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이領收證·비닐封套 退出…流通街 ‘筆環境’ 바람|東亞日報

종이領收證·비닐封套 退出…流通街 ‘筆環境’ 바람

  • 뉴시스
  • 入力 2019年 1月 10日 16時 06分


코멘트
流通街가 環境을 생각하는 消費는 選擇이 아닌 ‘必須’라는 뜻의 ‘必(必)環境’에 注目하고 있다. 團束 對象인 비닐封套 使用은 勿論이고, 종이 領收證이나 종이 價格表, 플라스틱 빨대 等의 使用도 止揚하는 趨勢다.

10日 GS리테일에 따르면 GS수퍼마켓은 종이領收證, 종이 價格表, 비닐 쇼핑백 使用을 中斷하는 ‘3無(無) 活動’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3月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內 ‘電子 領收證 發給’을 導入한 後 지난 한 해 發給 件數는 400萬 件을 넘어섰다. 이는 20㎝ 支流 領收證 400萬個를 一列로 늘어뜨렸을 때 800㎞나 되는 길이다. 서울에서 釜山을 往復하고도 남는 距離다. 올해는 600萬件 以上 發給이 豫想된다는 게 會社側 說明이다. 約 100萬張 以上의 종이를 節約하는 셈이다.

2016年부터 導入을 始作한 電子 프라이스카드도 종이 節約에 큰 몫을 하고 있다. 電子 프라이스카드는 現在 全體 店鋪의 約 80%인 242個 店鋪에 設置돼 있다. 旣存 種이 프라이스카드를 使用할 境遇 大型點은 月 1萬張, 小型點은 1000張 程度의 종이 카드를 每月 發行해 왔지만, 電子 프라이스카드 使用 以後 點當 月平均 7000張, 年間 1700萬張 以上을 節約할 수 있게 됐다. A4로 換算하면 70萬張 以上을 아낄 수 있다.

GS수퍼마켓 關係者는 “親環境 消費 活動이 選擇이 아닌 必須가 돼 가는 時代的 트렌드가 擴散되면서 GS수퍼마켓의 다양한 環境 사랑 活動이 顧客들의 持續的인 關心을 받을 것”이라며 “旣存 DM쿠폰과 傳單紙를 持續的으로 줄이겠다”고 말했다.

CJ ENM 오쇼핑部門은 業界 最初로 親環境 보냉 패키지를 선보였다. 비닐이나 스티로폼을 代身하는 再活用이 可能한 ‘착한 包裝’을 試圖한다. 最近 配送 過程에서 나오는 過大包裝이 社會的 問題가 떠오른 가운데 再活用이나 再收去가 容易한 패키지를 導入했다.

보냉 패키지는 食品 配送에 종이 保冷박스, 親環境 아이스팩, 종이테이프로 이뤄졌다. 于先 종이 保冷박스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붙인 골板紙를 종이 박스 안에 包含해 冷凍을 維持하게 한다. 이 골板紙는 스티로폼 박스보다 보냉 效率이 90% 以上 높아 新鮮度 維持에 卓越하고, 박스 內外部는 종이로 이뤄져 再活用이 可能하다. 特히 規格에 맞춰 包裝材를 活用할 수 있어 誇大 包裝을 줄이는 效果도 있다.
旣存 아이스팩은 化學 成分을 包含한 젤리 形態의 保冷材로, 下水溝에 흘려보낼 境遇 水質 汚染의 憂慮가 있다. 그러나 親環境 아이스팩은 純粹한 물로 이뤄져 開封 後 물을 버리면 손 쉽게 分離 排出이 可能하다. 最終 박스 鋪裝은 종이 테이프로 마감해 全體 패키지가 再活用, 再收去가 可能하다.

CJ오쇼핑은 軍浦 物流센터에서 直配송이 可能한 ‘韓一館 傳統갈비湯’ 食品에 패키지를 于先 適用하고 漸次 擴大해 나간다는 計劃이다.

CJ오쇼핑 關係者는 “종이 보냉 패키지는 一般 스티로폼 包裝에 비해 約 68% 以上 높은 價格으로 費用 負擔이 크지만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施行할 것”이라며 “親環境 關聯 努力이 流通業界 全般에 擴散될 수 있도록 努力하겠다”고 傳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