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獨自 經驗’을 苦悶하세요? 여기, 레퍼런스가 있습니다|디오리지널
Inside

‘獨自 經驗’을 苦悶하세요? 여기, 레퍼런스가 있습니다

安寧하세요, 東亞日報 히어로콘텐츠팀 이지윤입니다.
이지윤 記者 | 東亞日報 國際部 2023-04-11 10:00:01
讀者를 다른 世上으로 데려가는 記事를 히어로콘텐츠팀에서 썼다.

記事를 어떻게 쓸지 한 달 넘게 論議했다. 記事를 어떻게 쓸지를 두고 이렇게 한 달 넘게 同僚 記者들과 論할 機會는 없다.

왜 이番 記事를 ‘讀者를 다른 世上으로 데려가는 記事’라고 紹介하는지 묻는다면 글쓰기 스승인 次長 先輩 記者가 限, 자주 생각나는 말 때문이다. “英語로 記事가 뭔지 알아? 스토리라고 한다.” 小說만 스토리라고 생각했는데 技士도 스토리다.
<표류> 지면기사 1회가 나간 지난달 28일.<표류> 紙面記事 1回가 나간 지난달 28日.
現場 取材 段階
記事 文章 하나하나는 取材 準備 段階부터 構想했다.

取材記者 넷은 一週日에 3番 會議를 하며 그間의 取材 經驗을 많이 共有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게 컨센선스였다.

꼭 쓰고 싶은 文章 몇 個를 생각하고, 現場에 가서 꼭 그 포인트들을 챙겨오기로 했다. 그러기 위해선 現場에 對한 事前 取材도 많이 해야 했고, ‘그 文章’도 具體的으로 생각해야 했다.

現場 取材를 앞두고 이런저런 資料를 찾아보고, 레퍼런스度 찾아봤다. 應急手術 現場에 가기 前에 비슷한 現場을 담은 放送 다큐멘터리를 여러 篇 찾아보는 式이다. 어떤 點이 좋았나, 어떤 點을 補完하고 싶은지 整理하다 보면 取材 輪廓이 조금씩 잡힌다.
지면(신문) 記事 1回 < 救急車-應急室 密着 관찰記 >의 應急室 現場인 全南 여수시 旅需錢남病院 取材를 앞두고도 몸과 마음이 분주했다.

取材 目標는 ‘應急室을 아주 잘 觀察하기’였다. 觀察하는 일을 좋아하고 꽤 잘하지만 觀察의 記錄을 記事로 整理하는 건 또 다른 일이다. 記者가 되고 이런 記事를 써본 적도 거의 없었다. 힌트를 얻고자 박재영 敎授의 冊 ‘뉴스 스토리’를 읽었다. 朴 敎授가 좋은 내러티브 記事를 選別해 좋은 理由를 짚는 冊이다. 冊에 나오는 이 記事를 품고 麗水로 갔다.
베트남 戰爭 當時 韓國大使館 撤收 場面이 보이는 것 같아 좋았다. 숨소리도 空氣의 濕度도 緊張과 떨림도 느껴지지만, 虛構 같지 않았다. 細細한 디테일이 “이 記事는 現實에 뿌리내린 이야기”라고 알려주는 것 같았다.

인터랙티브 企劃과 取材도 現場 取材와 맞물려서 했다. 撮影 許可를 救한 現場에는 全部 撮影 裝備를 가지고 取材 갔다. 마찬가지로 取材 前에 現場에서 꼭 챙길 映像과 音聲을 리스트業했다.

인터랙티브 會議는 프로젝트 첫날부터 一週日에 1番씩 했다. 初盤에는 다양한 인터랙티브 報道 레퍼런스를 보며 製作 過程을 逆算해 檢討했다. 이런 인터랙티브를 만들려면 이런 材料가 必要할 텐데, 우리 팀도 求할 수 있는 材料인지 따져보며 우리는 어떤 인터랙티브를 만들지 意見을 모아갔다.
記事 執筆 段階
지면 記事의 큰 틀을 짠 건 取材를 일단락한 뒤였다. 追加 取材에 들어가려고 할 때쯤이었다. 取材도 어느 程度 해뒀고, 우리가 確保할 수 있는 資料도 어느 程度 手中에 들어왔던 時期다.

돌아보면 基準은 두 가지였다. 이 이야기를 가장 效果的으로 傳達할 形式인지, 取材 方法論의 强點을 살릴 形式인지.

取材 方法論의 强點이 무엇인지 例를 들면 1回 < 救急車-應急室 密着 관찰記 >는 取材 記者가 事件의 現場에 그 瞬間에 있었다는 것, 2回 < 準規와 種熱, 그들이 漂流한 날 >은 두 家族을 深層 인터뷰했다는 點이다.

讀者에게 이 記事를 읽는 일이 하나의 經驗으로 남길 願했다. 다른 記事와는 생긴 것도 달라야 했고, 讀者에게 말을 거는 方法도 달라야 했다.

