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博物館 100年의 사람들] <1>진홍섭|東亞日報 </1>

[韓國博物館 100年의 사람들] <1>진홍섭

  • 東亞日報
  • 入力 2009年 3月 12日 02時 59分


국립박물관 개성분관 초대 관장을 지낸 진홍섭 옹은 격동기 한국 박물관의 역사와 함께했다. 김경제  기자
國立博物館 開城分館 初代 館長을 지낸 진홍섭 翁은 激動期 韓國 博物館의 歷史와 함께했다. 김경제 記者
<1>진홍섭 國立博物館 開城分館 初代 館長
“新羅金冠 6·25때 美避亂… 模造品 盜難소동도”
인터뷰=이원복 국립중앙박물관 學藝室長

《1909年 順從이 세운 昌慶宮 帝室博物館에서 始作된 韓國博物館 歷史가 올해 100年을 맞는다. 오늘날 全國 博物館은 600餘 곳. 現在 國立 博物館을 이끄는 後輩들이 元老 先輩 10名의 育成 證言을 통해 韓國博物館 100年의 歷史와 길, 博物館이 當代 文化에 미친 影響을 듣는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동아일보의 共同 企劃으로 韓國博物館의 時計바늘을 거꾸로 돌리는 ‘韓國博物館 100年의 사람들’을 10回 連載한다.》
韓國 博物館 關聯 生存 元老 中 가장 나이가 많은 진홍섭 翁(91)은 인터뷰 내내 이원복 국립중앙박물관 學藝硏究室長(55·寫眞)의 質問이 잘 들리지 않는 듯 數次例 손을 귀에 가져다 댔다. 하지만 記憶에서 끄집어낸 激動期 韓國 博物館의 歷史는 또렷하고 생생했다.
陳 翁은 光復 直後 最初의 國立博物館 開城分館長(1947∼52年)을 맡았고 6·25戰爭 中 赴任한 競走分館腸(1952∼61年), 梨花女大博物館長(1964∼83年)까지 博物館에서만 36年을 보냈다. 그가 國立博物館에 있었던 時期 韓國 社會는 光復, 6·25戰爭의 激變期였다.
▽이원복=國立博物館의 招待 開城分館長이셨습니다. 個性은 이제 자유롭게 갈 수 없는 곳이어서 當時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진홍섭=日帝强占期 個性의 女學校 敎師를 지냈습니다. 日帝를 讚揚하지 않았지만 光復 뒤 敎師를 繼續하는 것이 良心上 어려워 1946年 辭表를 냈는데 金在原 初代 國立博物館長(1909∼1990)과 國語學者 李熙昇 先生(1896∼1989)李 찾아와 館長 職을 提議했어요. 分館은 暖房費가 없어 火爐 하나로 한겨울을 보낼 程度였죠. 하지만 高麗 首都였던 個性의 國立博物館은 高麗 文化의 精髓를 紹介하는 代表 博物館이 돼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서울 國立博物館에 ‘떼를 써’ 高麗靑瓷를 거의 다 가져왔어요. 매우 貧弱했던 博物館이 ‘高麗 文化 보려면 서울이 아니라 個性을 가야 한다’는 말이 나올 程度로 位相이 變했지요.
6·25戰爭 勃發 1年 前 北韓軍의 韓國軍 告知 襲擊으로 始作된 開城 松嶽山 戰鬪의 소용돌이에 開城分館이 휘말렸다. 博物館이 北韓軍 野砲의 射程距離에 들었던 것. 高麗靑瓷와 主要 遺物을 遑急히 서울로 옮겼고 開城分館은 門을 닫았다. 戰爭 中에도 陳 翁은 텅 빈 博物館을 지켰다. 1950年 中共軍 參戰으로 戰勢가 밀리자 博物館 建物은커녕 목숨마저 지킬 수 없는 狀況이 됐다. 陳 翁은 國立博物館의 避亂處가 있던 釜山으로 떠났다.
▽이=當時 釜山 博物館 狀況은 어땠습니까.
▽陳=關稅廳 倉庫를 빌려 艱辛히 遺物을 保管하는 程度였습니다. 서울에서 遑急히 내려왔으니 遺物을 제대로 包裝할 겨를도 없었겠죠. 遺物을 新聞紙로 돌돌 말아 沙果 櫃짝에 담았더군요. 나중에 國寶 中의 國寶가 될 遺物도 있는데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前 職員이 總動員돼 遺物을 遺物箱子에 正式으로 다시 包裝했습니다.
▽이=그 箱子도 9月에 열리는 博物館 100周年 特別展에 展示할 遺物감인데요.(웃음)
이 遺物箱子는 國立慶州博物館에 있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陳 翁은 金在原 館長의 提議로 1952年 國立博物館 競走分館張으로 갔다. 當時 重要 遺物은 聖德大王神鐘(國寶 29號·國寶 指定은 1963年부터 이뤄졌다)과 栢栗寺 金銅佛像(國寶 28號)밖에 없었다. 新羅를 象徵하는 金冠塚 金冠(國寶 87號), 金鈴塚 金冠(寶物 338號), 瑞鳳塚 金冠(寶物 339號)은 없었다. 金管이 어디로 사라진 걸까.
