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政府 첫해 公共部門 일자리 240萬 突破…靑年採用은 ‘뚝’|東亞日報

文政府 첫해 公共部門 일자리 240萬 突破…靑年採用은 ‘뚝’

  • 뉴스1
  • 入力 2019年 2月 19日 12時 03分


코멘트

?2017年 公共部門 일자리統計

뉴스1 © News1
뉴스1 ⓒ News1
文在寅 政府가 들어선 2017年 公共部門 일자리가 例年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調査됐다. 하지만 靑年 新規 採用은 1年 前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 제공.© 뉴스1
統計廳 資料 提供.ⓒ 뉴스1

統計廳이 19日 發表한 ‘2017年 公共部門 일자리統計’에 따르면 지난 2017年 公共部門 일자리는 241萬1000個로 前年 236萬5000個보다 4萬6000個(1.9%) 增加했다.

公共部門 일자리가 總 就業者 數에서 차지하는 比重은 9.0%로 前年 8.9%보다 0.08%포인트(p) 上昇했다.

全體 公共部門 일자리 中 一般政府 일자리는 206萬3000個로 前年對比 5萬1000個(2.5%) 增加했으며, 公企業 일자리는 34萬8000個로 같은 期間 5000個(-1.4%) 減少했다.

性別로 보면 女子 일자리가 男子보다 더 많이 늘었다. 男子가 占有한 일자리는 132萬7000個로 全體의 55%를 차지했으며, 女子 일자리는 108萬4000個로 45%의 比重을 나타냈다. 公共部門 男子 일자리가 女子보다 1.22倍 많은 셈이다. 이는 民間의 男女 일자리 差異인 1.44倍보다 낮은 水準이다.

男子 일자리는 前年對比 1萬1000個(0.9%) 늘어난 反面 女子 일자리는 3萬4000個(3.3%) 늘어나 女子 일자리 增加幅이 男子를 앞섰다. 이는 新規 採用 일자리 中 女子가 53.3%로 男子 46.7%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年齡別로는 60歲 以上 일자리가 減少한 가운데 靑年 新規 採用도 1年 前보다 줄어든 것으로 調査됐다.

40代 일자리는 71萬1000個로 全體의 29.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30代 27%, 50代 22.9%, 20代 15.1%, 60歲 以上 5.5% 比重을 나타냈다.

新規採用 일자리는 29歲 以下가 가장 많았다. 29歲 以下 新規 採用 일자리는 12萬個로 全體 新規 採用의 35.7%를 차지했다. 하지만 29歲 以下 新規 採用規模는 前年 12萬4000個보다 4000個(-3.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靑年 新規 採用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2015年 統計 集計 以後 처음이다.

全體 年齡別로 보면 60歲 以上 일자리는 2000個 減少했으며, 나머지 年齡帶에서는 모두 일자리가 增加했다.

産業分類別로는 公共行政, 國防 및 社會保障行政 일자리가 120萬7000個로 全體의 50%를 차지했다. 敎育서비스業은 69萬6000個로 28.8% 比重을 나타냈다.

186萬7000個 政府機關 일자리 中 公務員 일자리는 128萬3000個로 全體의 68.7%를 차지했으며, 非公務員 일자리는 58萬4000個로 31.3% 比重을 記錄했다.

男女 公務員 比率은 各各 60.2%, 39.8%를 나타냈으며 男女 非公務員 比率은 各各 35.3%, 64.7%로 集計됐다.

年齡別로는 公務員과 非公務員 모두 40代가 가장 많았다. 40代 公務員 일자리는 39萬만9000개로 全體의 31.1%를 차지했으며, 非公務員 일자리는 16萬個로 27.3% 比重을 보였다.

(世宗=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