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992>卒然問曰天下惡乎定고…|동아일보 </992>

[漢字 이야기] <992>卒然問曰天下惡乎定고…

  • Array
  • 入力 2010年 9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 원성진 9段 ● 주형욱 5段
本選 16强 3國 5報(89∼110) 덤 6輯 半 角 3時間

孟子는 襄陽王, 卽 위나라 양왕을 만나보고 나와서는 다른 사람에게 襄陽왕이 도무지 君主답지 않아 敬畏의 마음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하고는 襄陽王과 談論한 內容을 밝혔다. 襄陽王은 멀리서 보아도 君主답지 않고 가까이서 보아도 全혀 威嚴이 없었는데 自身을 接見하고는 불쑥 “天下가 어디에 定해지겠습니까?”라고 물었다고 孟子는 말했다. 襄陽王의 質問 方式은 元老나 賢者를 對하는 態度라 할 수 없을 만큼 唐突했다.

卒然의 卒은 猝과 같다. 卒이 오래된 글字, 猝이 새로운 글字로 이 두 글字와 같은 關係를 古今字(고금자) 關係라고 한다. 漢文에서는 古字와 今字가 뒤섞여 나오므로 注意해야 한다. 然은 動詞 뒤에 붙어 그 動詞를 擬態語로 만든다. 忽然(忽然) (危,괴)然(위연) 茫然(茫然) 等의 然이 모두 그러하다. 惡(오)는 疑問詞로, 個社 乎의 目的語다. 英語에서 前置詞의 目的語가 疑問死日 때 目的語가 倒置되듯이 漢文에서도 改詞의 目的語인 疑問詞는 個社 앞으로 나온다. 定于一의 一은 한 君主나 한 나라를 가리키되 窮極的으로는 仁政(認定)을 實行하는 君主나 그 나라를 뜻한다. 于는 乎와 마찬가지로 ‘…에’의 뜻을 나타낸다.

走者는 容貌(容貌)와 辭氣(詐欺)야말로 德(德)의 象徵이라고 했다. 襄陽王은 그 態度에서 君主로서의 威嚴이 드러나지 않는 데다가 賢者와의 對話에서도 德이 느껴지지 않았으니 그런 人物이 高遠(高原)韓 政治理念을 제대로 理解할 理가 없었다. 하지만 孟子는 相對의 속내를 읽고 自身의 理念을 簡單明瞭하게 陳述했다. ‘天下가 어디에 定해지겠습니까?’라는 質問에 ‘定于一’이라고 對答한 것은 正말로 斷乎하여 迫力이 있다. 政治 諮問에 應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態度를 배워야 하지 않을까.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