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 實錄韓醫學]〈70〉正月 大보름에 귀를 밝혀라|동아일보

[이상곤 實錄韓醫學]〈70〉正月 大보름에 귀를 밝혀라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2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금주령으로 서슬이 퍼렜던 英祖 時代에도 君臣 間 飮酒歌舞의 記錄은 存在한다. 英祖 44年 임금의 生日床이 차려지자 領議政 김치인과 吏曹判書 조명정이 많이 取해 술 實力을 자랑한다. 平素 술을 싫어한 ‘今週 大王’ 영조는 異常하게도 이날만큼은 臣下들에게 술을 勸했다. 왜 그랬을까. 疑問은 英祖가 술을 勸하면서 가져다 붙인 名分이다. 영조는 難聽이 있었던 조명정에게 ‘귀를 밝히는 술이니 마음껏 마시라’고 勸했다. 술이 귀를 밝힌다니 都大體 무슨 말일까.

朝鮮 後期 儒學者이자 憂國之士인 黃玹의 詩文集인 ‘梅泉集’에는 正月 大보름의 歲時風俗인 ‘耳明酒(耳明酒)’에 對한 記錄이 詳細하게 남아 있다. 耳明酒는 ‘귀가 먹는 것을 막아 준다’는 술로, 正月 大보름 아침에 온 家族이 마시는 風習이 있었다. 治聾酒(治聾酒), 明耳酒(明耳酒), 聰耳酒(聰耳酒)로도 불린다.

소리를 듣는 領域은 두 가지로 나뉜다. 外部의 소리를 비추는 音的인 領域과 分別하는 量的인 領域이 그것이다. 비추는 領域은 물에 事物을 비추는 것과 같아서 ‘水營물(水影物)’이라 하며, 分別하는 領域은 太陽이 빛나면 환하게 事物을 把握하고 認識하는 領域이어서 名(明)이라 한다. ‘귀를 밝힌다’는 것은 거꾸로 解釋하면 ‘귀는 本來 어둡다’는 뜻이 된다.

韓醫學的으로 귀는 音的이고 어두운 機關이다. 생긴 模樣도 소라고둥처럼 속으로 收縮한다. 外部의 넓은 곳에서 좁은 곳으로 빨려 들어가는 블랙홀 같다. 이렇듯 感覺을 擔當하는 五官 中에서 가장 차고 어두운 機關이다.

그래서 聽力은 어둠을 찾아 밝히는 빛과 같은 存在라 할 수 있다. 눈은 밝은 곳에서 情報를 모으지만 귀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情報를 모은다. 恐怖映畫에서 소리를 빼면 팥소 없는 찐빵이 되는 것도 같은 原理다. 韓醫學에서 귀는 겨울과 차가움, 물과 腎腸을 象徵한다. 老子는 ‘물은 가장 낮은 바다로 내려가 모든 溪谷의 물을 다스리면서 가장 偉大해진다’고 말한다.

귀밝이술은 어둠을 밝히는 빛과 같은 存在다. 술은 맵고 더워서 어둠을 밝히면서 새로운 生氣를 불어넣는다. 하지만 술을 많이 마신다고 聽力이 좋아진다는 保障은 없다. 長期的 飮酒는 오히려 聽力의 敵이다. 귀밝이술을 마시는 것은 但只 正月 大보름에 陰陽五行의 智慧를 돌아보는 意識일 뿐이다.

귀의 別名은 ‘公翰(空閒)’이다. 고요함을 所重하게 여기고 마음이 텅 비어 閑暇함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대나무밭에 가면 대나무 소리가 나고 소나무밭에 가면 소나무 소리가 나듯 바람이나 刺戟은 外部로부터 오지만 소리를 내는 主體는 바로 自己 自身인 셈이다. 들어오는 소리만큼 메아리를 만들고 公明해야 하니 귀는 늘 疲勞하다. 이어폰에서 나오는 커다란 音樂처럼 큰 소리의 刺戟이 繼續되면 귓속의 乳母細胞는 울음을 吐한다. 그게 바로 귀(耳)가 웅웅거리며 우는(鳴) 耳鳴(耳鳴)이다. 病은 한番 오면 治療하기 힘들다. 生活 속 智慧의 實踐으로 豫防하는 게 最善이다. 눈이 어두우면 事物과 멀어지고 귀가 어두우면 사람과 멀어진다는 말이 있다. 聽力은 나이가 들수록 所重해진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正月 大보름 #술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