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걸크러시]〈23〉사랑 告白은 男子 몫이 아니다|동아일보

[朝鮮의 걸크러시]〈23〉사랑 告白은 男子 몫이 아니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2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저는 본디 當身과 함께 夫婦가 되어 끝까지 男便으로 모시고 永遠히 즐거움을 누리려고 했어요. 그런데 當身은 어찌 이렇게 말씀하세요. 저는 비록 女子의 몸이지만 마음이 泰然한데 帳簿의 意氣를 가지고도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 다음 날 閨中의 일이 알려져 親庭에서 꾸지람을 듣게 되더라도 제가 혼자 責任을 질 것입니다. ―金時習의 ‘李生窺牆傳(李生窺牆傳)’

우리 社會는 如前히 男女 사이를 差異가 아닌 差別로 認識하는 境遇가 많다. 特히 性役割을 둘러싼 物理的 힘과 시스템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특정한 表現과 行動이 한 性(性)의 專有物처럼 認識되어 獨占되는 境遇가 많다. 얼마 前만 해도 사랑 告白과 戀愛의 主導的 役割은 男性이 主導했다. 男子가 사귀자 말하고 女子는 可否를 定하는 것이 正常으로 보였다.

家父長的 性格이 더 剛했던 朝鮮時代는 女性이 사랑을 告白하고 戀愛를 主導하는 것은 想像하기 어려웠다. 父母 許諾 없이 스스로 理性을 選擇하고 主體的으로 사랑을 키워가는 戀愛는 생각하기 힘들었다. 이런 固定觀念을 깨뜨린 女性 캐릭터가 바로 李生窺牆傳의 主人公 최랑이다.

최랑은 貴族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外貌가 아름다웠을 뿐 아니라 詩와 文章에도 뛰어났다. 그는 每日 北쪽 담牆을 지나 學校로 가는 離生을 눈여겨보았다. 이생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國學에 入學해 修學할 만큼 能力을 인정받고 있었다.

離生 亦是 최랑의 아름다운 外貌와 뛰어난 文章에 魅了돼 있었다. 최랑의 집을 지날 때 늘 마음이 두근거렸으나 小心한 性格으로 다가가지 못했다. 최랑은 이생이 自身에게 關心이 있음을 알고는 그가 지나갈 때 큰소리로 詩를 지어 읊는다. “저기 가는 저 總角은 어느 집 도련님일까?/푸른 옷깃 넓은 띠가 늘어진 버들 사이로 비쳐 오네./이 몸이 죽어 大廳 위의 제비가 되면/주렴 위를 가볍게 스쳐 담牆 위를 날아 넘으리.”

마음 같아서는 새처럼 담牆을 넘어 그를 만나고 싶다는 참으로 果敢한 告白이었다. 이생은 그 意味를 單番에 알아차리고는 저녁에 만나자는 內容의 詩를 지어 집으로 던진다.

“님이여, 疑心하지 마세요. 黃昏에 만나기로 해요.” 최랑은 곧장 메시지를 보내고 이생이 담牆을 넘을 수 있게 그넷줄에 대바구니를 달아 담牆 아래에 準備해 둔다. 해가 지자 이생은 최랑이 準備한 道具들을 利用해 담牆을 넘는다. 그러면서도 自身의 行動이 들킬까 머리털이 곤두설 程度로 緊張했다. 이 모습을 본 최랑은 唐突했다. 첫 만남에서 이생에게 請婚하고 以後 發生하는 問題는 自己가 책임지기로 한다.

두 사람은 집안의 反對로 離別을 맞지만 사랑에 對한 최랑의 執念으로 이를 克服하고 結局 結婚한다. 以後 紅巾賊의 侵入으로 최랑이 죽지만, 天帝(天帝) 亦是 이들의 사랑을 안타깝게 여겨 還生시켜 준다. 이생은 다시 나타난 최랑이 鬼神임을 알지만, 못다 한 사랑을 나눈 後 저승으로 돌려보낸다.

우리는 이 이야기 속에서 스스로 伴侶者를 選擇하고, 主體的이고 積極的으로 사랑을 이어갔던 아름답고 魅力的인 15世紀 女性像을 만날 수 있다. 이런 최랑의 모습은 家父長制에 包攝당하지 않았던 女性다움의 實體가 아니었을까?
 
강문종 제주대 敎授
#김시습 #李生窺牆傳 #최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