▽陳=6·25戰爭을 避해 美國으로 보냈어요. 觀覽客들이 “金冠을 보러 왔는데 없으니 觀覽料를 물어내라”고 아우聲이어서 模造金管을 만들어 展示하기로 했습니다. 瑞鳳塚 金冠의 實測圖를 바탕으로 瓔珞(구슬을 꿰어 만든 裝身具)과 曲玉(玉을 半달 模樣으로 다듬은 것)까지 그대로 再現했지요. 金冠의 입化粧式(꽃잎을 세운 것 같은 裝飾)李 흐늘거리며 서지 않기에 金冠 테두리에 點을 連續的으로 찍었더니 똑바로 섰습니다. 1956年 模造金管을 眞品으로 잘못 알고 훔쳐가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日帝强占期에도 金冠을 盜難當했다가 ‘新羅 金은 只今 金과 달라 金冠을 부숴 다른 걸로 만들어도 今方 綻露 난다’고 新聞에 써 金冠을 되찾은 計巧(計巧)를 똑같이 해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도둑이 模造金管을 냇가 모래에 파묻고 달아났더군요.
개성분관은 광복 이후 6·25전쟁 전까지 고려청자의 보금자리였다. 1947년 국립박물관 개성분관이 되기 전 개성부립박물관의 전경(위).  1952년 국립박물관의 부산 피란 시절 회의 모습. 왼쪽이 진홍섭 옹. 왼쪽에서 세 번째가 최순우(1916∼1984)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네 번째가 고고미술가 임천(1908∼1965), 가운데서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인물이 김재원 초대 국립박물관장,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고고학자 김원룡(1922∼1993)이다. 사진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開城分館은 光復 以後 6·25戰爭 前까지 高麗靑瓷의 보금자리였다. 1947年 國立博物館 開城分館이 되기 前 개성부립박물관의 前景(危). 1952年 國立博物館의 釜山 避亂 時節 回의 모습. 왼쪽이 진홍섭 翁. 왼쪽에서 세 番째가 崔淳雨(1916∼1984) 前 국립중앙박물관長, 네 番째가 考古美術가 林泉(1908∼1965), 가운데서 正面을 凝視하고 있는 人物이 金在原 初代 國立博物館長, 오른쪽에서 네 番째가 考古學者 金元龍(1922∼1993)이다. 寫眞 提供 國立中央博物館
▽이=2004年 어린이博物館이 50周年을 맞았습니다. 先生님께서 만드신 慶州 어린이博物館學校가 嚆矢입니다.
▽陳=慶州 어린이들이 遺跡에 關心이 없었습니다. 慶州 遺跡을 살리려면 어린이부터 敎育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博物館 遺物을 一一이 撮影해 슬라이드를 만들고 이를 서울에서 빌린 幻燈機로 보여줬습니다. 美國 公報院에서 映寫機를 빌려 當時 製作된 ‘文化映畫’까지 上映하니 아이들이 하나둘씩 불어났습니다.
陳 翁은 1957∼59年 美國에서 열린 ‘韓國 古代文化展’의 管理官으로 1年間 美國에 派遣돼 外國人들이 韓國 文化에 얼마나 無關心한지 切感하기도 했다.
▽陳=金冠塚, 金鈴塚, 瑞鳳塚 金冠 3個를 나란히 展示했는데도 外國人들은 金冠보다는 外國의 다른 博物館에서 가져온 中世紀 유럽 甲옷만 쳐다보더군요. 形態가 비슷하다는 理由만으로 靑銅器時代 土器와 朝鮮時代 陶瓷器를 나란히 陳列한 것도 봤습니다. 우리가 오랜 歷史의 文化國家라는 걸 알릴 수 있는 機會였지만 아직 갈 길이 멀었던 것이죠.
陳 翁은 梨花女大博物館長 時節부터 韓國 美術史의 厖大한 資料를 한데 모은 ‘韓國美術史資料集成’을 잇달아 펴냈고 “大學 博物館의 遺物은 大學生의 敎材”라는 信念으로 大學 博物館 發展에 寄與했다. 그럼에도 韓國 博物館 發展을 위한 助言을 付託하자 손사래를 쳤다. “늙어빠진 머리의 眼目으로 하는 얘기는 舊世代的”이라는 謙遜이었다.
整理=윤완준 記者 zeitung@donga.com
共同企劃:東亞日報社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