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著者와 茶 한盞]‘希臘語 時間’ 펴낸 小說家 韓江|東亞日報

[著者와 茶 한盞]‘希臘語 時間’ 펴낸 小說家 韓江

  • Array
  • 入力 2011年 11月 12日 03時 00分


코멘트

“빛을 잃어가는 사람들, 우리의 自畫像이죠”

소설가 한강은 “소설을 쓰려고 그리스어를 배웠는데 외울 게 너무 많아 힘들었다”고 말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小說家 漢江은 “小說을 쓰려고 그리스어를 배웠는데 외울 게 너무 많아 힘들었다”고 말했다. 양회성 記者 yohan@donga.com
小說家 韓江(41)李 小說 ‘希臘語 時間’(문학동네)을 냈다. 原稿紙 600餘 張 分量의 警(輕)長篇이다. 하지만 8日 저녁 서울 光化門의 카페에서 마주앉은 作家는 “警長篇이 아닌 長篇”이라고 强調했다. “길이는 짧지만 저에게는 무게가 가벼운 게 아니에요. 누가 뭐래도 저의 다섯 番째 長篇입니다.”

愛着이 큰 緣由는 이렇다. 作家는 2008年 늦가을 至毒한 슬럼프에 빠졌다. 言語에 對한, 글쓰기에 對한 苦悶이 깊어져 한 줄도 쓰지 못하는 危機가 찾아왔다. 그는 ‘希臘語 時間’의 草稿를 쓰며 이 苦悶을 힘겹게 뚫고나갔다. 이듬해 봄 150餘 醬의 스케치를 完成했을 때 깊은 수렁을 빠져나온 듯했다. 그 느낌에 힘입어 한동안 손을 놓았던 ‘바람이 분다, 가라’를 完成했다. 이 作品은 지난해 東里文學賞을 받았다.

“‘바람이 분다, 가라’가 激烈한 느낌이었는 데 反해 이番 作品은 한 男子와 한 女子에 對한 조용한 이야기예요. 消滅하는 삶 속에서 서로를 單 한瞬間 마주보는 사람들을 다뤘죠.”

點心을 걸렀다는 漢江은 땅콩크림을 바른 베이글 한 個와 따뜻한 코코아를 달게 먹으며 말을 이었다. 그는 이 作品을 네 番 고쳐 썼다. 쓸 때마다 分量이 늘었고, 結末도 달라졌다. 6月 初부터 두 달 半 동안은 出版社 文學동네의 인터넷 카페에 連載하기도 했다.

小說에서 希臘語 講師인 男子는 獨逸에 있는 家族과 떨어져 서울에서 홀로 산다. 그는 漸漸 視力을 잃어가는 病을 가졌다. 그의 受講生 中에는 한 女子가 있다. 듣기는 하지만 어릴 때 病을 앓아 말을 하지 못하는 女子다. 女子는 離婚한 男便에게 아이를 빼앗기고 ‘말’을 찾기 爲해 希臘語를 배운다.

‘言語를 찾는다’는 點에서 作品 속 女子와 作家가 오버랩된다고 하자 漢江은 ‘푸하하’ 웃었다.

“女子하고 제가 言語에 對해 複雜한 感情을 갖고 있다는 것은 맞겠네요. 하지만 消滅하고 빛을 잃어가는 사람들을 그렸다는 點에서 結局 우리 모두의 自畫像을 그린 거죠.”

‘缺如된 삶’을 살아가는 男女는 豫期치 않은 事件으로 하룻밤을 같이 보내게 된다. 늦은 밤 男子가 稀微하게 보이는 女子에게 이렇게 말을 건넨다. “只今, 택시를 부르겠어요.” 말을 할 수 없는 女子는 男子에게 다가와 손가락으로 그의 손바닥에 가만히 적는다. ‘첫 버스를 타고 갈게요.’

그렁그렁 눈물이 가득 찬 슬픈 눈과 같은 小說은 始終 조용하고 淡淡하게 男女의 日常을 따라간다. 발자국 소리도 내지 않는다. 그는 “小說의 絶頂 部分이라는 게 꼭 激烈하고 시끄러울 必要는 없다. 조용하게 흘러가는 절程度 可能하다”고 했다.

“作品을 完成하면 作家가 作品 속에서 ‘나가야’ 하는데 그 過程이 이番에는 너무 힘들었어요. 이 小說은 아프고 슬픈 얘기지만 저에게는 따뜻했습니다.”

황인찬 記者 hi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