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진스님의 山寺이야기] <4>보름마다 있는 削髮날|東亞日報 </4>

[현진스님의 山寺이야기] <4>보름마다 있는 削髮날

  • 入力 2002年 7月 26日 18時 16分


삭발날에 한 스님이 다른 스님의 머리를 깎아주고 있다[사진제공=현진스님]
削髮날에 한 스님이 다른 스님의 머리를 깎아주고 있다
[寫眞提供=현진스님]
반들반들하게 削髮을 깔끔하게 한 날은 다시 出家한 氣分이다.

다른 때보다 修行者로서 容貌도 더 훤칠해 보인다. 손으로 만질 때마다 머리카락 한 올 없는 맨머리 느낌이 참 좋다. 修行者가 아무리 옷을 잘 입는다고 해도 削髮한 뒤보다 깔끔할까. 削髮한 스님들의 모습이 마치 달덩이처럼 밝아 보인다.

海印寺 스님들에게는 보름마다 한番씩 削髮날이 돌아온다. 그러니까 2週間 길렀던 까칠까칠한 머리카락을 다시 자르는 셈이다. 山賊처럼 鬚髥이 길게 자랐던 船房의 原州(院主·살림을 도맡아 하는 所任) 스님은 削髮하고 鬚髥을 자르면 잘생긴 貴公子가 된다. 그리고 하얀 머리가 듬성듬성한 敎務(敎務)스님도 十 年이나 젊어진 靑年 같다.

削髮하는 날 이른 아침부터 水閣(水閣) 周圍는 削髮儀式을 치르기 위해 부산하다. 대야에 물을 담고 비눗물로 머리를 적시는 스님이 여럿이다. 품앗이하는 것처럼 相對方의 머리를 서로 깎아주면 더 빠르게 削髮을 마칠 수 있다. 언제나 그렇지만 削髮은 머리를 맡기고 있는 것보다 索道(削刀)를 들고 있는 쪽이 더 緊張된다. 무엇보다 칼을 다루는 일이라서 더 신중해야 한다. 너무 서둘거나 技巧를 부리면 머리에 꼭 傷處를 내고 만다.

그 옛날 어느 老스님이 두 弟子에게 削髮을 하도록 했다. 한 弟子는 理髮師처럼 빨리 깎았고 또 다른 弟子는 서툰 솜씨로 오래 걸려 깎았다고 한다. 削髮이 끝난 뒤 먼저 깎은 弟子는 혼쭐났다. 反面 늦게 깎은 弟子는 稱讚을 받았다. 혼쭐난 弟子는 머리를 재주로 깎았기 때문에 매를 맞았고, 稱讚을 들은 弟子는 서툴지만 정성스럽게 깎았기 때문에 賞(賞)李 주어진 것이다.

이처럼 削髮하는 일은 재주보다는 精誠이 優先이다. 재주는 어느 때나 失手를 하기 때문에 生命을 傷하게 할 수 있다. 能力을 過信하고 權力을 濫用하여 自身을 傷하게 하고 남을 그르치게 하는 일이 우리 周邊엔 아직 많다. 칼자루를 쥔 者의 役割과 所任은 사람을 죽이는 일이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러한 姿勢와 精神은 削髮하는 일보다는 日常의 모든 일에 골고루 適用될 가르침이다.

入寂하신 字韻(慈雲) 老스님은 3日에 한番씩 削髮을 손수하詩며 隨行 日常을 點檢하신 것으로 有名하다. 削髮하는 일은 單純히 자라난 毛髮을 자르는 것이 아니라 試驗보듯 工夫의 程度를 스스로에게 묻는 行爲이다. 懶怠와 訪日(放逸·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노는 것)의 痕跡이 머리카락에 묻어날 때면 스스로 부끄러워진다. 그래서 削髮은 自己 修行을 비추어 보는 거울이다.

절 집에선 머리카락을 ‘無名草(無明草)’라 부른다. 머리카락은 雜草의 뿌리처럼 剛한 執着을 나타내는 어리석음에 比喩된다. 그러므로 削髮은 거친 풀을 잘라내듯 日常의 葛藤과 執着을 斷絶하라는 意味가 더 剛하다. 비록 무스를 바르고 染色을 할 立場은 아니지만, 멋을 내기 위해 머리맵시를 손질하는 것은 每事에 對한 執着을 더 키우는 일이라는 것을 削髮할 때마다 거듭 깨닫는다.

海印寺 布敎局長 budda1226@hanmail.net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