 무슨 소리냐, 흔들리는 건 다만 바람이라고 했다. 慧能大使는 禪宗(禪宗)의 第6條(祖)로 頓悟(頓悟)를 主張했던 船社였다. 弟子들의 다툼을 보던 慧能大使가 一喝(一喝)했다. ▼ 慧能大使의 一喝 ▼ 『이놈들아, 흔들리는 건 오직 너희들 마음이로다』 요즘 進行되는 「閑步事態」를 보며 어쩐 일인지 繼續 이 揷畵가 떠오른다. 여태껏 確實한 것은 閑步의 不渡뿐인데 眞實을 뒤덮고도 南乙만큼 온갖 所聞이 茂盛하고 그 所聞의 불똥이 幸여 내게로 튈세라 바쁘고도 강팔진 말, 말뿐이다. 特히 「正面突破」라는 말을 앞세운 與黨의 힘있는 분들 發言이 더더욱 그렇다. 純眞하게도 나는 「正面突破」라는 말이 政治的으로 事態의 眞實을 糊塗하지 않고 오로지 正正堂堂하게 眞實을 밝히겠다는 소리인줄로만 알았는데 그 「正面突破」라는 말 뒤에 딸려나오는 發言들을 보니 當하고 있지만은 않겠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하겠다, 그런 뜻이 剛하게 느껴지니 難堪하다. 數兆원에 이르는 不可思議한 貸出에 對해 조금이라도 책임지겠다는 사람은 없고 모두가 나는 아니야, 나는 그 사람 몰라, 證據가 있으면 대봐, 할뿐이다. 右往左往 숨기에 바쁘고 숨어있다가 고개 삐쭉 내밀곤 괜한 큰소리, 證據를 대봐, 그리곤 다시 숨는다. 證據를 대보라는 語調엔 證據만 댔다간 가만두지 않겠다는 그런 反語法的 이미지가 느껴진다. 過去, 陸英修女史가 銃에 맞았을 때, 朴正熙大統領에게 忠誠을 아끼지않던 수많은 高位官吏들이 大統領內外野 죽거나 말거나 于先 살고 보자며 이리저리 숨던 그림도 只今 새삼스럽게 떠오른다. 그래서 숨가쁜 危急狀況의 只今 斷想엔 大統領 혼자 남아 있다. 萬若 그분도 演壇 뒤로 주저앉아 숨으면서 내탓이 아냐, 너희들이 나가봐 하고 公訴하게 소리친다면 얼마나 슬픈 戱化가 될까 싶다. 慧能大使가 그립다. 果然 「閑步事態」에서 慧能大使의 役割을 할 사람, 或은 그룹은 없는 것일까. 檢察일까. 아니, 언제나 그래왔듯이 아마도 慧能大使의 참된 役割을 堪當해야 할 사람은 수많은 普通사람, 우리 國民들일 것이다. 떠도는 所聞에 依하면 그동안 閑步가 造成한 祕資金이 1兆원을 훨씬 넘는다고 한다. 또 所聞으로서가 아니라 한보철강의 實質的 關係者 여럿이 帳簿上 投資額은 5兆원이지만 實際投資額은 4兆1千億원 또는 4兆3千億원 程度라고 證言하고 있다. 7千億원 以上의 돈이 어디론가 사라졌다는 뜻이다. ▼ 흔들리는 政治人 良識 ▼ 우리는 解法을 알고 있다.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올바른 解法을 짐짓 모른 체, 흔들리는 게 旗발이다, 바람이다 우기는 것은 一次的 責任을 짊어져야 할 政府高官이나 高位層 政治指導者 뿐이다. 慧能大使는 그러나 흔들리는 것이 旗발도 바람도 아니요, 그들의 樣式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 다만 過去의 經驗에 비추어 볼 때 우리에게 缺陷이 있다면 잘 잊는다는 것이다. 勞動關係法 安企部法의 날치기通過度 그 缺陷을 計算하고 일어난 일일 터이다. 부디 이番엔 똑바로 끈질기게 本質을 살펴보고 그리고 끝까지 잊지말자. 박범신 <작가·명지대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