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 <44>아이는 왜 父母가 못해준 것만 記憶날까|동아일보 </44>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 <44>아이는 왜 父母가 못해준 것만 記憶날까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12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子女에게 말할 때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育兒 스트레스가 甚한 한 젊은 엄마가 自身의 어린 時節에 對해서 이야기를 했다. 工夫 잘했던 언니, 存在만으로도 貴했던 男동생에게 밀려 엄마에게 사랑받지 못했던 서러운 記憶들이었다. 하지만 親庭 엄마가 記憶하는 그女의 어린 時節은 달랐다. 다른 子女와 마찬가지로 엄마의 사랑이 가득한 일화뿐이었다. 親庭 엄마가 말한 逸話들을 傳하자, 그女는 記憶하지 못했다. 記憶이 조금 남아 있는 것이라도 親庭 엄마가 말하듯 핑크빛은 아니었다. 아무 意味 없는 灰色빛이었다. 親庭 엄마에게 그女가 아직도 서러워하는 어린 時節의 逸話들을 傳했다. 親庭 엄마는 大部分 記憶하지 못했다. 自身은 그렇게 말하거나 行動하지 않았다며 抑鬱해했다.

왜 이렇게 記憶이 다른 걸까? 우리의 記憶은 元來 主觀的이다. 같은 事件이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記憶한다. 한 硏究者는 이것을 證明하기 위해 實驗을 했다. 싸움 狀況을 演出한 後, 10名에게 그 狀況을 지켜보도록 했다. 어느 方向에서나 똑같이 볼 수 있도록 했으나, 싸움이 끝난 後 10名이 傳한 이야기는 모두 달랐다. 記憶이 이렇듯 사람마다 다른 것은, 認知機能이지만 情緖와 매우 關聯이 깊기 때문이다. 그때의 나의 情緖的 反應에 따라 記憶이 나기도 하고 안 나기도 한다. 일부러 잊어버리기도 하고, 無意識 속에 묻히기도 한다. 種種 歪曲과 變形도 일어난다.

父母가 工夫를 안 하는 아이에게 “너 이렇게 해서 大學에 가겠니?”라고 말을 했다. 아이가 이 말에 宏壯히 氣分이 傷했다면, 그 말은 “이따위로 해서 大學이나 갈 수 있겠니?”로 記憶될 수 있다. 가끔은 父母가 全혀 하지 않은 말도 한 것처럼 記憶되기도 한다. 平素 아이에게 “쯧쯧… 네가 할 줄 아는 것이 뭐가 있니?”라는 말을 많이 했다면, 아이는 父母의 “쯧쯧”이라는 말 한마디로, 그 말을 할 때 父母가 主로 짓는 表情만으로도 그 말을 한 것으로 記憶하기도 한다.

野山을 오르다 보면 사람들이 많이 밟고 지나간 곳에는 길이 난다. 그 길은 漸漸 더 다니기 좋아진다. 腦의 神經回路度 그렇다. 어떤 刺戟을 자주 받으면 그쪽으로 길이 뚫리고 단단해진다. 그 길은 좋은 쪽도 있고, 나쁜 쪽도 있다. 父母의 表情만으로, 한마디만으로 氣分 나쁜 말을 들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父母와의 關係에서 나쁜 쪽으로 길이 뚫려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길이 어린 나이에 뚫린 사람일수록 父母와의 日常生活의 記憶 大部分이 좋지 않기 쉽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關係에도 影響을 준다. 누군가 그 길로 가는 작은 端緖만 提供해도 다른 形態의 情報들은 無視한 채 오직 그 但書에 따라 언제나 좋지 않게 解釋하게 되기 때문이다. 누군가 “쯧쯧” 혀 차는 소리 한 番 한 것으로, 理由 如何를 莫論하고 無視했다며 욱할 수 있는 것이다.

子息은 서러웠다고 하는데, 父母는 그 記憶이 全혀 없는 理由는 또 있다. 父母는 그 말과 行動을 한 自身의 本心만 記憶한다. 大部分 子息 잘되라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子息은 父母의 本心보다 그 表現方式을 强烈하게 記憶한다. 그 地點에서 두 사람의 記憶은 또 달라진다.

高3 아이가 工夫를 안 하고 있다. 엄마가 “平素에 熱心히 하는 거 잘 아는데, 異常하게 高3 엄마들은 애들이 冊床에서 멀어져 있으면 不安하고 걱정되더라”라고 말하는 父母의 態度와 “야! 좀 더 熱心히 해야 하는 거 아니니? 네가 그럴 때니?”라고 말하는 父母의 態度는 完全히 다르다. 아이는 父母의 態度에 마음이 많이 傷해버린다. 그런데 두 말의 意圖는 같다. 엄마는 後者처럼 말해놓고 電子처럼 말했다고 錯覺한다.

父母가 每番 이런 式이면 아이는 마음에 傷處가 깊어져 父母에 對한 憤怒가 생긴다. ‘왜 나를 못 믿어줄까’ 하는 생각은 解決하지 못한 葛藤要素나 脆弱性이 된다. 이것에 依해서 事件이나 狀況은 歪曲 解釋이 되기 始作한다. 아이의 記憶에 父母의 말套는 더 甚하게 歪曲되고, 父母의 意圖 또한 여간해서 좋게 보려는 努力을 하지 않는다.

父母들은 고작 그런 걸로 傷處를 받느냐고 되묻는다. 當身이 그렇게 말했던 出發은 좋은 意圖였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안다. 하지만 意圖가 좋다고 해서 모든 말과 行動이 容恕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한테 어떤 影響이 가든 상관없는 것은 아니다. 좋은 意圖라면 받는 사람도 그렇게 느끼도록 充分히 좋게 말해야 한다. 便安한 狀況에서 좋게 말해야 아이가 父母의 깊은 사랑을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記憶했으면 한다.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育兒 스트레스 #왜 나를 못 믿어줄까 #父母의 사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