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記者들이 危險하다”…이라크 總選取材로 數百名 몰려|동아일보

“記者들이 危險하다”…이라크 總選取材로 數百名 몰려

  • 入力 2005年 1月 10日 18時 03分


코멘트
프랑스의 르 피가로 소속 말브뤼노 기자(오른쪽)와 RFI 라디오의 셰노 기자의 생환 기념 포스터 앞에서 환호하는 파리 시민들. 동아일보 자료 사진
프랑스의 르 피가로 所屬 말브뤼노 記者(오른쪽)와 RFI 라디오의 셰盧 記者의 生還 記念 포스터 앞에서 歡呼하는 파리 市民들. 동아일보 資料 寫眞
“武裝 抵抗團體들이 노리는 拉致 對象은 民間人, 그中에서도 記者들이다.”

匿名을 要求한 美國 情報當局 關係者는 最近 記者에게 이렇게 警告했다.

그는 “記者만큼 全 世界의 耳目을 집중시킬 만한 對象은 없다”면서 “武裝 抵抗團體들은 相當 期間 이들의 一擧手一投足을 지켜본 뒤 拉致하기 때문에 거의 失敗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라크 總選을 앞두고 美 時事週刊誌 뉴스위크도 같은 分析을 내놨다.

뉴스위크 中東地域 擔當으로 오랜 期間 바그다드를 取材해 온 크리스토퍼 디키 記者는 7日 인터넷 칼럼을 통해 “總選(30日) 取材를 위해 全 世界에서 數百 名의 記者가 이라크로 몰려들고 있지만 相當數는 이곳의 狀況에 對해 잘 모르고 있다”면서 “그들은 最小限 自身들의 生命을 擔保로 이곳에서 取材를 해야 한다는 點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現地 大使館이나 美軍이 記者들을 保護해 줄 것이라는 期待는 버려야 한다고 强調했다. 安全地帶인 그린 존 亦是 더 以上 安全하지 않다고 했다.

美軍들 亦是 스스로를 保護하는 것만으로도 벅차다. 基地 밖으로 나갈 땐 반드시 保護裝備를 갖추고 武裝을 해야 한다. 바그다드 國際空港에서 市內까지의 거리는 數 km에 不過하지만 大使館 職員들은 拉致 殺人의 危險 때문에 헬리콥터로 移動할 程度다.

記者들도 身分을 숨기고 祕密裏에 取材한다고 해도 現地人과 인터뷰 하는 瞬間 卽時 危險에 露出된다.

5日 바그다드에서 이라크人 通譯 후세인 하눈 알 사디 氏와 함께 失踪된 프랑스 日刊 리베라시옹의 플로랑스 오브나스 特派員도 現地人과의 인터뷰를 위해 宿所에서 나간 뒤 9日 現在까지 行方이 杳然하다. AP通信은 한 食堂 主人의 目擊談을 引用해 두 사람이 바그다드 그린 존 隣近에서 强制로 車輛에 태워졌다고 傳했다.

다른 記者들이 바그다드 北쪽 발라드에서 만난 覆面 武裝勢力은 두 사람이 健康하게 잘 있다고 말한 것으로 傳해졌다. 그러나 프랑스 政府나 이라크 政府는 그 어느 쪽 얘기도 確認하지 못하고 있다.

김정안 記者 credo@donga.com

▼이라크 現地 言論 및 取材 關聯者 被拉 日誌▼

2004年 8月 20日=프랑스 르 피가로 記者 조르주 말브뤼노 氏와 RFI 라디오 記者 크리스티앙 셰盧 氏, 武裝團體에 拉致

10月 28日=이라크 女記者, 바그다드에서 被殺體로 發見

11月 1日=로이터通信의 이라크人 카메라 記者, 銃器 被殺體로 發見

12月 22日=말브뤼노, 셰盧 氏 釋放

2005年 1月 5日=프랑스 日刊 리베라시옹 所屬 女記者 플로랑스 오브나스氏와 通譯人 후세인 하눈 氏 等 4名 被拉

이라크戰爭 勃發(2003年 3月) 以後 記者 및 取材 補助人力 總 45名이 拉致 被殺 또는 取材 中 爆擊 等으로 死亡

資料 提供: 國境없는기자회(RSF)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