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美軍 撤收’ 뜨거운 워싱턴|東亞日報

‘이라크 美軍 撤收’ 뜨거운 워싱턴

  • 入力 2006年 11月 14日 02時 59分


코멘트
11·7中間選擧 以後 美國의 最大 懸案이 된 이라크 撤軍 問題에 對한 行政府와 議會의 行步가 빨라지고 있다.

조지 W 부시 大統領은 選擧 다음 날인 8日 도널드 럼즈펠드 國防長官을 更迭한 데 이어 13日 超黨派 모임인 이라크스터디그룹(ISG)의 核心 멤버들을 만났다.

이와 關聯해 時事主幹 타임은 다음 달 政策建議書 提出을 앞두고 있는 ISG가 “來年 中 美軍의 部分 撤收를 始作해야 한다는 暫定 結論을 내렸다”고 12日 報道했다.

타임에 따르면 ISG의 建議事項은 △部分 撤收로 이라크 駐屯 美軍의 再配置 △이란, 시리아와의 이라크 問題 直接 對話 等으로 要約된다. 타임은 “ISG는 (이라크 政府가 最善의 努力을 다하지 않고) 宗派 間 內戰 狀態가 持續되면 美軍이 ‘迅速 撤收’를 斷行해야 한다고 建議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當初 부시 大統領은 議會 主導의 ISG 出帆에 反對했지만 ISG 멤버였던 로버트 게이츠 前 美國中央情報局(CIA) 國葬을 國防長官에 指名하는 等 只今은 생각이 달라졌다는 觀測이 많다.

조슈아 볼턴 白堊館祕書室長度 13日 CNN放送과의 會見에서 “(ISG가) 이란, 시리아와의 對話를 勸告하면 檢討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2007年 部分 撤軍’에 對해서는 明確히 對答하지 않은 채 “時限을 못 박는 것은 ‘眞짜 災殃’을 부를 수 있다”고 말했지만 “무엇이든 論議할 뜻은 있다”며 餘韻을 남겼다.

이 같은 氣流는 그동안 부시 行政府가 보여 온 斷乎한 撤軍 拒否 姿勢에 비춰 볼 때 큰 變化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부시 大統領은 “代案 없는 撤軍은 無責任한 일이며 武裝 抵抗勢力에 勝利하는 것 以外에는 代案이 없다”고 强調해 왔다. 實際로 共和黨은 올해 민주당이 提示한 ‘1年 內 撤軍’ 및 ‘年內 撤軍 始作’ 決議案 2件을 모두 拒否했다.

民主黨 指導部는 이런 氣流에 반색했다. 來年 議會의 軍事政策을 主導할 民主黨 칼 레빈 上院議員은 ‘4∼6個月 內 撤軍 始作’을 促求하고 나섰다. 그는 12日 ABC放送에 出演해 “完全히 軍隊를 빼자는 게 아니다. 이라크 政府에 ‘美國이 언제까지 無限 責任을 지면서 있을 수는 없다’는 메시지를 傳達하자는 뜻”이라고 說明했다.

그렇다고 부시 大統領이 ‘政策 變更’을 當場 受容할 것으로 豫想하기엔 無理가 따른다. 美軍 撤軍 時 이라크 內 混亂이 더 甚해질 것을 憂慮하는 목소리가 如前히 높기 때문이다. 週間 이코노미스트는 最新號에서 “撤軍 決定은 美國의 몫이지만 그 後에 벌어질 內戰 激化에 따른 이라크 住民의 被害를 美國은 考慮해야 한다”며 早期 撤軍 不可論을 指摘했다.

워싱턴=김승련 特派員 srkim@donga.com

:이라크스터디그룹(Iraq Study Group)

수렁에 빠진 이라크를 어떻게 할 것이냐는 苦悶에서 3月 出帆했다. 美國 議會는 공화 민주黨 出身의 尊敬받는 安保專門家 10名을 委囑해 政派的 利益과 無關한 政策 助言 報告書를 年末까지 提出해 달라고 要求했다. 공화당 쪽의 제임스 베이커 前 國務長官, 민주당이 내세운 리 해밀턴 前 下院 國際關係委員長이 共同議長을 맡았다. 그동안 資料 檢討, 行政府 安保 當局者 面談, 이라크 現地 調査를 마쳤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