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의 實錄韓醫學]〈72〉丁若鏞이 사랑한 도라지술|東亞日報

[이상곤의 實錄韓醫學]〈72〉丁若鏞이 사랑한 도라지술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3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人生에서 第一 기쁠 때는 屠蘇酒(屠소酒) 마시는 그때라네.”

茶山 丁若鏞의 詩集에 나온 한 句節이다. 茶山은 流配地 全南 康津 報恩 山房에 찾아온 知人의 술을 받아들고 기뻐하며 이처럼 노래했다고 한다. 屠蘇酒는 吉慶(桔梗)이라는 藥草가 主材料高 防風(防風), 肉鷄(肉桂) 等의 藥材도 들어가 있다. 옛 어른들은 1年 내내 傳染病에 걸리지 않는다고 해 正月 初하룻날이 되면 꼭 이 술을 찾아 먹었다. 一種의 歲時 風速主로 ‘免疫第’였던 셈이다.

길경은 도라지를 말한다. 도라지는 傳染病의 通路인 肺 經絡을 지키는 守門將 役割을 한다. 機關紙 保護제로 쓰이는 용각산의 主成分이 도라지다. 도라지의 줄기에서 나오는 乳液이 粘液 役割을 하면서 氣管支나 肺로 들어오는 微細먼지 等 異物質과 毒素를 吸着한 뒤 녹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役割을 한다. 용각산은 韓方 固有의 處方인 甘桔湯을 應用해 만든 것이다. 甘桔湯은 甘草와 吉慶으로 만들어지며 氣管支炎과 扁桃炎을 治療하는 데 쓰인다.

길경은 人蔘처럼 사포닌을 含有하고 있어 免疫機能 强化作用을 하는 한便 吉慶 固有의 大食細胞의 抗菌性을 强化해 炎症 治療에 效果的이다. 韓方의 古典 ‘金匱要略’에도 “感氣에 걸려 목이 아프거나 가래가 많고 기침이 나면 甘桔湯 處方이 最善의 治療”라고 했다. 옛 專賣廳의 野心作인 ‘도라지 담배’도 도라지가 呼吸器疾患에 特效가 있다는 데 着眼했을 터. 機關誌를 병들게 하는 담배에 機關紙 保護劑인 도라지를 섞어 만든 것이다. 無條件 自然産이 좋겠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飯饌으로 먹기에는 밭에서 栽培한 도라지가 훨씬 좋다. 山에서 캔 도라지는 쓴맛이 너무 剛하다.

목이 쉬어 목소리가 맑게 나오지 않을 때도 도라지를 使用한다. 人組(仁祖)가 어머니 繼隕宮의 喪을 치르면서 몸이 衰弱해지고 목소리가 작고 濁해지자 語義들은 ‘益胃升揚탕’이라는 補藥 處方에 吉慶을 넣어 服用시켰다. 목의 厭症에도 길경은 威力을 發揮했다. 英祖(英祖) 41年, 英祖가 갑자기 독한 感氣에 걸려 침을 넘기지 못할 程度로 목의 痛症을 呼訴하자 御醫들은 吉慶으로 米飮을 만들어 服用시켰다. 도라지는 人蔘과 생김새가 비슷해 假짜 人蔘을 만드는 데도 使用됐다. 承政院日記 肅宗(肅宗) 37年의 記錄에는 도라지를 人蔘처럼 僞造해 만든 조삼(造蔘)李 큰 問題가 됐다. 藥房 都提調들은 “도라지에다 人蔘의 노두를 붙여 人蔘인 것처럼 만들어 進上하는 일이 잦다”고 歎息한다.

人蔘과 도라지는 以外에도 닮은 구석이 많다. 人蔘은 6年根이 紅蔘이 되고 그 軟式이 넘으면 썩는다. 도라지도 6年을 넘기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3, 4年마다 터전을 옮겨 거름기가 없는 곳에 옮겨 심으면 悽絶한 自生力으로 20年도 넘게 成長해 約도라지가 된다고 한다. 좋은 環境보다는 極限 環境이 約도라지를 만드는 셈이다. 도라지 8g과 살구씨 12g을 물 300cc에 달여 服用하거나 도라지 正果를 服用하면 기침, 咽喉痛, 微細먼지 等을 이겨내는 데 도움이 크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도라지 #藥草 #茶山 丁若鏞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