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攻擊 4가지 시나리오]攻襲-特殊部隊 兩面作戰 펼듯|동아일보

[攻擊 4가지 시나리오]攻襲-特殊部隊 兩面作戰 펼듯

  • 入力 2001年 9月 20日 17時 02分


美國이 아프가니스탄 攻擊을 準備하기 위해 本土에 駐屯中인 100餘臺의 戰爆機와 戰鬪機에 對해 出擊命令을 내린 가운데 美軍이 어떤 攻擊戰術을 採擇할 것인지에 關心이 쏠리고 있다.

19日 AP通信에 따르면 많은 軍事專門家들은 “實際 攻擊은 只今까지 提起된 攻襲, 特攻隊 投入, 制限的 侵攻, 全面 侵攻 等 4가지 시나리오 中 2個 以上이 混合된 形態가 될 것”이라며 “이 가운데서도 大規模 攻襲과 特殊部隊 投入을 竝用하는 方案이 가장 有力하다”고 내다봤다. AP가 報道한 4가지 攻擊의 槪要와 各各의 長短點을 살펴본다.

▼迅速報復 不拘 民間人 被害▼

▽攻襲〓戰鬪機와 爆擊機로 빈 라덴과 關聯이 있는 아프가니스탄 內 目標物을 攻擊한다. 또 아라비아海에 布陣한 海軍力을 利用해 토마호크를 비롯한 巡航미사일을 發射한다.

이는 直接的인 交戰을 막을 수 있어 美軍의 人命 損失을 最少化할 수 있고 迅速한 報復作戰을 展開함으로써 激化된 美國 內 輿論에 빨리 副應한다는 長點이 있다. 그러나 素材 把握이 힘든 빈 라덴을 除去하기 어렵고 目標物이 大部分 險峻한 山岳地域이라 攻襲效果가 높지 않다는 게 短點이다. 또 人口密集 地域에 對한 攻襲은 大規模 民間人 犧牲을 招來할 수도 있다.

▼砲로 될땐 作戰 致命打▼

▽特攻隊 投入〓빈 라덴이나 그의 側近이 隱身한 것으로 推定되는 곳에 ‘델타포스’나 ‘실’ 等의 特攻隊를 헬기로 投入해 目標物을 除去하는 方式이다.

이는 美軍과 民間人의 犧牲을 最少化하면서 빈 라덴의 테러組織인 알카이다의 指揮部를 除去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退役將軍 프레드 워너는 “情報만 正確하다면 最善의 選擇”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作戰 成功의 열쇠인 빈 라덴의 所在把握이 어렵고 作戰 失敗時 軍의 士氣低下가 憂慮되며 特殊部隊員이 捕虜로 잡힐 境遇 作戰 全體에 큰 蹉跌이 온다는 短點이 있다.

▼2萬名 投入… 長期戰 憂慮▼

▽制限的 侵攻〓1萬∼2萬名 程度의 制限된 兵力으로 아프가니스탄을 侵攻해 빈 라덴 逮捕作戰과 탈레반 政權 逐出作戰을 同時에 펼친다. 攻襲으로 地上軍 兵力의 作戰을 支援한다.

이는 빈 라덴을 비롯한 테러犯 逮捕 可能性이 높고 大規模 兵力이 아니기 때문에 自衛能力을 높이는 同時에 兵站支援의 負擔도 적다는 게 長點이다. 그러나 戰爭目標를 達成하지 못한 채 長期戰에 휘말릴 可能性이 있으며 파키스탄 等 隣接 이슬람國家에 內部分裂과 强力한 反美輿論을 惹起할 수 있다는 短點이 있다.

▼“難美 發生” 採擇 힘들듯▼

▽全面 侵攻〓强力한 攻襲 以後 10萬名 以上의 大規模 地上軍을 動員해 빈 라덴을 逮捕하고 탈레반 政權을 전복시킨다. 탱크 等을 앞세웠던 걸프戰과 달리 劣惡한 道路事情을 勘案해 步兵部隊가 中樞的 役割을 맡는다.

이 方式은 탈레반 政權을 무너뜨릴 수 있고 빈 라덴 逮捕와 테러基地의 破壞가 훨씬 쉬워진다는 長點이 있다.

그러나 作戰을 祕密裏에 進行할 수 없기 때문에 빈 라덴에게 脫出 時間과 機會를 줄 憂慮가 있다. 또 戰爭이 長期化되면 兵站支援에 問題가 생기며 大規模 難民이 發生할 수 있어 採擇 可能性이 가장 낮다.

<이종훈기자>taylor5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