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하, 이맛!]양재기보다 甕器가 제맛… 模樣은 좀 넓적해야… ‘막걸리 盞’|東亞日報

[아하, 이맛!]양재기보다 甕器가 제맛… 模樣은 좀 넓적해야… ‘막걸리 盞’

  • Array
  • 入力 2010年 5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몸과 맴이 심들 때는/막걸리 한 沙鉢 이기 補藥 아이가/아, 요즈음 젊은 것들이야 먹을 끼 널려 가꼬/막걸리 요놈을 아주 上머슴 부리듯 하지만/내가 대가리 소똥 벗겨지고 난 뒤부턴/막걸리 요놈 한番 배부르게 묵고 싶어/두 눈깔이 막걸리 빛깔처럼 허옇게 뒤집혔다 안카나/막걸리 요놈은 출출할 때 맛이 으뜸 아이가/아, 오죽했으모 막걸리 요놈 쪼매 더 마실라 카다가/바람 난 마누라 褓따리 싸는 줄도 몰랐다카이’

<이소리의 ‘막걸리타령’ 專門>》

막걸리는 農夫의 밥이다. 村老의 牛乳요 젖이다. 農夫들이 논두렁 밭두렁에서 마시는 술이다. 燒酒는 홀짝홀짝 마신다. 막걸리는 벌컥벌컥 들이켠다. 麥酒는 “캬아!∼” 소리 내며 마신다. 막걸리는 “쭈욱∼” 들이켠다. 燒酒는 지글지글 三겹살 按酒와 함께 털어 넣는다. 麥酒엔 땅콩과 마른 오징어가 딱이다. 막걸리는 김치 한 보시기만 있어도 된다. 깍두기 한 접시면 그만이다. 按酒가 없으면 어떤가. 텃밭 풋고추나 오이 몇 個 툭 따다가 막된醬에 푹 찍어 먹으면 오케이다.

‘봄을 잊은’ 殊常한 初여름이다. 비가 잦다. 서늘하고 축축하다. 이런 날은 걸쭉한 막걸리에 綠豆빈대떡이 安城맞춤이다. 서울 鍾路5街 廣長市場이나 西大門 영천시장 선술집에 퍼질러 앉아 ‘마른 논에 물 대듯’ 쿠르르∼ 목울대를 쿨렁댄다. 부추煎 巴戰 호박煎 豆腐煎에 도토리묵…. 안주는 素朴하다. 어쩌다 묵은 지, 곰삭은 洪魚, 삶은 돼지고기의 三合이라도 마주하면 엉덩이가 들썩거린다. 혀가 달뜬다.

光化門 교보문고 피맛골 대폿집들이 아련하다. 열차집(02-734-2849)은 鐘閣驛 附近 제일은행 옆쪽에 새 둥지를 틀었다. 65年 傳統의 청일집(02-732-2626)은 르메이에르 빌딩 1層에 새로 자리 잡았다. 알큰한 어리굴젓과 노릇노릇 돼지기름에 부쳐내는 綠豆빈대떡은 똑같지만 아무래도 옛날 情趣가 덜하다. 歲月의 더께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葡萄酒 盞은 날아갈 듯하다. S라인이 눈썹달 같다. 麥酒盞은 뭉툭하다. 밋밋하면서도 아래쪽으로 갈수록 묵직하다. 서울 汝矣島 63빌딩과 닮았다. 막걸리盞은 各樣各色이다. 아무 沙鉢이나 밥그릇에 콸콸 따라 마신다. 술집마다 크기도 다르고, 模樣도 다르다. 찌그러진 洋銀그릇이 있는가 하면 넙죽한 沙鉢이 있다. 甕器鍾鉢이 있는가 하면 沙器밥그릇으로 그냥 마시기도 한다.

막걸리는 시원해야 맛있다. 뜨뜻미지근한 막걸리는 ‘김빠진 사이다’ 같다. 甕器沙鉢은 숨을 쉬면서도 外部溫度에 쉽게 反應하지 않는다. 더구나 素朴하고 투박하다. 막걸리 이미지와 宮合이 맞는다. 양푼은 너무 값싼 느낌이 난다. 밖의 氣溫에 敏感한 것도 弱點이다.

막걸리는 普通 큰 술盞에 마신다. 그래서 대폿술이다. 大砲(大匏)는 ‘큰 바가지’라는 뜻이다. “大砲 한盞 어때?”라고 묻는 것은 ‘막걸리 한盞 하자’는 말이다. 옛날 선술집엔 ‘王대포’라고 쓰인 旗발이 無數히 펄럭였다. 間諜들이 서울의 수많은 ‘王대포’집에 놀랐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程度다. 땅거미 어둑어둑 내릴 때마다, 발밑에 자꾸만 감기는 대폿집 旗발들. 눈을 들면 ‘술 거르는 用水’를 長대에 건 대폿집들이 깔깔거리고 있다. 結局 술꾼참새들은 ‘방앗間’을 지나치지 못한다.

