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靑年創業者 債務 一部 蕩減해 氣 살릴 것”… 송종호 中振公 理事長 “벤처 敗者復活戰 꼭 必要”|東亞日報

“靑年創業者 債務 一部 蕩減해 氣 살릴 것”… 송종호 中振公 理事長 “벤처 敗者復活戰 꼭 必要”

  • Array
  • 入力 2011年 9月 14日 03時 00分


코멘트
政府가 靑年創業者들이 빌린 政策資金 一部를 蕩減해주는 方案을 積極 推進하기로 했다. 靑年創業을 活性化하기 위한 措置다. 單, 道德的 解弛(모럴해저드)를 막기 위해 事業 失敗의 原因을 綿密히 分析해 妥當할 때에 한해 債務를 免除해주기로 했다.

송종호 中小企業振興公團 理事長(寫眞)은 9日 東亞日報와의 인터뷰에서 “事業에 失敗해 信用不良者로 轉落한 靑年創業者를 救濟하는 制度가 우리나라엔 아직 없다”며 “原因을 따져 不可抗力 狀況이라고 判斷될 때엔 政策資金을 蕩減해주는 方案을 檢討하고 있다”고 밝혔다. 13日로 就任 1周年을 맞은 宋 理事長은 中小企業廳 創業벤처本部長과 現 政府의 初代 靑瓦臺 中小企業祕書官을 지냈다.

송 理事長이 言及한 債務蕩減 對象은 創業 3年 以內인 39歲 以下 靑年創業者들이다. 一旦 來年에 500億 원의 財源을 마련해 1人當 最大 2000萬 원을 蕩減해줄 方針이다. 중진공에 따르면 우리나라 全體 벤처企業 最高經營者(CEO) 가운데 20, 30代 靑年層이 차지하는 比率은 2000年 54%에서 2008年 12%로 크게 줄었다. 外換危機에 이어 2000年代 初盤 情報技術(IT) 거품이 걷히면서 創業보다 安定的인 職場을 選好하는 젊은층이 부쩍 늘어서다.

宋 理事長은 “道德的 解弛를 막기 위해 중진공이 事業失敗 原因과 意圖性 等을 徹底히 따져 不可抗力의 狀況에 몰린 靑年創業者들을 于先 救濟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救濟方案 마련의 背景에 對해 “벤처캐피털이 高度로 發展한 美國은 初期 創業者들이 失敗하더라도 敗者復活에 나설 機會가 있지만 우리는 事情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說明했다.

이어 宋 理事長은 “稅金으로 創業者 債務를 蕩減해주는 데 對해 俸給生活者들이 不滿을 提起할 수도 있지만 健全한 企業 生態系를 造成하기 위한 政策的 趣旨를 國民들이 理解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宋 理事長은 靑年創業 活性化에 對해 오래前부터 苦悶해왔다. 그가 提案해 중진공이 올 3月부터 意欲的으로 運營하고 있는 ‘靑年創業士官學校’가 代表的 結果物이다. 이 學校는 靑年創業者들을 對象으로 6個月間 事業計劃과 마케팅, 製品開發 等에 對한 專門家 敎育은 勿論이고 創業補助金과 事務空間까지 한꺼번에 支援해 준다.

그는 “創業은 出産에 比喩될 程度로 어려운 過程이기 때문에 經驗이 不足한 靑年들은 더욱 徹底히 準備해야 한다”며 “數年間 酷毒한 訓鍊을 거쳐 世界市場을 휩쓸고 있는 케이팝(K-pop·韓國大衆歌謠)에서 靑年創業士官學校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했다. 이 學校는 徹底한 스파르타式 敎育을 志向한다. 이곳에 入敎한 靑年創業者 241名 가운데 17名이 中間評價에서 落第點을 받아 退校했다. 肉體的 精神的 强靭함을 키워주기 위한 海兵隊 敎育課程이 包含된 것도 눈길을 끈다.

宋 理事長은 “企業 生態系에 新鮮한 바람을 일으키고 痼疾的인 靑年失業 問題를 解消하려면 우리 社會가 靑年創業에 좀 더 關心을 기울일 必要가 있다”고 强調했다.

김상운 記者 su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