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富者 韓國 왜 지켜줘야 하나”|東亞日報

트럼프 “富者 韓國 왜 지켜줘야 하나”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2日 03時 00分


코멘트

[美大選 6個月앞]
選擧 레이스서 처음 ‘韓國 防衛費’ 直接 擧論하며 壓迫
再執權땐 ‘韓 分擔金 增額 안하면 駐韓美軍 撤收’ 示唆

사진=뉴시스
寫眞=뉴시스
11月 美國 大選에서 공화당 候補로 나선 도널드 트럼프 前 大統領(寫眞)이 “왜 우리가 富裕한 國家를 防禦해야 하느냐”며 “韓國이 우리를 제대로(properly) 待遇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韓美 政府가 지난달 末 2026年부터 適用될 防衛費 分擔 協商을 始作한 가운데 트럼프 前 大統領이 駐韓美軍 撤收 카드를 媒介로 韓國에 分擔金 大幅 增額을 要求하겠다는 意志를 드러낸 것이다. 執權 1期 當時인 2019年 韓國의 防衛費 分擔金을 5倍로 늘릴 것을 要求했던 그가 이番 大選 過程에서 이 問題를 直接 擧論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前 大統領은 美 大選을 約 6個月 앞둔 4月 30日(現地 時間) 公開된 美 타임지 인터뷰에서 ‘再執權하면 駐韓美軍을 撤收할 것인가’라는 質問에 卽答을 避하며 韓國의 防衛費 分擔金 얘기를 꺼냈다. 그는 “우리는 不安定한(precarious) 位置에 4萬 名의 兵力을 두고 있다”면서 “나는 (在任 當時) 韓國에 ‘이제 費用을 支拂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라고 밝혔다. 現在 駐韓美軍은 2萬8500名으로, 4萬 名은 1990年代 以前 規模다.

그는 “(執權 當時) 美國은 事實上 駐韓美軍을 無償으로 支援하고 있어 내가 協商을 이끌어냈다”며 “韓國은 數十億 달러를 支拂하기로 同意했다”고 했다. 이어 “내가 (白堊館을) 떠난 只今은 韓國이 아마 거의 (防衛費를) 支拂하지 않을 것”이라며 “朝 바이든 行政府와 再協商해 거의 아무것도 내지 않았던 以前 水準으로 훨씬 더 낮췄다고 한다”고 主張했다.

트럼프 前 大統領은 첫 任期 當時인 2019年 韓國에 防衛費 分擔金을 5倍로 늘린 50億 달러(藥 6兆9400億 원)로 增額할 것을 要求했다. 하지만 協商은 空轉을 거듭하다가 조 바이든 行政府 出帆 以後 妥結됐다. 이때 合意된 分擔金도 첫해인 2019年 13.9%를 增額한 뒤 2025年까지 해마다 國防費 增加率에 맞춰 引上하기로 했다.

타임지는 그의 인터뷰 發言을 두고 “韓國이 駐韓美軍 支援에 더 많은 돈을 내지 않는다면 美軍을 撤收할 수 있음을 示唆한 것”이라고 傳했다. 大選이 6個月 앞으로 다가온 狀況에서 前例 없이 法廷을 오가며 選擧運動을 하고 있는 트럼프 前 大統領이 有權者 結集을 위해 北大西洋條約機構(NATO·나토)에 이어 韓美同盟을 타깃으로 美國 優先主義를 强調하는 模樣새다. 現在 韓美 간 第12次 防衛費分擔特別協定(SMA) 締結을 위한 協商을 벌이고 있으나, 協商이 妥結돼도 트럼프 前 大統領이 再執權하면 再協商을 要求할 可能性이 높아졌다.

트럼프 前 大統領은 또 “中國은 美國에 輸出할 自動車를 만들려고 멕시코에 世界 最大 規模 工場을 짓고 있다”며 “내가 大統領이 되면 100% 關稅를 賦課할 것”이라고 主張했다.


워싱턴=문병기 特派員 weappon@donga.com
이지윤 記者 asap@donga.com
#트럼프 #富者 韓國 #選擧 레이스 #韓國 防衛費 #再執權 #美國 大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