‘어디든 멀찌감치 통한다는/길 옆/酒幕//그/數없이 입술이 닿은/이 빠진 낡은 沙鉢에/나도 입술을 댄다.//흡사/정처럼 옮아오는/막걸리 맛’ <김용호 1912∼1973 ‘酒幕에서’부분>

요즘 대폿집들은 大部分 甕器나 沙鉢로 된 盞을 쓰지 않는다. 쉽게 잘 깨지고 이가 잘 빠지기 때문이다. 代身 플라스틱으로 만든 ‘假짜 沙器鍾鉢 盞’을 쓴다. 오래 쓰면 色이 바래 술맛이 떨어진다. 요즘 젊은층들은 아예 와인盞에 막걸리를 마신다. 詐欺 燒酒盞에 막걸리를 홀짝이는 女性들도 있다. 앤드루 새먼 英國 더 타임스紙 서울特派員은 “막걸리를 洗劑勇氣처럼 생긴 플라스틱 甁에다 담아서 팔아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보면 좋겠다.”고 말한다. 結局 플라스틱甁의 막걸리를 플라스틱 盞에 따라 마시는 것이 된다. 술맛이 제대로 날 理가 없다.

술盞은 適正 飮酒量의 基準이다. 燒酒 한盞은 어디에서나 一定하다. 麥酒盞度 그렇다. 막걸리 한盞은 百이면 百 모두 다르다. 막걸리 盞의 規格化가 必要한 理由다. 世界 ‘最高級 와인 盞의 代名詞’로 불리는 오스트리아 리델社 게오르그 리델 회장은 “같은 와인이라도 盞에 따라, 그 기울기가 달라지고 와인에 닿는 혀의 部位가 달라진다”고 말한다.

막걸리는 다섯 가지 맛이 난다. 專門家들은 막걸리의 다섯 가지 맛을 한番에 보려면 아무래도 盞이 좀 넙죽해야 한다고 指摘한다. 크기는 밥空器와 국그릇의 中間 程度가 알맞다고 말한다. 마침 요즘엔 컬러 琉璃盞, 손잡이가 달린 사기 盞 等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農林水産食品部度 막걸리 專用 盞 開發에 발벗고 나섰다. 全南强震靑瓷마을은 1月 막걸리請自主兵科 막걸리靑瓷술盞 60點을 特別 製作해 靑瓦臺에 納品했다. 주병은 1L와 1.5L들이로 5∼8盞이 나오는 크기.

朝鮮 25代 賃金 ‘江華도령’ 哲宗(1831∼1863, 在位 1849∼1863)은 막걸리를 무척 좋아했다. 그는 江華島에서 18歲까지 나무꾼 떠꺼머리 總角 이원범으로 혼자 살았다. 父母도 없어 依支할 데라곤 江華郡 선원면 냉정리에 있는 外家뿐이었다. 원범은 바로 그곳 外家 附近의 藥水터에서 양순이라는 處女와 만나며 외로움을 달랬다.

나무꾼 원범은 어느 날 영문도 모른 채 甲串나루에서 배를 타고 漢陽에 올라가 임금이 되었다. 空中에서 훨훨 날며 살던 새가 새欌에 갇힌 꼴이었다. 哲宗은 늘 나무꾼時節을 그리워했다. 政治는 安東 金氏 몫이었다. 그는 툭하면 “宮中에는 왜 막걸 理가 없느냐”고 飮食타박을 했다. 宮中의 珍貴한 飮食과 술도 그에게는 막걸리보다 못했던 것이다. 보다 못한 中前이 親庭집 奴婢를 통해 막걸리를 救해 ‘허기’를 채워주곤 했다.

哲宗은 서른 둘의 젊은 나이에 숨을 거뒀다. 강화섬 양순이度 平生 홀로 살다 죽었다. 哲宗의 무덤은 京畿 高陽市 德陽區 元堂洞의 西三陵(睿陵)에 있다. 江華도령 哲宗은 얼마나 답답했을까.

‘막걸리는 술이 아니고/밥이나 마찬가지다/밥일 뿐만 아니라/즐거움을 더해주는/하나님의 恩寵人 것이다.’ <천상병1930∼1993 ‘막걸리’에서>

김화성 專門記者 mar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