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667>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라|동아일보 </667>

[漢字 이야기] <667>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라

  • 入力 2009年 6月 1日 02時 53分


‘論語’ ‘先進(先進)’篇의 이 章은 생각할 點이 많다. 孔子의 사랑하는 弟子 顔淵(顔淵)李 죽자 아버지 顔路(안로)가 孔子에게 수레를 주십사고 請했다. 수레를 팔아 棺을 넣을 外棺(外棺)인 槨(郭·덧널)을 마련하려고 했다. 孔子는 拒絶하면서 위와 같이 말했다. 그리고 덧붙였다. “내 아들 鯉(里)가 죽었을 때도 널뿐이었고 덧널은 없었습니다. 나는 걸어 다니더라도 수레로 덧널을 사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大夫(대부)의 열에 든 적이 있어서 수레를 타야 하므로 걸어 다닐 수 없기 때문입니다.”

孔子는 벼슬 살기 以前에 옛 客舍 主人의 肖像에는 참(참·수레 모는 말의 곁말)을 주어 賻儀(富의)한 일이 있다. 하지만 안연의 初喪에는 수레를 내주지 않았다. 丁若鏞은, 孔子가 ‘禮는 지나쳐서는 안 된다’는 原則에 따라 덧널 쓰는 厚葬(後腸)을 막기 위해 婉曲하게 말했다고 보았다. 文人들이 안연의 葬禮를 厚하게 치르려 할 때에도 孔子는 反對했다. 그런데 孔子의 말 가운데, 子息을 사랑하는 마음은 누구나 같다고 한 말은 文脈을 떠나 깊은 感動을 준다.

才不才는 ‘재주가 있든 재주가 없든’이다. 賢不賢(현불현), 賢不肖(賢不肖) 等과 뜻이 같다. 主語는 아래의 其子의 子이다. 亦各言其子也의 主語는 其子의 父母로, 父母로서는 누구나 各自 子息에 對해 말하면서 아끼고 사랑한다는 뜻이다.

朝鮮의 學者 趙翼(趙翼)은 아들 來陽(內洋)李 죽자 祭文을 지어 “아, 내 아들이 只今 어디에 가 있느냐. 너는 어째서 내 곁에 있지 않느냐”라고 痛哭하고 “재주가 있거나 재주가 없거나 間에 또한 各自 내 子息이라고 하면서 아끼기 마련이다”라고 하여 이 章을 引用했다. 어떤 父母든 自己 子息을 말하면서 사랑하는 法이다. 그렇거늘 딸아 아들아, 너는 그 事實을 모른단 말이냐?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