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化 實驗室]종이匣옷인데 鳥銃도 못 뚫었다니…|동아일보

[文化 實驗室]종이匣옷인데 鳥銃도 못 뚫었다니…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8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朝鮮時代 甲옷 어땠을까

《‘釜山行’을 擇했다. 最終 目的地는 釜山 금정구에 있는 ‘韓國의 傳統 甲胄’(代表 최항복)였다. 韓國의 옛 甲胄(甲胄·甲옷과 투구)가 果然 어느 程度 水準이었는지 確認하기 위해 擇한 곳이었다. 國立中央博物館 等 展示館에서는 朝鮮 甲胄를 볼 수는 있었지만 입을 수 없었다. TV用 甲옷은 겉模樣만 비슷하게 흉내 낸 ‘小品’이다. ‘韓國의 傳統 甲胄’는 40餘 年間 朝鮮의 종이 투구를 만든 硏究所란 紹介를 받았다. 그곳에 當到한 때는 暴炎이 한창인 午後였다.》
 
○ 鳥銃을 너끈히 막던 朝鮮의 甲胄

硏究所엔 에어컨이 없었다. 崔 代表는 ‘木型(木型·나무 製作 틀)’을 使用한 傳統技法으로 만든 投球부터 文獻을 參考해 무게까지 비슷하게 만든 甲옷까지 한 벌의 穩全한 朝鮮 後期 ‘두精甲(頭釘甲)’을 내줬다. 무게가 20kg인 甲옷과 2kg 넘는 투구를 입고 쓰고 ‘드림’(투구에 달린 얼굴 가리개)으로 얼굴을 가리니 땀이 주르륵 쏟아진다.

두정갑은 信用카드 折半 크기의 쇳조각 數百 個를 千 안감과 겉감 사이에 넣고 둥근 머리 못인 ‘蠹政’으로 固定해 만든 甲옷이다. 쇳조각이 直接 닿는 移轉 甲옷에 比해 相對的으로 着用感이 좋아 朝鮮時代에 ‘國民 甲옷’이 됐다. 崔 代表는 “蠹政甲의 耐久力은 壬辰倭亂 時節의 鳥銃이 뚫기 힘든 程度였다”고 말했다.

○ ‘價性比 甲’ 종이甲옷(紙甲)

이곳에서 입은 蠹政匣의 主要 素材는 쇠였지만 朝鮮時代엔 가죽(皮), 종이(紙)도 使用됐다. 비싸고 求하기 힘든 철 조각에 비해 周邊에서 求하기 쉬운 돼지가죽, 韓紙가 널리 쓰였다.

그中 종이는 興味롭다. 질긴 韓紙를 松津, 阿膠 等 接着劑로 겹겹이 붙인 뒤 옻漆을 한다. 무게는 플라스틱만큼 가볍지만 耐久力은 쇠 못지않게 단단해진다. 옻漆만 한 고깔帽子 크기의 종이投球 原形의 무게는 200g도 되지 않았다.

官廳에서 過去試驗 等에 쓰인 종이는 종이甲옷으로 再活用됐다. 김성혜 陸軍博物館 副官長은 “韓紙 13겹 以上이 一般的으로 쓰였는데 鳥銃이 뚫기 힘들었다. 값이 싸고 옻漆로 防水와 保溫이 됐으며 겹數를 더할수록 耐久力이 좋아졌다. 무게가 쇠의 折半도 안 돼 오늘날의 ‘機能性’ 素材라 할 만큼 愛用됐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價性比가 좋은 素材라 一般 百姓들도 종이로 만든 甲옷을 쓸 수 있었다.

“甲옷 입은 武士에게 打擊을 줄 方法은 두 가지로 要約돼요. 甲옷이 防禦하지 못하는 목, 겨드랑이 等을 노리거나 撤退 等으로 甲옷 위를 때려 衝擊을 주는 것입니다. 朝鮮 甲옷은 鳥銃이나 一般的 칼로는 致命傷을 줄 수 없을 程度로 단단했습니다.”(최형국 韓國傳統武藝硏究所長)

直接 입어본 經驗과 專門家들의 이야기를 綜合했을 때 朝鮮 甲옷은 꽤나 强力한 防禦力을 갖추고 있었다. 할리우드 히어로 물이 汎濫하는 요즘, 韓國的 캐릭터를 만든다면 特殊 종이甲옷을 입은 캐릭터를 만들어 내도 語塞하지 않겠다는 느낌이었다. 서울行 KTX 안에서 문득 종이 所在 機能性 戰鬪服을 입은 韓國 히어로가 빌딩 숲을 누비는 스토리 라인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釜山=김배중 記者 wanted@donga.com

#朝鮮 甲胄 #종이甲옷 #朝鮮 甲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