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696>齊景公이 問政於孔子한대 孔子對曰…|東亞日報 </696>

[漢字 이야기] <696>齊景公이 問政於孔子한대 孔子對曰…

  • 入力 2009年 7月 21日 02時 57分


新羅 景德王이 國政에 關한 諮問을 하려고 臣下들에게 훌륭한 스님을 모셔오라고 했다. 처음 모셔온 高僧은 王의 뜻에 맞지 않았다. 다시 모셔온 스님이 ‘讚耆婆郞歌’를 지은 忠談師(忠談師)였다. 王의 要請으로 忠談師는 ‘安民歌(安民歌)’를 지었는데, 마지막 區에서 “임금답게 臣下답게 百姓답게 한다면 나라 안이 太平할 것입니다”라고 했다. ‘論語’ ‘顔淵(顔淵)’篇의 이 章에서 뜻을 醉해 治國安民(治國安民)의 道理를 말한 것이다.

齊景公은 이름을 杵臼(杵臼)라 하며, 靈公(領空)의 아들이다. 제나라 代父 崔저(最低)가 君主 莊公(張公)을 弑害(弑害)하고 擁立한 諸侯다. 경공은 稅金을 무겁게 賦課하고 刑罰을 苛酷하게 施行했다. 또 妾의 아들을 太子로 세워, 後날 亂을 招來했다. 이때 그동안 民心을 얻고 勢力을 擴張했던 陳氏(晉氏)가 諸侯의 자리를 代身한다. 孔子는 實相과 趨勢를 꿰뚫어보고, 人道(印度)의 大經(對境)이자 政事(정사)의 根本(根本)인 저 ‘여덟 者’를 말한 것이다. ‘君君, 臣臣, 父父, 子子’에서 앞에 놓인 君臣父子는 各各 그 사람을 가리키고 뒤의 글字는 그 道를 다한다는 뜻을 지닌다. 孔子의 正名思想(正名思想)李 잘 드러난다.

正名이란 이름과 實質을 符合시키는 일이다. 社會 構成體에서는 各自 自己 名分에 該當하는 德을 實現함으로써 올바른 秩序를 形成하는 것을 말한다. 保守主義라고 一蹴할 수 있겠지만, 나는 오히려 現實 變革의 理念을 읽어내고자 한다. ‘周易’도 누구나 自己가 있어야 할 곳을 얻어야 한다는 各得其所(各得其所)의 理念을 말하지 않았는가!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