應急醫療體系는 正말 複雜하고 어렵다. 特히 應急室은 한 取材源의 말처럼 ‘症狀이 드러나는 表面’이다. 醫療 體系, 災難 對應 體系, 救急 體系 等 各種 體系가 얽혀있고, 各 體系의 限界와 問題點이 凝縮돼 나타났다. 그렇다고 讀者가 工夫할 記事를 쓰고 싶은 건 아니니, 限界點과 問題 地點이 讀者의 눈에 보이게 할 方法을 苦悶했다.

시리즈를 어떻게 맺을지 는 今方 意見이 모였다. 1~4回 構成에 時間이 걸렸다. ‘核心 메시지-取材 方法論의 强點-形式’李 어긋남 없게 整列하는 過程은 고됐다. 이걸 왜 이렇게 말해야 하는지,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이렇게 말하면 이게 그 말이라는 게 傳達이 되는지 等을 自身에게, 팀員들에게 많이 물었다.

예컨대 2回 < 準規와 種熱, 그들이 漂流한 날 >은 準規 軍과 種熱 氏의 感情의 흐름에 맞춰 交叉編輯했다. 조건희 팀長의 아이디어였는데, 나는 이런 點이 마음에 들었다. 救急車와 應急室이라는 各其 다른 場所에서 두 人物이 處한 狀況과 感情이 비슷하다는 點을 傳達하면 讀者들이 이야기에 더욱 함께할 것 같았다. 交叉編輯을 하지 않고 竝列로 두 人物의 이야기를 풀 때의 長點도 있지만 이 長點을 뛰어넘지 못한다고 判斷했다.
記事 出庫 段階
온라인用 記事에는 壓縮的으로 많이 공들였다. 발자국은 몇 個 안 되지만 깊이가 깊다.

지면 記事는 新聞에 실리니 글字 數, 寫眞 個數가 限定된다. 온라인用 記事는 紙面 記事를 바탕으로 製作한다. 여기엔 簡略한 敷衍 說明을 追加하고, 寫眞과 映像 等 時刻물을 豐富하게 넣는다.

1回 < 救急車-應急室 密着 관찰記 >의 强點은 現場性이다. 讀者 立場에서 想像하며 現場性이 最大限 살게 온라인用 記事를 構成했다. 現場 取材 때 찍은 映像을 움짤로 만들어 記事 導入部에 配置했다. 記事를 읽는 讀者가 文體로 이미 ‘뭔가 다른 技士’라는 느낌을 받았을 테니, 그즈음 움짤을 보곤 한 段階 더 沒入하길 願했다.

3回 < 準規軍-種熱氏의 ‘잃어버린 時間’ >은 그날의 ‘1分 1秒’까지 들여다봤다는 點을 隱隱하지만, 效果的으로 讀者들에게 어필하고 싶었다. 곰곰이 생각하다가 1秒씩 깜빡이는 타이머를 만들었다. 新聞 編輯을 擔當한 양충현 記者와 뉴스그래픽을 擔當한 김충민 記者가 만든 地面 草案을 머릿속에 넣어두고 있다가 떠오른 생각이다.
온라인用 技士 中間中間 넣은 寫眞은 이야기가 있는 寫眞으로 골랐다. 記事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들을 寫眞 說明으로 넣었다. 現在 오피니언팀에서 일하는 임희윤 記者가 文化部에서 音樂인 인터뷰 記事를 쓸 때 寫眞 說明을 이렇게 活用하곤 했다. 獨自로써 임희윤 記者의 記事를 읽다 이런 寫眞 說明을 보면 보너스 膳物을 받은 氣分이라 좋았다.

아무튼, 이런 생각을 하며 ‘漂流’ 시리즈를 만들었다. 讀者들이 記事를 읽으며 어떤 經驗을 하셨을지 鎭靜 궁금하다. 우리는 讀者 立場에서 想像하며 作業했지만, 實際로 記事를 처음 보는 讀者가 絶對 될 수 없는 사람들이다.
레퍼런스 없던 작업들의 레퍼런스가 될 히어로콘텐츠팀 6기 <표류> 3회 지면 기사. 취재팀의 아이디어를 양충현 기자(신문 편집)와 김충민 기자(뉴스그래픽)가 현실화했다. 레퍼런스 없던 作業들의 레퍼런스가 될 히어로콘텐츠팀 6期 <표류> 3回 지면 記事. 取材팀의 아이디어를 양충현 記者(新聞 編輯)와 김충민 記者(뉴스그래픽)가 現實化했다.
關聯 콘텐츠 더보기
漂流 : 生死의 境界를 떠돌다 應急患者가 제대로 된 治療를 받지 못하고 無力하게 떠도는 ‘漂流’는 運이 나쁜 누군가가, 어쩌다 겪는 일이 아닙니다.
應急室과 救急車에서 37日을 보내며 26名의 ‘漂流’ 患者와 그 家族을 인터뷰했습니다.
2023.03.27~04.03 · 히어로콘텐츠 6期 ·
이지윤 기자
이지윤 記者 | 東亞日報 國際部

갈 수 없는 곳들이 궁금합니다. 特히 어디를 가보면 좋을지조차 모르겠는 現代 社會의 厖大하고 複雜한 ‘體系’들. 거기선 大體 어떤 일이 어째서 일어나고 있을까요? 이番에는 應急醫療體系 속으로 가봤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