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兵長 月給 100萬→125萬원… 스토킹 加害者에도 電子발찌|東亞日報

兵長 月給 100萬→125萬원… 스토킹 加害者에도 電子발찌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1月 1日 03時 00分


코멘트

[2024年 달라지는 것들]
司法·行政·國防·文化

▽軍人 月給·來日準備積金 支援金 引上= 軍 將兵 月給이 오른다. 兵長은 지난해 月 100萬 원에서 올해 125萬 원으로, 二兵은 60萬 원에서 64萬 원으로 늘어난다. 軍隊 全域 市 목돈 마련을 支援하는 將兵來日準備積金 政府 支援金은 月 最大 30萬 원에서 40萬 원으로 擴大된다.

▽重大犯罪者 身上情報 公開 擴大= 特定 强力犯罪와 性暴力 犯罪로 限定됐던 重大犯罪者 身上 公開 範圍가 1月 25日부터 中傷害·特殊傷害, 兒童·靑少年 對象 性犯罪, 組織·痲藥犯罪 等으로 擴大된다. 머그샷(mug shot·犯罪者 人相着衣 記錄) 寫眞의 强制 撮影 및 公開도 可能해져 檢察廳 홈페이지를 통해 30日間 確認할 수 있게 된다.

▽스토킹 加害者 位置追跡 裝置 附着= 스토킹 處罰法과 性暴力處罰法, 電子裝置附着法 改正에 따라 1月 12日부터 스토킹 加害者에게도 位置追跡 電子裝置(電子발찌)를 附着할 수 있게 된다. 被害者에게 辯護士가 없는 境遇 檢事가 國選辯護士를 選定해 法律 支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特例 規定도 마련됐다.

▽스팸文字 遮斷 强化= 블랙리스트로 登錄된 番號의 利用 制限 期間을 旣存 1個月에서 3個月로 擴大 適用한다. 大量 文字 發送 事業者에 對한 點檢 强化 等 管理·監督을 强化할 豫定이다. 携帶電話에 惡性 링크가 包含된 不法 스팸文字가 온 境遇 自動으로 스팸함에 移動·分類되는 서비스가 施行된다.

▽飮酒運轉 防止 裝置 附着= 道路交通法 改正에 따라 올 10月 25日부터 常習 飮酒 運轉者는 車輛에 飮酒運轉 防止 裝置를 달아야 한다. 5年 以內 2回 以上 飮酒運轉을 해 免許가 取消된 境遇, 車輛에 防止 裝置를 附着하는 條件으로 免許를 재발급받게 되는 式이다. 設置 費用은 運轉者가 負擔한다.

▽政黨 懸垂幕 個數 制限= 올 1月부터 政黨 懸垂幕 設置 個數가 邑·麵·洞別 2個 以內로 制限된다. 어린이 保護區域이나 消防施設 周邊 駐停車 禁止 區間에도 設置할 수 없게 된다. 다만 邑·麵·桐 面積이 100㎢가 넘는 境遇 懸垂幕을 1個 더 걸 수 있다.

▽交通法規 違反 신고 一元化= 迅速한 行政處分을 위해 올 1分期(1∼3月) 中 安全申聞鼓와 스마트國民提報로 二元化됐던 交通法規 違反 申告 窓口가 安全申聞鼓로 합쳐진다.

▽農村 往診버스 導入= 農村 住民의 疾病 豫防 및 管理를 위해 찾아가는 醫療서비스인 ‘農村 往診버스’가 施行된다. 量·韓方 醫療, 齒科·眼科 檢診 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診療費 事前 揭示 對象 動物病院 擴大= 올해 1月 5日부터 모든 動物病院은 診療項目別 診療費를 義務的으로 揭示해야 한다. 只今까진 獸醫師가 2名이 넘는 病院만 診療費를 事前에 揭示하면 됐다.

▽親環境農産物 認證基準 改善= 親環境農産物 農藥殘溜 許容基準이 一般農産物 農藥殘溜 許容基準의 20分의 1 以下로 調整된다. 다만 農家가 意圖的으로 農藥을 使用했다면 檢出量과 關係없이 認證이 取消된다.


整理=김형민 記者 kalssam35@donga.com
編輯局 綜合


#兵長 月給 #電子발찌 #스토킹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