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걸크러시]〈14〉하룻밤에 꺾이지 않은 들꽃|東亞日報

[朝鮮의 걸크러시]〈14〉하룻밤에 꺾이지 않은 들꽃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12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夫婦의 情은 實로 잊을 수 없고 義理는 眞實로 저버리기 어려우니, 이승에서의 奇薄한 運命도 어쩔 수 없습니다. 저승에서나마 남은 圓을 이루는 것이 저의 所望입니다.” ―古典小說 ‘折花奇談’ 中에서

사람들은 누구나 아름다운 꽃을 보면 그 꽃에 魅了되어 香을 맡아 보거나 房 안을 예쁘게 裝飾해 놓으려고 한다. 여기 ‘純매’라는 꽃다운 女人에게 魅了된 이생 亦是 그러하다. 준수하고 高尙하며 風采도 빼어난 재주 있는 선비가 우물 앞에서 이제 17歲가 된 純매라는 女子에게 반한다. 안타깝게도 純매는 이미 媤집을 간 지 몇 해나 되었다. 하지만 이생에게 그의 婚姻 與否는 問題가 되지 않는다. 늘 純매 생각뿐이다. 어느 날, 사내종 하나가 純매가 典當 잡힌 銀 노리개를 가지고 와 이생에게 保管해 달라고 付託한다. 이생은 이 機會를 틈타 銀 노리개로 純매와 만남을 이룰 수 있다는 希望에 부풀었고, 우물가에 가는 그에게 슬쩍 노리개를 꺼내 보이며 말을 건넨다.

“뜻밖에 노리개 하나로 아름다운 因緣을 맺게 됐구나. 靑春은 다시 오기 어렵고 즐거운 일도 늘 있는 것은 아니지. 하룻밤의 期約을 아끼지 말고 三生의 所願을 이루는 것이 어떠하냐?”

그러나 純매는 對答도 하지 않고 물만 긷고는 가버린다. 이때부터 이생의 ‘純매 만나기 大作戰’이 펼쳐진다. 이생은 參見을 좋아하고 사람을 잘 紹介해 주는 데 能熟한 老婆를 통해 純枚를 만나려고 努力한다. 그러나 그는 節槪가 굳어 老婆가 억지소리로 꼬여낼 수는 없었다. 비록 身分이 千하나 性品이 高貴해서 이생이 바라는 대로 쉽게 뜻을 이루기 어렵고, 이생에게 마음을 두었어도 純枚를 지켜보는 사람이 많다는 理由였다. 事實 純매는 離生에 비해 身分도 낮았고, 이미 男便이 있기에 離生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狀況이었다.

“제가 비록 賤한 몸이지만 저 亦是 사람의 性品을 지녔으니 郞君께서 사랑해 주시는 마음을 모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몸은 形便上 自由롭지 못하답니다.” 술酒酊뱅이에 庸劣한 男便보다는 이생이 自身을 더 사랑해 주는 것을 알았기에 純賣渡 마음이 흔들렸을 것이다.

이생과 純매가 만나는 過程에서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를 한 1792年 봄부터 1794年 4月까지 實質的인 만남은 不過 9番이었다. 여러 理由로 純매와 이생이 懇切히 바라던 만남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마지막에 純매와 이생의 사랑을 이룰 수 있는 짧은 하룻밤이 주어진다. 이생은 이 하룻밤으로 純매에게 더욱 빠져들었고 기나긴 만남이 되기를 바랐다. 그가 이생의 마음을 받아준 것일까? 그러나 純매는 이 만남을 마지막으로 離生을 拒絶한다. 周邊의 監視가 날로 심해져 더 以上 틈을 낼 수 없으니 부디 몸操心하라는 말과 함께 말이다.

이생이 自身과 만나기 爲해 끊임없이 努力하며 사랑을 表現했기에 그 마음에 副應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純매는 이생이 自己 內面보다는 겉모습에 魅了되었고, 그의 사랑이 永遠하지 않을 거라는 걸 알았다. 結局 離生을 拒絶한 純매의 마음은 이생의 사랑이 永遠하지 않을 거라는 現實的 判斷과 함께 길가에 핀 하찮은 들꽃이라도 쉽게 꺾을 수 없다는 그만의 抗辯이었던 것이다.
 
임현아 德成女大 言語敎育院 講師
#折花奇談 #純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